남전이 고양이를 베다 — 법구경 3~6

3
“그가 나를 욕했다, 그가 나를 때렸다, 그가 나를 이겼다, 그가 나에게서 빼앗았다”,
이것을 품고 있는 이들, 그들의 증오는 그치지 않는다.

4
“그가 나를 욕했다, 그가 나를 때렸다, 그가 나를 이겼다, 그가 나에게서 빼앗았다”,
이것을 품고 있지 않는 이들, 그들의 증오는 그친다.

5
증오는 증오에 의해 여기에서 결코 그치지 않는다.
그러나 증오아님에 의해 그친다, 이것은 오래된 법이다.

6.
사람들은 알지 못하네, 우리는 지금 죽음에 이르고 있음을.
그러나 이것을 아는 자, 그 앎으로 인해 다툼이 그친다.

* * *

“그가 나를 욕했다, 그가 나를 때렸다, 그가 나를 이겼다, 그가 나에게서 빼앗았다”, 이 경문을 읽자면, 자연스럽게 그간 살아오면서 겪었던 상처의 흔적들이 구체적 기억 없이 되살아온다.
때리고 맞고, 욕하고 욕먹고, 이기고 지고, 빼앗고 빼앗겼던 일들, 그리고 그 일들이 새겨놓은 흔적들. 우리는 그 흔적들이 마음에 수레바퀴 자국처럼 남아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우리는 그 흔적을 껴안고 살아간다. “이것을 품고 있는 이들, 그들의 증오는 그치지 않는다.” 경전은 이렇듯 마음 깊숙히 켜켜이 남아 있는 앙금을 터치하는 힘이 있다. 마치 예술가의 솜씨처럼 섬세하게 어루만져 이전에 줄곧 외면했던 업의 풍경을 눈앞에 드러내는 것이다. 마음 깊은 곳에서 상처와 원한을 품고 있으며, 미세한 증오가 남아 있는 풍경.

앙금을 휘저어 원한의 저류와 증오의 너울을 정직하게 마주할 때, 비로소 경전은 “이것을 품고 있지 않는 이들, 그들의 증오는 그친다”고 알린다. 경전은 원한과 증오가 그치는 길을 가르치기 전에, 먼저 원한과 증오가 그친 이들이 있음을 알린다. 원한과 증오가 남은 자 vs 원한과 증오가 그친 자, 상처를 품은 자 vs 상처를 품지 않은 자, 업이 쌓인 자 vs 업이 소멸한 자—이 실천적 대비는 그 어떤 이론보다 강한 가르침이다.

그런데 어찌하여 경문은 내가 남을 욕하고 때리고 패배시키고 빼앗았던 일을 언급하지 않고, 남이 나를 욕하고 때리고 패배시키고 빼앗았던 일만 언급하는 것일까? 어찌하여 가해의 심리를 정화시키려 하지 않고 피해의 심리를 정화시키려 하는 것일까?

모든 사람은 누군가의 가해자이면서 동시에 누군가의 피해자이다.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는 수레바퀴와 바퀴자국의 관계, 데칼코마니와도 같다.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 마음에 동일한 화인(火印)이 있다. 좀더 깊이 관찰하자면, 한 사람의 마음에는 가해의 화인과 피해의 화인이 모두 있다. 그 중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가해의 화인, 자신의 능동적 화인은 간과하고 자신의 피해의 화인, 자신의 수동적 화인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수동적 화인은 그것을 찍었던 타인의 능동적 화인을 찾아 헤맨다. 자신의 능동적 화인은 간과한 채 타인의 능동적 화인에 대한 원한과 증오의 여정이 시작되는 것이다. 경전은 그 수동적 화인, 강한 화인을 겨냥한다. “그가 나를 욕했다”, “그가 나를 때렸다”는 앙금이 “내가 그를 욕했다”, “내가 그를 때렸다”는 앙금보다 훨씬 강한 힘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경전은 약한 힘과 대결하지 않는다. 경전은 본시 인간을 압도하는 힘, 강적과 대결하는 법이다.

화인과 화인은 마치 인드라망과도 같아 서로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한 사람의 성격과 인생을 형성하며, 공동체의 의식을 형성한다. 따라서 불가사의하게도 피해의 화인을 치유하기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가해의 화인도 동시적으로 치유되기 시작한다. 피해의 화인이 가해의 화인을 찾아 배회하던 방황이 그치기 시작하는 것이다. 흔히 우리는 가해의 화인을 원천적으로 막으면 치유가 완성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경전은 피해의 화인이 침전되어 있는 한 언제든 가해의 화인이 되살아날 것이라고 본다. 경전은 근본적인 치유를 원한다. 그런 점에서 불교경전은 심층심리학의 보고가 아닐까?

