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잡담이나 조금. 며칠 전 듀나 님 리뷰를 보고 영화를 두 편 봤습니다. 

그 중 오토 프레민저 감독의 [살인의 해부](1959)


이 감독님의 영화 중 본 게 뭐 있나 찾아 봤어요.

'돌아오지 않는 강'(1954) '슬픔이여 안녕'(1958) '영광의 탈출'(1960) 세 편이더라고요. 모두 예전에 tv에서 보았네요. 

기억에 선명하게 남은 순서로 표시하면,  슬픔이여 안녕 > 영광의 탈출 > 돌아오지 않는 강. 

'돌아오지 않는 강'은 마릴린 먼로의 노래만 기억나요. 

'영광의 탈출'은 아는 게 없던 나이에, 저런 일도 있었나 봄...대단한 유태인...폴 뉴먼 멋있음... 수준의 감상이었고 주제곡이 mbc 주말의 영화 시그널 곡으로 쓰였다는 기억만 있습니다.

'슬픔이여 안녕'은 화제의 작가 프랑수와즈 사강과 진 세버그, 데보라 카, 데이빗 니븐 배우들과 주제가를 부른 줄리엣 그레코까지, 충격적인 조합이었죠. 영화를 볼 당시의 감수성 만만한 나이의 저에게 각인될 수 밖에 없었던 영화였습니다. '슬픔이여 안녕'이란 제목이 직역이긴 한데 우리말 느낌과 달리 Bonjour Tristesse 는 '슬픔아 잘 가(꺼져)'의 의미가 아니고 '슬픔아 왔니(어서와)'라는 아침 인사였단 걸 나중에 알았던 생각도 나네요. 젊고 미숙한 것이 고통스럽고 자기를 주장할 수 있는 일은 망쳐놓는 일 뿐. 많은 젊은이의 헛발질을 무척 서글프게 그렸던 영화였어요. 극동의 아시안 청소년이 이입하긴 어려운 서양 유한계급 선남선녀들의 이야기인데도 잘도 마음을 두근거리며 봤던 기억이 납니다.    

  

이번 영화까지 네 편을 보고 제목을 훑으니 오토 프레민저 감독님 영화는 소재나 주제가 다종다양한 것 같습니다. 

'살인의 해부'는 살벌한 제목과 달리 뭔가 아기자기했어요. 제임스 스튜어트가 변호사로 활약하는 법정물입니다. 그런데 이 변호사와 그의 주변 사람에게는 여유만만, 느긋함, 유쾌함이 느껴집니다. 물론 살인 사건이고 법정에서 치열한 공방이 오가는데 심각하고 무거운 분위기가 없어요. 느와르, 미스터리라고 씨네21에 소개되어 있던데 코미디 같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미심쩍은 의뢰인이라는 익숙한 내용이었고 살인 사건이지만 편안한 느낌으로 즐겁게 봤습니다. 


마무리는 '슬픔이여 안녕'에서 줄리엣 그레코의 노래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2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6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44
125523 [정보] [블레이드 러너 2049] 메가박스 돌비시네마에서 해요. [2] jeremy 2024.02.18 193
125522 홀로코스트는 특별한 일? [5] catgotmy 2024.02.18 354
125521 프레임드 #709 [4] Lunagazer 2024.02.18 59
125520 msm 식이유황 무릎에 좋네요 catgotmy 2024.02.18 150
125519 조회 수 [10] thoma 2024.02.18 318
125518 촛불집회 & 팔레스타인 연대 시위 다녀왔습니다! [2] Sonny 2024.02.18 258
125517 요새 유난히 팬들이 속끓이고 있을 해축팀 daviddain 2024.02.18 196
125516 [핵바낭] 한 맺힌 방학이 끝나갑니다 [8] 로이배티 2024.02.18 412
125515 라스 폰 트리에 킹덤 (2편까지는 스포 있습니다) [9] 일희일비 2024.02.18 316
125514 4k 레퍼런스 타이틀 추천 [4] theforce 2024.02.17 218
125513 프레임드 #708 [4] Lunagazer 2024.02.17 362
125512 삼두 근육 운동 catgotmy 2024.02.17 420
125511 프랑스 이름 장 [4] 돌도끼 2024.02.17 546
125510 테니스화를 신은 컴퓨터 [4] 돌도끼 2024.02.17 550
125509 여윽시 로마노 ㅋㅋㅋㅋ [1] daviddain 2024.02.17 416
125508 [바낭] 21세기 인간은 인간의 꿈을 꾸는 AI를 꿈꾸는가 [3] 스누피커피 2024.02.17 527
125507 [웨이브바낭] 국산 호러 애니메이션 앤솔로지, '호러나이츠' 잡담입니다 [8] 로이배티 2024.02.17 734
125506 프레임드 #707 [2] Lunagazer 2024.02.16 349
» 윤석열 때문에 책 진도 빼기 어렵네요. [6] thoma 2024.02.16 877
125504 윤석열 때문에 영화 글을 쓸 수가 없네요 [7] Sonny 2024.02.16 104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