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중앙일보 기사입니다. 모님의 블로그를 링크했습니다.

http://blog.naver.com/shdct?Redirect=Log&logNo=50106633537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view.html?cateid=1046&newsid=20110304002517873&p=joongang 

 

리비아 미스라타항에 정박한 그리스 여객선 로도스호. 이 배는 대우건설 리비아 현장의 한국·외국인 근로자 499명을 태우고 2일(현지시간) 그리스로 출발했다. [대우건설 제공]

2일 오후 1시40분(이하 현지시간). 리비아의 미스라타에 그리스 국적의 대형 여객선 한 척(니소스 로도스호)이 입항했다.

대우건설이 리비아 건설현장 근로자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급히 빌린 배다. 로도스호가 접안하는 순간 항구에 모여 있던 근로자들은 "살았다" "집에 갈 수 있다"며 환호했다.

 

미스라타에서 배를 탄 이는 모두 499명. 이 중 한국인은 55명뿐이다. 나머지는 대우건설이 고용한 인도·이집트·말레이시아 등 제3국 근로자들이다.

대우건설은 로도스호 외에 트리폴리와 벵가지에도 여객선 한 척씩을 투입했다. 3척의 배로 빼내 올 대우건설 근로자는 모두 2772명. 이 가운데 한국인은 164명이다.

이집트 근로자 무함마드(38)는 "회사(대우건설)가 우리까지 챙겨줄 줄은 몰랐다"며 "한국건설이 강국 지위에 그냥 오른 게 아니다"고 눈물을 글썽거렸다.

 

대우건설은 제3국 근로자들이 각자의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항공권도 마련해 줬다. 항공료와 선박 운임·임대료를 합치면 60억원 넘는 돈이 들었다.

대우건설 서종욱 사장은 "지금은 돈이 문제가 아니라 근로자들의 안전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대우뿐 아니다. 현대건설도 여객선 2척을 빌려 수르테에서 730여 명(한국인 94명)을 대피시키고 있다.

현대건설 김중겸 사장은 "3국인이든 한국인이든 모두 동료"라며 "생사를 같이하는 게 당연하다"고 말했다.

 

  다른 나라 건설업체들은 대개 3국인 근로자를 챙기지 않는다. 그 바람에 이집트·튀니지 국경에는 외국 건설업체가 고용한 제3국인들이 난민이 돼 몰리고 있다.

국토해양부 도태호 중동대책반장은 "외국 건설업체들이 자국민만 빼가면서 (리비아 국경에) 난민이 늘고 있다"며 "제3국 근로자까지 챙기는 업체는 사실상 우리 건설사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현대건설이 빌린 배를 탄 말레이시아인 알리(31)는 "(한국 건설회사에 고용된) 나는 운이 좋았다"며 "다른 나라 업체의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고향 친구는 난민이 됐다"고 말했다.

 

위험한 상황일수록 빛을 발하는 '한 가족' 의식은 '건설 한류'의 원동력이다.

해외건설협회 이재균 회장은 "지난해 한국 건설은 반도체·자동차보다 많은 715억 달러를 벌어들였다"며 "

이런 건설 한류는 국내 업체들이 인도주의를 바탕으로 신뢰를 쌓아온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2003년에도 전례가 있다. 미군이 쿠웨이트를 침공한 이라크 군대를 폭격할 때 SK건설은 전세기를 동원해 3국 근로자를 안전지대로 대피시켰다.

 이때 감명받은 근로자들은 전쟁이 끝나지 않았는데도 스스로 복귀해 공사를 제때 마칠 수 있었다. 황정일 기자 < obidiusjoongang.co.kr >

 

/////////////////////////////////////////////////////////////////////////////////////////////////////////////////////////////////////////////////////////////////////////////////////////////////////////////////////////////////

 

 

 

보기에 좋은 소식이었습니다.

국격상승이나 국위선양은 역시 민간이... ( 망치고 다니는 사람들이 더러 있기도 하지만.)

공황상태에 빠져 있을 때, 손을 내밀어 잡아주는 친구.

속내야 어쨌든 어려울 때 서로 돕고 사는 모습은 보기에 좋습니다. 짝짝짝!!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4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19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70
33 일본 아이돌 아이도링구(Idol+ing)의 Queen Bee~少女の時代から(쇼조노지다이카라)~ [1] @이선 2011.05.13 1551
32 김기영 감독의 데뷔작 <주검의 상자> 발굴 및 상영 nixon 2011.04.14 1482
31 KT 2G 서비스가 6월말 강제 종료라는데 [9] 마음의사회학 2011.04.14 1786
30 러빙래빗님 쉬러 가셨네요(내용없음) [16] 가끔영화 2011.04.06 3227
29 이렇게 둔한 나 [3] 가끔영화 2011.04.04 1792
28 로또당첨에 대한 계획이 다들 소박하시군요. [16] 자두맛사탕 2011.03.30 2586
27 [양도] 바슈롬 원데이 렌즈 -8.00D, -7.5D 양도 [3] 가라 2011.03.30 1656
26 크리스천의 性 [16] catgotmy 2011.03.26 3829
25 라스 폰 트리에의 [안티 크라이스트]가 개봉하네요. [5] 프레데릭 2011.03.17 2067
24 제가 요즘 사랑하는 요거트 두 개 [8] 프레데릭 2011.03.16 3107
23 [바낭] 언제 어른이 되는가? [3] 마음의사회학 2011.03.10 1346
» [기사] 한국은 친구를 버리지 않았다. = 국위선양은 역시 민간이.. [4] 고인돌 2011.03.04 2489
21 가지마라~설 연휴야 가지마라~!! [2] 수지니야 2011.02.04 1831
20 잡담 [11] 세상에서가장못생긴아이 2011.01.21 3489
19 편두통, 빈혈에 대한 흔한 오해 [12] 남자간호사 2011.01.09 4835
18 슈퍼인생게임 [1] 자본주의의돼지 2011.01.08 1420
17 크리스마스 홀로 보낸지 몇년 되었습니까? [10] chobo 2010.12.24 2000
16 [설문] 만 20세 - 법적으로 완전한 성인이 되면 무조건 본가에서 나간다? [15] 고인돌 2010.12.18 2769
15 [바낭] 과연 지금까지 기억하고 좋아하는 사람이 있기는 할까 싶은 옛날 가요 하나 [18] 로이배티 2010.12.09 2610
14 [바낭] 더치 페이, 더치 페이, 하니까 말인데... [4] 우잘라 2010.12.06 179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