우리는 경문 3과 경문 4를 읽을 때 “욕했다”, “때렸다”, “이겼다”, “빼앗았다”에 방점을 둔다. 그리고서 욕먹고 맞고 지고 빼앗겼던 상처를 위로하는 길을 걷는다. (“나”는 그대로 둔 채 털끝 하나 건드리지 않고) 마음에 각인된 “흔적”에 온통 주의를 쏟는 것이다. 그 흔적, 그 증오를 어떻게 없앨 것인가? 아니, 그 흔적, 그 증오가 어떻게 그칠 것인가? 이 의문의 한길로 나아간다. 수행중에 체득한 바 있어 성제자의 길을 걷고 있는데도 여전히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이제까지 경험상 증오가 그친다는 것은 불가능해 뵌다. 그래서 “그 흔적을 품고 있지 않은 이들, 그들의 증오는 그친다”는 경문 앞에서 커다란 단절을 느끼고 충격을 받는다. 과연 그런 이들이 실존한다는 말인가?

경문은 해석자에게 강하고 신선한 충격을 가한 뒤, 마침내 “증오는 증오에 의해 여기에서 결코 그치지 않는다”고 설한다. 수동적 화인을 품고 있는 것, 피해의 화인을 감싸안고 있는 것, 그것 역시 증오라고 경전은 말한다. 우리는 “여기에서”라는 광활한 해석의 들녁을 만난다. 흔한 해석은, “여기에서”를 “이 세상에서”로 읽지만, 이 경문을 읽는 순간, 바로 지금 이 자리에서, 수동적 화인을 품고 있는 지금 “여기에서”, 능동적 증오는 수동적 증오에 의해 그치지 않는다고 읽을 수도 있다. 혹은 “여기에서”를 우리가 늘 경문을 접하는 태도 그 자체로 읽을 수도 있다. 즉 우리가 “맞고 빼앗기고 맞았다”는 흔적에 기반하여 떠나는 치유의 여정, 바로 이 길, “여기에서” 증오는 증오에 의해 그치지 않는다고 읽을 수도 있다. 어떻게 해석하든 좋다. 해석에 옳고 그름은 없다.
해석은 해석자에 대해 누설하는 가장 정밀한 정보일 뿐이다. 해석은, 해석자가 현재 어떤 인식체계에 걸려 있는지, 해석자의 번뇌는 어떤 것인지, 해석자의 생이 어떤 여정을 거쳐 왔는지, 해석자의 생이 앞으로 어떻게 펼쳐질 것인지, 그 모든 것을 드러내는 정확한 정보이다. 요컨대 해석은 해석자가 속한 천구(天球), 해석자의 윤회의 세계를 드러낸다. 해석자는 자신의 해석과 함께 자신의 알몸을 드러내는 것이다. 조심하시라, 그대의 해석은 자신의 옷을 한꺼풀 한꺼풀 벗어던지는 유녀(遊女)의 춤과 같은 것이니! 그대의 해석은 알몸으로 유혹하는 비린내와도 같은 것이니!

증오는 증오에 의해 여기에서 결코 그치지 않는다. 증오는 증오아님에 의해 그친다. 이것은 오래된 법이다. 오래된 법은 심심미묘하다. 그러나 우리는 쌓여진 습과 행이 있어서 그 버릇을 따라 생각하고 그 버릇을 따라 행하므로, 오래된 법을 자신의 습, 자신의 행, 자신의 업대로 해석한다. 출세간의 언어는 해석자의 습과 행업을 여실하게 비추어낸다. “verna”(증오)의 부정어인 “averna”(증오아님)라는 출세간의 언어 앞에서 역자들이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이유이다. “사랑”(석지현, 김서리), “참음”(김달진), “love”(Bomhard, Narada), “loving kindness”(Maitreya, 난다라타나) 등의 번역은 세간적 해석의 전형이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층을 통과하여 부정의 의미를 살린 번역자들은, “원한 없을 때”(이원섭), “원한을 버릴 때”(법정), “원한을 버림”(일아), “non-hostility”(Thanissaro), “non-hatred”(Buddharakkhita, Norman), “non-hate”(Fronsdal), “non-enmity”(Radhakrishnan), “the absence of enmity”(Carter) 등으로 옮긴다. 그러나 이 번역들 역시 “증오없음(無憎惡)”으로 옮김으로써 유무(有無)의 해석층을 통과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이 두 해석층을 통과한 번역으로 “freedom from hatred”(Varado)를 들 수 있지만 이는 상당히 의역한 것이다.

