뭔가 이래저래 일들이 겹쳐서 일주일 내내 (라고 해 봤자 3일째지만;) 불면 노동의 밤을 보내고 있습니다.


새벽 세시쯤까지 하다가 자고 출근.

퇴근하고 컨디션이 메롱거려서 제대로 일 못 하다가 밤 열두시나 되어서야 일에 손을 대기 시작해서 네시쯤 자고 출근.

퇴근하고 한층 더 거시기해진 컨디션 때문에 아예 잠부터 잔 다음에 열두시쯤 부스스 좀비처럼 침대에서 기어나와 일을 하다가 지금 시간... 이고 아마 오늘은 이대로 출근할 듯 싶네요.


맨날 일이 많다 일이 많다 투덜거리지만 사실은 대학생 시절부터 형성된 게으른 습관 탓이죠. 

1. 중요한 일은 마감 바로 전날 밤을 새우며 하면 된다. (혹은 그렇게 해야 제 맛이다.)

2. 물론 밤을 새우는 건 0시 이후부터...;

전 제 이런 습관을 '대학생 스피릿'이라고 부릅니다만. 뭐라고 부르든 간에 실상은 그냥 게으른 거죠. 반성합니다. 십여년째 반성하고 있어요. -_-;;


암튼 오늘도 그렇게 일을 하고 있는데. 역시 습관 탓인지 시간대별로 컨디션이 비슷비슷하게 변화하는 게 있어요.


일단 열두시부터 한시~두시 정도까진 사실상 거의 빈둥거리는 시간입니다. 일 하겠답시고 셋팅은 다 해 놓았지만 졸립고 피곤하고 머리는 멍하고 뭘 하려고 해도 머리가 안 돌아가고... 결국 일거리는 옆에 두고 인터넷만 클릭 클릭. <-

두시가 넘으면 그제서야 뭔가 일이 좀 되기 시작하죠... 라기 보단 그냥 그 때부터 위기감을 느끼기 시작하기 때문에(...) 그래서 일단 '시작'을 하게 되고 또 그렇게 시작을 해 놓고 나면 그제서야 '아. 이 일이 사실 그렇게 막막한 건 아니었군하!' 라는 걸 깨달으며 열심히 진도를 나가게 되죠. 가장 보람찬 시간이라 하겠습니다.

하지만 만화책을 보는 것도 아니고 게임을 하는 것도 아니고 영화를 보는 것도 아닌 '일'을 하는 것인지라 제 미천한 집중력으론 한 시간 반에서 두 시간이 한계에요. 그래서 집중력이 가파르게 하강 곡선을 그리게 되는 시간이 대략 세시 반에서 네시쯤. 또 그 때 쯤엔 '그래도 이 정도면 꽤 했는 걸?' 이라는 택도 없는 안도감이 찾아오기도 하고, 또 밥을 먹은지 여덟시간이 넘게 지났으니 공복감도 느끼게 되어 '이러다 아침도 못 먹을 텐데 지금 라면이나 끓여 먹을까?' 라는 생각이나 하면서 다시 빈둥빈둥 의미 없이 시간만 죽이게 되죠. 이 시간을 잘 넘겨야 밤을 새운 보람을 찾을 수 있다는 건 잘 알지만. 그래도 사람이란 게, 습관이란 게 그리 쉽게 변하지 않는지라.


그래서 바로 지금이 그 시간이라는 얘기죠.


그래서... 너구리가 좋을까요 짜파게티가 좋을까요?(...)


하지만 과연 전 이렇게 빈둥대도 좋을 만큼 일을 해 놓았을까요?


이렇게 대화체로 떠들고 있는 이 글에, 이 시각에, 과연 리플이란 게 달리기나 할까요?


알 게 뭡니까. ^^;




나는 뭐시기다 때문에 새삼 화제가 되고 있는 모 가수의 노래 중 제가 유일하게 좋아했던 곡이나 한 번 올려 보면서 물러갑니다.

짜파게티 끓이려구요(...)


저와 비슷하게 어쩔 수 없이 밤을 새우는 중이신 분들.

창 끄고 얼른 일 하세요 일! 으하하.


+ 박정현의 '내 낡은 서랍 속의 바다'를 들으며 작업 중인데. 이미 여기서도 여러번 지적되었지만 정말 좀 심하게 퍼플레인이네요. 그냥 무대에서 부르고 만 것도 아니고 음원까지 만들어 파는 곡에 이래도 되나 싶은 생각이 문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5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0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77
53 영화 통증, 의외로 괜찮았어요. [3] 감자쥬스 2011.09.30 1645
52 민주주의가 어떻게 민주주의를 해치는가 by 움베르트 에코 [7] 만약에 2011.09.28 2598
51 진짜 케논 [2] 가끔영화 2011.09.22 889
50 메리 루이즈 파커 & 로라 리니 프레데릭 2011.09.02 1508
49 연애가 끝나니까 할일이 정말 없군요. [5] 새빨간처자 2011.08.30 3095
48 아이패드 2의 결정적인 문제점을 깨달았습니다. [1] 걍태공 2011.08.27 3117
47 전기차동차 / [브라이언의 생애]를 둘러싼 코메디 드라마 [2] ginger 2011.08.15 1284
46 오늘자 다이어터 - 무염식 저탄수화물 식사의 위험성, 저나트륨혈증 [5] 라곱순 2011.08.05 5659
45 [스포일러] 오늘 나는 가수다 감상 [13] 로이배티 2011.07.31 4299
44 해외 사진 [3] 가끔영화 2011.07.26 1503
43 왠지 시간이 멈춘 듯한 느낌....<2011 프로야구 올스타전> [5] soboo 2011.07.23 1759
42 불굴의며느리 34살이 무리인가요 [15] 가끔영화 2011.07.04 4973
41 [자동재생] 아, 이건 사야해 - H홈쇼핑 도니도니 돈까스 [11] sweet-amnesia 2011.06.28 3790
» 횡설수설 - 밤을 새우는 개인적인 패턴 [7] 로이배티 2011.06.16 2150
39 [공연] Museo Rosenbach 내한 공연 소식 10월 8일 (토) [7] espiritu 2011.06.13 1128
38 L.A. 컨피덴셜을 다시 봤습니다 [14] 로이배티 2011.06.02 3338
37 조셉 고든 래빗 <링컨> 출연 ---> 정정--->추가 [5] Aem 2011.05.24 1794
36 (바낭) 손수 만든 단호박찜, 몇 년만의 배드민턴 [1] Ripa 2011.05.23 1839
35 한살짜리 아기와의 인터뷰 [9] 찾기 2011.05.21 3242
34 [시국좌담회] 13회기 녹취록입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일단 미완성입니다. (좌담회 멤버들 접속해 있으면서 댓글도 없고 난 자플 달 뿐이고 OTL) [6] nishi 2011.05.17 10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