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설날 하면 기억나는게 뭐 있으세요?


뭐니 뭐니 해도 설날 하면 세뱃돈이 기억에 남는군요. 전에 설날 되면 할아버지 친구분들이 명절에 찾아오시곤 했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그 분들께 세배를 드리게 되고..


이후엔 세뱃돈을 챙기게 되죠 (아싸~~~~~~~~~~~~~~~~~~~~~~)


세뱃돈은 어머니와 정산을 거쳐 그 돈에서 옷을 사주시거나 만화책을 비롯해 장난감을 사고 나머지 액수는 어머니의 주머니 속으로.. 사라집니다. 


기억에 남았던 세뱃돈은 초등학교때 나름 거액을 받고 그거 없어질까봐 잘때도 꼭 손에 쥐고 잔 기억이 지금도 납니다. 그리고 액수로 대박이었던 건 고3 졸업하고 대학 들


어 갈때 아마 살면서 그렇게 많은 거액의 세뱃돈은 전무후무했죠. 그 돈으로 친구들하고 사먹고 놀고 다시 그 돈으로 용돈까지 썼으니까.. 뭐 그랬다는 겁니다. 



1. 초등학교 시절 집 건너 건너에 같은 학교 선생님이 사셨습니다. 지금은 동네가 많이 변했지만 그때만 해도 동네가 다들 정착해서 사는 동네라 옆집 누구 라는건 너무나 잘


알았죠. 설날 오후에 동네 애들끼리 모였는데 날씨는 춥고 집에 가긴 싫고 해서 빈둥거리다 누군가 반짝 하는 아이디어를 냈습니다. '야 우리 선생님 한테 세배가자'


이 선생님이 초큼 무서우시긴 했지만 그렇게 거부감이 드는 분은 아니었거든요. 다만 좀 그런건 이 선생님 남편께서는 선생님 아내를 둔 걸 훈장삼아 동네 초등학생만 보면 


'야 이리와 ' 불러놓고 '담배 심부름'을 시켰습니다. 요즘 같은 때라면 난리가 날일이죠. 뭐 심부름값이 꽤 쏠쏠한 탓에 애들 중에선 기분 나쁘단 소리는 안나왔죠. 


저녁 해가 지기 시작할때 애들 몇 명이 세배를 하려고 선생님 집 앞에서 '선생님' 하고 외쳤습니다. 그러니까 선생님께서 좀 이따 나오시고 동네 애들이 찾아온걸 보시더


니 의외의 손님에 놀라는 눈치셨습니다. 어쨋건 바람이 무척 차서 선생님은 안에 들어오게 하시고 학생들의 세배를 받으셨습니다. 그 선생님이 당시 약 50대 정도 되신 분이


라 자녀 출가 다 시키시고 부부 두 분만 제법 큰 집에서 사셨거든요. 뭐 명절 파장이니 내놓을 건 없고 과일하고 한과 그런거 좀 내놓으셔서 그거 먹고 선생님이랑 이야기 하


다. 몸 좀 녹이고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그 뒤로 그 선생님한테 세배 간적은 없었던 걸로 봐서 얼마후 두 분 사시기에 큰 편인 집을 처분 하시고 다른데로 가시지 않았나 싶군


요. 내일이면 세배 할꺼고 이제 듀게의 삼촌 이모들은 모두 다소간의 세뱃돈을 조카들에게 주시겠군요. 저도 이제 세뱃돈을 받기보단 줄 나이가 되다 보니까 세배 생각도 많


이 나는군요. 요즘 설날 분위기는 모르겠어요.