“averna”를 직역하자면 “증오없음(無憎惡)”이나 “증오아님(非憎惡)”으로 옮길 수 있으며, 의역하자면 “사랑”, “증오를 없앰”, “증오를 버림”, “증오로부터의 자유” 등으로 옮길 수 있다. 이 모든 번역이 오역은 아니지만, 경전은 그 모든 번역어를 통해 역자가 속한 세계를 그대로 비추어낸다. 이것이 출세간 언어의 위력이다. 그것은 해석의 시비를 드러내지 않고 해석자의 수준을 드러낸다. 모든 번역자는 출세간의 언어 앞에서 자신의 위치와 신상을 털린다.

“증오는 증오아님에 의해 그친다.” “증오라는 폭류”와 “사랑이라는 폭류”가 데칼코마니라는 것을 놓치면, “증오아님” 대신 “사랑”이라는 역어를 택하게 된다. 그것은 동일한 패턴의 폭류, 하나의 앙상블이다. 동일한 패턴에 상이한 색깔이 입혀진다고 해서 근본적으로 치유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임시방책이다. 물론 임시방책 역시 훌륭한 해결책이다. 그러나 그 사랑은 언제라도 표변할 수 있다. 불교는 근본적인 치유를 원한다. 그래서 증오는 사랑에 의해 그친다고 말하지 않고, “증오는 증오아님에 의해 그친다”고 설한다. 이것이 무엇을 뜻할까?

「금강경」의 반야바라밀의 논법을 빌릴 것 같으면, “증오아님”은 “증오는 증오가 아니라 그 이름이 증오”, “증오는 증오가 아니므로 증오”임을 말한다. “증오아님”은 증오를 구성했던 모든 실체적 요소의 해체, 모든 관념적 요소의 해체, 실체와 관념의 동질적•동시적 해체이다. “증오”가 식과 명색의 상호연기에 의해 그려지는 가상적인 패턴, 흑백의 패션에 불과함이 눈앞에 뚜렷이 드러남으로써, 증오는 해체된다. 증오는 내가 세운 환영의 세계에 불과함을 앎으로써 그 흔적조차 사라진다. 증오는 증오아님을 앎에 의해 온전히 그친다. “증오는 증오아님에 의해 그친다.”—이것은 오래된 법이다, 사구백비를 여읜 법, 서양논리학의 근본인 동일률과 배중률을 한방에 파격하는 법.

그러나 오래된 법은 깊고 깊어 현자가 아니면 알기 어려우므로 후대에 여러 비유를 통해 설명된다. 「대장엄론경」의 “새끼 고양이(猫兒)” 비유도 그 중 하나다:

고양이가 새끼를 낳아 그 작은 새끼가 점점 커지자, 새끼 고양이가 어미 고양이에게 물었다. “무엇을 먹어야 합니까?”

어미 고양이가 새끼에게 대답하였다. “사람들 스스로가 너에게 가르쳐 줄 것이다.”

밤이 되자 새끼 고양이가 어느 집에 가서 항아리들 사이에 숨어 있었는데, 사람들이 보고는 서로가 이렇게 경계하였다. “소(酥)와 젖과 고기 등의 매우 좋은 것들은 덮개로 덮어 두고, 닭이나 병아리 같은 것은 높이 얹어 두어 고양이가 먹지 못하도록 하여라.”

이에 새끼 고양이는 곧 닭이나 소, 젖, 타락이 다 자기의 먹을 것임을 알게 되었다. 무엇 때문에 이런 비유를 들어서 말하는가 하면, [ . . . ]

여래의 설법은 미묘하고 매우 깊어서 이해하기 어렵고 들어가기도 어려우므로 이른바 도를 해설하신 것이니, 어떻게 중생들을 위하여 이와 같은 법을 설하셨는가 하면, 모든 중생들에게 있는 뒤바뀐 견해의 생각을 관찰하여 알고 난 뒤에 그에 따라 알맞게 법의 요체를 설하셨다. 중생들 스스로 갖가지 행이 있기 때문에 여래께서 대치법을 설하시어 뒤바뀐 생각을 깨버리셨으니, 마치 고양이 새끼를 위해서 고기와 소, 젖을 덮어 둔 것과 같음을 알아야 한다.

