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번역자는 생각도 안하고 외국 소설 읽었는데, 새삼스런 말이지만 외국 소설은 소설가랑 번역자 공저로 읽는 거구나 하는 걸 깨닫게 되요.

심한 오역 같은 기초적인 문제도 문제지만 근본적으로 번역자가 얼마만큼의 문학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지, 독자는 책을 끝까지 읽고서도 그 걸 알 수 없다는 게 어떨 때는 화가 나요.

 

얼마전 어떤 블로거가 김훈이 쓴 '화장'의 첫 문장을 영어로 번역하면 어떤 말이 적당할지에 대한 자문자답을 하더라고요.

 

첫 문장이 "운명하셨습니다." 거든요. 아주 단순한 말이잖아요. 이거 뭐라고 번역해야 할까요?

 

그 블로거가 말하길 She is dead? She's expired? She's gone? 아님 멋있게 She's just brethed her final breath? 혹은 직역한답시고 Her fate is done?

그런 거 다 틀렸고, 미국에서 소설처럼 의사가 유가족에게 고인의 죽음을 알려야 하는 상황이면 뭐라고 했겠냐를 생각해야 한다고, 그럼 하나 나온답니다.

"I'm sorry we've lost her" 라고요. 운명하셨습니다의 간결한 느낌을 살리려면 I'm sorry만 쓰는 게 날 것 같다고.

 

아주아주 간단한 단 하나의 문장만 생각해도 이러한데, 소설을 번역한다는 건 말 그대로 재창작이지 않을 수 없잖아요.

그런데도 저는 작가는 기억해도 번역자는 기억 못하죠.

 

쓸데없는 말이 길었는데, 질문이요. 번역가에 대한 정보나 의견이 모아져있는 웹사이트 없을까요??? 아니면 번역가를 전문적으로 평가하는 평론가가 있다든가??

번역자 신경쓰면서 소설 읽으세요?


(글수정: 번역가 신경 쓰면서 보는 분들은, 어떤 점을 보신다 하는 포인트 같은 게 있으세요? 아래 golotr 님 댓글 보니까 저런 식으로 볼 수 있구나 배워서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1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16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990
216 머니볼을 봤어요. [3] 슈크림 2011.11.17 3122
» 번역자 확인하고 소설 읽으세요? [20] 호레이쇼 2010.10.14 3114
214 [사진] 튤립을 무료로 분양 받아 왔습니다 (그외 동물들 사진 재중) [14] miho 2012.05.18 3111
213 모든 남녀관계에 감정적 또는 정신적 (소녀)가장이 되는 사람 [5] Koudelka 2012.04.24 3110
212 다시 배우는 타이핑-일주일만에 두번째 기기를 입양했네요. [8] Nichael 2013.04.05 3108
211 미쓰고에서 나온 벽그림 애니메이션(?) 이거네요ㅋ [6] 이요 2012.06.28 3104
210 방송사 공동수상이 이해 못할 일도 아니군요... [6] S.S.S. 2011.01.03 3102
209 태권v 마징가z [1] 가끔영화 2010.09.29 3100
208 듀나인) 스포티한 원피스는 어디에서 파나요? [7] 메잇 2010.07.06 3092
207 [바낭] 오늘 유희열의 스케치북은 결방이군요. [9] 로이배티 2011.06.10 3071
206 방드라디에 대한 이야기 조금 [8] 루아™ 2013.01.12 3055
205 [바낭] 떡밥은 별로 없어도 관성으로 그냥 적는, 이 주의 아이돌 잡담 [14] 로이배티 2013.04.21 3052
204 [병원잡담하나더] 많은 일이 일어나네요 -_-a [18] 말린해삼 2011.02.21 3026
203 [잡담] 항상 먼저 도망쳤어요. [11] 라곱순 2013.01.15 2997
202 왠지 수긍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었겠죠... ^^;;;; [4] 눈의여왕남친 2010.09.05 2991
201 당장 이별하고 싶은데 이별의 발목을 잡는것은? [14] 오늘은 익명 2013.03.27 2989
200 정다래 선수,국가대표도 부끄럼을 타나 봅니다.[자동재생] [10] 말린해삼 2010.11.16 2972
199 강용석 몹시 화났다 [2] 가끔영화 2010.12.01 2971
198 [바낭] 오늘의 떡밥 때문에 떠오른 꼬꼬마 시절의 추억 [25] 로이배티 2013.05.14 2961
197 [바낭] 사랑이 식을 순 있죠. [13] 가라 2011.11.28 295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