2. 오늘 집에 보니 사과 상자가 와 있더군요. 그래서 이거 뭐냐고 하니까 방세 하고 전기세 재때 안내던 집이 이사를 간답니다. 우체통에 보면 맨날 세금 청구서가 몇달씩 밀


려서 안낸걸로 나온 집이라 바로 기억했는데 어머니 말씀을 듣고 보니 좀 그런게... 하도 방세고 뭐고 늦거나 몰아내서 동생은 '하는 짓 보니까 술집 나가는 게 뻔하다'고 이


야기 할 정도였죠. (물론 저는 당연히 거기 의견에 대해 반대였죠). 근데 알고 보니 큰 언니는 대기업 다니는데 너무 바빠서 맨날 세금이나 그런게 늦은거라고 하고 동생은


대학 나오고 다시 방송대학교 다닌다고 하고. 둘 다 수입은 좋은 편이라 막내 동생 제대 하면 어학연수 보내주고 학비 보조해줄 생각이라고 하더군요. 어머니는 그 자매 고


향 이야기 하면서 '충청도 양반이라더니 맞는 말'이라고 하고 저는 그 대화를 동생이 좀 들어야 하지 않나 싶었습니다. 거기다 어쨋건 주인집이라고 선물까지 하는거 보고 


'사람은 겉 모습만 보고 판단 할 수 없구나' 라는 생각 했습니다.



3. 어제 설빔 샀어요. 어제 임플란트 이후 잇몸 상태 체크하러 치과 갔다 오는 길에 백화점에 들렀거든요. 서점 갔다 그 옆에 있던 모 브랜드 매장을 구경했습니다. 살 생각


은 별로 없고 보다가 하늘색 종류 셔츠를 발견 하는데 꼭 사고 싶었어요. 결국 그거 한 벌 사서 입고 보니 몸에 대충 맞는데 다만 여기서 더 살이 찌면 안되겠다라는 경각심


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근데 아무리 브랜드이고 대기업에서 취급해도 그렇지 셔츠 한 벌에 5만원이 넘는건 심하지 않나 싶더군요. 물론 색깔도 예쁘게 잘 나오고 디자인도


깔끔하긴 하지만 (마트에서 파는 옷들은 반성해야 할 부분) 그래도 브랜드 상품들 너무 비싸단 생각드는군요. 다음 부턴 아마존 구매 대행 거쳐서 사버릴까 하고 있습니다.



4. 오늘 설날 맞이 방청소를 했습니다. 언제나 하면서 느끼는 거지만.. 아무리 내 방이라지만 정말 방을 돼지 우리 처럼 쓰는 구나 라고 생각이 드는군요. 먼지 다 빨아들이고


싹 걸레로 닦고 나니 이제 사람 사는 집에 상당히 가까와지는군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5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32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92
16 위젯에서 꺼낸 걷기 도우미 [5] 여름숲 2014.11.03 1430
15 류우익 후보 컨닝페이퍼 가끔영화 2011.09.14 1416
14 청주에서 인디음악영화제를 하는데요.. [3] bebijang 2011.01.29 1414
13 [아이돌] 인피니트 '그 해 여름' 콘서트 티저 영상 [6] 로이배티 2012.07.31 1395
12 포레스트 검프에 나오는 노래 몇개나 아시나요 [3] 가끔영화 2011.07.22 1383
11 일종의 영퀴-누구일까요? [8] 자본주의의돼지 2010.12.07 1337
10 일본 온라인 쇼핑몰 중에 음반, 영화, 도서 등등 해외 구매 가능한 사이트 소개해주세요. [8] chobo 2013.01.21 1306
9 오랜만입니다. [10] 룽게 2019.08.08 1294
8 [느슨한 독서모임] 다음 책은 캐슬린 배리의 「섹슈얼리티의 매춘화」 입니다. 레옴 2012.05.04 1243
7 빨래 헹구는 세재 청소 잘 되는군요 [2] 가끔영화 2011.11.27 1222
6 빠른 새해 맞이 [1] 양자고양이 2010.12.31 1207
5 오늘 야구 재밌겠군요 [1] 가끔영화 2011.11.29 1180
» 설날 하면 기억에 남는 사건이나 일들 뭐 있으세요? [1] Apfel 2011.02.02 1170
3 [염치없는 홍보글] 요새 팟캐스트 방송을 하고있어요. [2] TooduRi 2013.08.05 1064
2 다들 복 많이 받으세요. [11] 칼리토 2015.02.17 893
1 저도 야자!!! Aem 2011.12.31 65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