— 동국역경원 역, 「대장엄론경」 권15에서

고양이 새끼에게 “증오의 그침”을 알려주기 위해서 그것을 덮어두거나 닿지 못하도록 올려둔다. 다시 말해, 긍정어로 그것을 가르칠 경우 자기 관념에 휩싸인 중생은 자기 관념의 언어길, 자기 관념의 마음길을 따라 그것을 추구하여 반드시 그르치게 된다. 그래서 여래께서는 그 관념의 세계, 그 관념의 길을 깨버릴 수 있는 묘책으로 부정어로 설한다. “증오는 증오아님에 의하여 그친다.”

“증오아님”은 과연 무엇인가? “사랑”인가? “자비”인가? “용서”인가? “연민”인가? “도움”인가? 그 모두가 다 “증오아님”이면서 동시에 “증오아님”이 아니다. 그럼 도대체 뭐란 말인가? 여기에서 기존 인식의 토대가 와해되지 않으면 답을 알 수 없다. 언어길이 끊어지고 마음길이 소멸해야 한다. 그렇지 못하고 내놓는 답은 먼지티끌 일으키는 사구백비의 끝없는 반복에 불과하다.

구마라집이 아슈바고사의 「대장엄론경」을 번역한 것은 5세기초, 이후 사백여 년이 흐른 뒤 기묘하게도 한 선원의 동당과 서당의 학인들이 “새끼 고양이”를 두고 다투었다고 한다:

하루는 동당과 서당, 양 당이 새끼 고양이를 두고 다투었다. 남전이 이를 보고 들고 일어나 말했다. “말할 수 없다면 베겠다.” 대중이 답이 없자 남전이 새끼 고양이를 베어 두 동강 냈다.
— 「벽암록」 63칙

우리는 출세간의 언어와 마주칠 때 시비와 유무를 벗어난 의미로 이해하려고 애쓴다. 그러나 그 어떤 의미의 언어로 이해하든, 그 어떤 부정어를 반복하든 결국은 시비와 유무, 단상에 떨어지고 만다. 왜 그러한가? 시비•유무•단상을 벗어나려고 하는 “나”를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그가 나를 욕했다, 그가 나를 때렸다, 그가 나를 이겼다, 그가 나에게서 빼앗았다”는 경문을 읽을 때, 나의 “상처와 흔적”에만 주의를 기울이며, 그 상처와 흔적을 거머쥐고 일어서는 가상의 나”에 대해서는 간과하기 십상이다. 새끼 고양이로서의 우리는 여래의 부정어 설법을 어떻게 이해할까 절치부심할 뿐, 정작 그것을 이해하려는 폭류와 함께 일어서는 환화幻化로서의 나를 주목하지 않는다. 남전은 그 “나”, 새끼 고양이를 베어버린 것이다. 상처를 씻어내려는 나! 흔적을 지우려는 나! 증오를 없애려는 나! 경문을 애써 해석하는 나! 경문 해석을 두고 다투는 나! 경문을 이해하려고 수행하는 나! 바로 그 나를 베어버린 것이다. 그와 동시에 그 허깨비에 달라붙어 있던 시비, 유무, 단상, 동서양당, 증오유무가 단칼에 날아간 것이다.

(물론 선어록은 “묘아(猫兒)”를 경전의 새끼 고양이가 아니라 진짜 새끼 고양이로 읽도록 압도하는 강력한 흡입력이 있다. 그렇다면 진짜 새끼 고양이를 남전이 베었단 말인가? 이 살벌한 의문 앞에서 모든 불교도들은 기존 인식이 크게 흔들린다. 불교의 가르침에 철저히 기반한 제반 인식이 커다란 위기에 처한다. 소위 “살생하는 남전”이 불교도들을 죄다 백척간두로 몰아 부치는 것이다. 기실 선어록은 바로 이것을 노린다. 묘아를 실제 새끼 고양이로 읽든 경전상의 새끼 고양이로 읽든 아니면 다른 그 무엇으로 읽든 우리는 남전 앞에서 헤어나올 수 없는 치명적인 위기에 봉착하고 마는 것이다. 공부는 바로 여기에서 시작된다. 공부에 가장 방해가 되는 것은 세간적인 잡념이나 욕망이 아니라 오히려 불교에 대한 생각, 견해, 지식이다. 그 모든 자신의 지식을 전부 쓰레기로 간주할 수 있는 용기가 있을 때 우리는 남전 앞에 당당히 설 수 있다.)

그러나 불교경전에 대한 해박하고 건조한 지식으로 무장한 자, 부처님의 촌철살인을 빌면 “골빈 자”, 한 마디로 “나”를 알지 못하는 자, “나”를 베지 못하는 자, 그는 여전히 상처를 품고 있으며, “증오아님”을 알지 못하며, 증오가 그치지 않으며, 다툼이 그치지 않으며,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된다.

