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에 적었던 개인 감상글인 점 양해바랍니다..

그래서 반말입니다. 

 ==========================================================================

 

7년동안 봐왔던 드라마가 끝났다.

미국 드라마 'MEDIUM'

 

미디엄의 내용을 간단하게 소개하자면

앨리슨 드부아라는 영매가 능력을 인정받아

지방검사사무실에 들어가 사건 해결에 도움을 준다는 내용이다.

 

주인공 앨리슨은 실존인물을 모델로 하고있지만 드라마의 내용은 대부분이 허구이다.

 

매회 앨리슨의 꿈으로 시작하는데(예외도 있다.)

이 꿈은 그 날 에피소드 전체를 암시하는 내용이거나

사건에대한 중요한 단서를 담고있다.

 

재밌는 것은 앨리슨이 꾸는 꿈에 다양한 형식을 시도해왔다는 것이다.

뮤지컬,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영화 패러디

심지어는 셀로판지 안경으로 볼 수있는 입체영상까지...(!) 

 

앨리슨이 맡게되는 강간,살인,납치 등의 살벌한 사건과 대비되는 훈훈한 가족드라마도

드라마의 또 다른 큰 재미를 주는데, 네명의 아역배우가 7년간 커가는 모습을 그대로 볼 수 있다.

 

연출에서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때때로 미묘하게 소름끼치는 상황을 잘 잡아낸다는 점

음악 사용을 절제하면서도 중요한 부분에만 효율적으로 사용해서

삽입곡이 나올 경우 오래도록 강한 인상을 남긴다는 점

결말을 군더더기없이 칼같이 끊어내서 여운을 남긴다는 점 등이 돋보였다.

 

또 앨리슨의 능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뽑아낸다는 점도 인상적이다.

보면 알겠지만 빙의된 앨리슨은 정말 갖가지 해괴한 증상들을 선보인다.

(덕분에 남편이 온갖 수난을 당하며 성자의 칭호를 얻기도...)

또 앨리슨의 꿈을 이용해 미래와 과거를 오가는 시간 여행물처럼 진행될 때도 재미가 있다.

 

전 시즌을 통틀어 가장 소름 끼치는 무서운 에피소드는 1시즌의 커밍순 에피소드였다.

처음 봤을 때 심장이 내려앉는 느낌을 받았던 것을 지금도 잊지 못 하고 있다.

 

 

 

 

 

 

 

 

 

 아래는 결말을 암시하는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댓글에 결말에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결말 부분에 대한 생각을 댓글로 추가했습니다.

 

 

 

 

 

 

 

 

 

 

 

 

 

 

하지만 정말 하고싶었던 이야기는 이게 아니고

이 드라마의 마지막 회에 대한 것이다.

욕을 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나는 이 결말이 마음에 들었다.

최소한 강한 인상을 받았다.

욕하는 사람들은 드라마가 기대했던데로 흘러가지 않아서 화를 내는 것일까?

확실히 극단적으로 막나가는 급전개였고 시청자가 기대했을 법한 것들을

대부분 무시하며 뒤통수를 쳤다.

 

그래도 난 좋았다.

 

미디엄에서 항상 다뤄왔던 것은 죽은 자와의 소통이었고

이번에는 마지막회답게 다루어야 할 가장 중요한 것

클라이막스를 이루기에 가장 큰 요소를 집어넣은 것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요즘 죽음에 대해 자주 생각하게 된다.

소중한 사람들과의 이별에 대해서도 많이 떠오른다.

조금 두렵기도 하다.

실제로 영원한 것은 없으니까 모든 것은 언젠가 사라질 것이기 때문에

삶이 끝나기 전에 조금이라도 더 행복해지기 위해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사실 이 드라마의 마지막 장면은 영원한 사랑에 대한 판타지처럼 느껴진다.

죽어서도 영혼이 돌아다니고 사후세계가 있고...물론 나는 있었으면 좋겠다.

하지만 갈 수록 이런 건 믿기지가 않는다.

뇌도 없는데 죽어서 무슨 생각과 기억을 한다는 말인가?

 

뭐가 어떻던 미디엄의 마지막 장면을 여러번 다시 봤다.

키스씬에 큰 감흥을 받고 여러번 돌려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멜로드라마에 딱히 관심없는 나도 이 드라마의 두 주인공인

앨리슨과 조 부부의 사랑이야기 만큼은 열렬히 지지해왔기 때문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회원 리뷰엔 사진이 필요합니다. [32] DJUNA 2010.06.28 83017
» [TV] 미디엄(Medium) 국내 방영제- 고스트 앤 크라임 [6] [1] 꽃과 바람 2011.01.27 4581
261 [영화] 고수들의 세계 [검우강호] [3] [1] taijae 2010.10.07 4589
260 [영화] 희소하다, [여의도] (스포일러) [4] [1] taijae 2010.11.25 4591
259 [영화] 하녀(2010) [3] brunette 2010.07.31 4597
258 [영화] 리벤지: 사랑 이야기 復仇者之死 [17] Q 2011.07.23 4599
257 [영화] '로맨틱 코미디'를 만드는 방법, [시라노;연애조작단] [1] taijae 2010.09.05 4600
256 [영화] 창 [1] [18] ML 2012.11.18 4618
255 [영화] 카우보이 앤 에일리언 Cowboys & Aliens [11] 곽재식 2011.08.15 4620
254 [영화] 무서운 행복 (Frygtelig Lykkelig, 2008) : 덴마크산 시골 느와르 [1] 조성용 2010.03.16 4623
253 [영화] 부당거래 [3] [1] 곽재식 2010.11.20 4634
252 [영화] 굿바이 키스 Arrivederci amore, ciao <유로크라임/암흑가의 영화들 컬렉션> [3] [16] Q 2012.06.16 4650
251 [영화] 미션 투 마스(Mission to Mars, 2000) [2] [25] hermit 2012.08.17 4654
250 [영화] 저지 드레드 3D(Dredd 3D, 2012) [22] hermit 2013.02.10 4661
249 [영화] 역린 언론 시사 후기 [1] 김별명 2014.04.23 4663
248 [영화] 악마를 보았다 [1] r2d2 2010.09.03 4676
247 [영화] 아저씨 [1] [1] milk & Honey 2010.08.20 4689
246 [영화] 그린 존 (Green Zone, 2010) : WMD를 향해 질주하는 정치액션스릴러 [15] 조성용 2010.03.27 4693
245 [영화]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 The Postman Always Rings Twice [1] 곽재식 2011.04.04 4695
244 [책] 멀티버스 (에스콰이어 한국어판 2011년 10월호 별책부록) - "읽다가 그만두면 큰일 나는 글"을 중심으로 [7] [1] 곽재식 2011.09.22 4708
243 [영화/책] 그시절, 우리가 다같이 좋아하던 여자아이 那些年, 我們一起追的女孩 [2] [4] waverly 2012.03.12 471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