사람들은 알지 못하네, 우리는 지금 죽음에 이르고 있음을.
그러나 이것을 아는 자, 그 앎으로 인해 다툼이 그친다.

우리는 경문 3과 경문 4를 읽을 때, “나를”, “나를”, “나를”, “나에게서”에 큰 의심을 가져야 한다. 이것을 놓치고 그저 동사의 행위와 흔적에만 집중하면, 방치된 “나”는 동사의 행위들을 잡아먹으며 지속적으로 부풀어오른다. “나”가 강화될수록 죽음이 가까이 있다. “나”가 부동의 지위에 오를수록, “우리는 지금 죽음에 이르고 있다.” 증오를 없애려고 하는 가운데, 상처를 지우려고 하는 가운데, 경전을 이해하려고 애쓰는 가운데 도도한 강물처럼 “나”가 흐르고 있으니, “우리는 지금 죽음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나의 광대한 상승과 죽음의 영웅적인 임박이 그려내는 쌍곡선의 좌표를 아는 자, “그 앎으로 인해 다툼이 그치며”, 증오가 그치며, “증오아님”을 알며, 더 이상 상처를 품지 않으며, 죽음을 넘어서며, 마라가 찾지 못하며, 마침내 경문 3에서 경문 6에 이르는 출세간의 여정이 그 전모를 드러낸다. 그리고 이 경문에 대한 세간적 해석 또한 하나같이 더없이 아름다운 눈물이었음이 드러난다.

“verāni … averena sammanti.” — 증오는 사랑에 의해 그친다, 증오는 증오없음에 의해 그친다, 증오는 증오아님에 의해 그친다. 이와 같이 경전의 경문은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다.

“그가 나를 욕했다, 그가 나를 때렸다, 그가 나를 이겼다, 그가 나에게서 빼앗았다”,
이것을 품고 있는 이들, 그들의 증오는 그치지 않는다.

“그가 나를 욕했다, 그가 나를 때렸다, 그가 나를 이겼다, 그가 나에게서 빼앗았다”,
이것을 품고 있지 않는 이들, 그들의 증오는 그친다.

증오는 증오에 의해 여기에서 결코 그치지 않는다.
그러나 증오아님에 의해 그친다, 이것은 오래된 법이다.

사람들은 알지 못하네, 우리는 지금 죽음에 이르고 있음을.
그러나 이것을 아는 자, 그 앎으로 인해 다툼이 그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526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381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2313
126081 장기하가 부릅니다 '그건 니 생각이고'(자본주의하는데 방해돼) new 상수 2024.04.27 11
126080 근래 아이돌 이슈를 바라보며 new 메피스토 2024.04.27 52
126079 마이클 잭슨 Invincible (2001) new catgotmy 2024.04.26 44
126078 [KBS1 독립영화관] 믿을 수 있는 사람 [2] new underground 2024.04.26 64
126077 뉴욕타임즈와 조선일보 new catgotmy 2024.04.26 90
126076 프레임드 #777 [1] new Lunagazer 2024.04.26 25
126075 "이처럼 사소한 것들"은 우리나라에서 개봉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1] new 산호초2010 2024.04.26 127
126074 한화 이글스는 new daviddain 2024.04.26 71
126073 낚시터에서 들은 요즘 고기가 안잡히는 이유 [2] update ND 2024.04.26 231
126072 토렌트, 넷플릭스, 어중간하거나 명작인 영화들이 더이상 없는 이유 [2] update catgotmy 2024.04.26 203
126071 [왓챠바낭] 전 이런 거 딱 싫어하는데요. '헌터 헌터' 잡담입니다 [5] update 로이배티 2024.04.25 328
126070 에피소드 #86 [4] update Lunagazer 2024.04.25 52
126069 프레임드 #776 [4] update Lunagazer 2024.04.25 52
126068 ‘미친년’ vs ‘개저씨들‘ [1] update soboo 2024.04.25 714
126067 Shohei Ohtani 'Grateful' for Dodgers for Showing Support Amid Ippei Mizuhara Probe daviddain 2024.04.25 46
126066 오아시스 Be Here Now를 듣다가 catgotmy 2024.04.25 88
126065 하이에나같은 인터넷의 익명성을 생각해본다 [2] update 상수 2024.04.25 276
126064 민희진 사태, 창조성의 자본주의적 환산 [13] Sonny 2024.04.25 1149
126063 3일째 먹고 있는 늦은 아침 daviddain 2024.04.25 127
126062 치어리더 이주은 catgotmy 2024.04.25 20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