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 드라마를 보며 잡생각입니다.

2023.10.31 11:34

thoma 조회 수:280

'더 프랙티스' 3시즌 중반을 보고 있어요. 그리고 벤야민 평전을 몇 페이지씩 찔끔찔끔 읽고 있고요. 아마 그래서 이런 밑도끝도 없는 잡생각을 하나 봅니다. 


현실에서 어떤 사람의 범죄 행위가 일어납니다. 특정 시간과 공간에서 일어난 개별 인간의 행위란 점에서 유일무이한 사건일 수 있어요. 수백 가지 요소들이 작용한 매우 우연적이고 물렁물렁한 일이라고 볼 수도 있어요. 

이 현실에서 일어난 일이 경찰이 수사하고 사건이 되고 변호사, 검사들이 붙어서 재판을 하면서 우연과 물렁물렁함은 어떤 형태를 갖춥니다. 어떻게든 기존의 케이스를 찾고, 아는 지식으로 분류를 해서 유무죄와 형량을 정할 수 있는 형태를 만듭니다. 그 특정한 형태로 갖추어진 사건이 판결을 받습니다.

이렇게 판결을 받은 실제 사건은 1차로 다듬어진 것입니다. 그리고 제작진에 의해 어떤 사건이 선택되어 드라마가 만들어지면서 2차로 다듬어집니다. 쳐내고 잇고 붙이고 드라마 캐릭터의 허구적 성격도 더하여 현란한 언어적 공수로 재무장된 사건사례가 되는데, 두 번 다듬어진 그것을 우리는 시청합니다. 


저는 책, 영화, 드라마로 현실을 배운다는 생각을 합니다. 재미도 중요하지만 현실 경험과 감각이 부족한 저에게는 책과 영화가 배움의 통로로도 큰 역할을 하니까요. 하지만 이는 참 허약한 생각이기도 합니다. 책, 영화, 드라마에서 제시되는 것은 현실인 것처럼 정제된 가공된 무엇이라고 해야 맞겠죠. 현실에 대한 견해라고 해야 맞겠습니다. 하지만 '배우다' 라는 단어를 쓰자면 허약하지만 어쩔 수 없는 것이기도 합니다. 현실 자체는 배울 수 있는 것은 아닌 거 같아요. 말로 옮기는 순간 많은 것이 빠져나가고 애초에 말로 옮길 수 없는 것들도 많고요. 느끼고 체험할 수는 있겠지만요. 글로든 영화로든 써야만 배울 수 있는 무엇이 될 거 같아요. 

글도 영화도 쓰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고 대부분의 날을 그냥 치이며 사는 저 포함 많은 이들이 반복 실수의 날을 보내는 것도 이런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느끼고 체험한 것에 대한 생각을 써야 배울 가능성이 생기는 거 같습니다. 다른 배움의 가능성은? 명상, 묵상, 기도 같이 물리적으로 쓰는 것이 아니고 뇌에 아로새겨 쓰는(비우는) 것? '극장전'에선가 김상경이 생각, 생각을 해야 한다, 인가 비슷한 대사를 했던 것도 떠오르네요.

글이든 영화든 열심히 보기라도 하자 싶네요. 돌고돌아 결론은 언제나 비슷합니다. 내 우주가 그렇죠 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6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0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77
124680 젤다의 전설 실사화 닌텐도 공식발표 [8] 상수 2023.11.08 293
124679 [왓챠바낭] 숙제 삼아 본 '블러드: 더 라스트 뱀파이어' 잡담입니다 [17] 로이배티 2023.11.07 399
124678 귀를 기울이면 (1995) [2] catgotmy 2023.11.07 286
124677 에피소드 #62 [2] Lunagazer 2023.11.07 66
124676 프레임드 #606 [4] Lunagazer 2023.11.07 76
124675 1980년대 최고의 공포영화 20편 [4] ND 2023.11.07 447
124674 어그로의 트롤링이 먹히지않는 게시판 [4] ND 2023.11.07 495
124673 6시 반 KS 1차전이군요 [5] daviddain 2023.11.07 138
124672 내 머리 속의 지우개 (2004) catgotmy 2023.11.07 116
124671 플라워 킬링 문 - 아카데미 대상 예정? [3] 애니하우 2023.11.07 419
124670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4] 조성용 2023.11.07 467
124669 (사무실에서 놀면서 써보는) 요즘 일상입니다 [10] 쏘맥 2023.11.07 283
124668 [왓챠바낭] 보는 김에 몰아서 본 '캐리' 잡담입니다 [9] 로이배티 2023.11.06 381
124667 혼례대첩 [1] 잡채밥 2023.11.06 312
124666 가을비, 한신 타이거즈, 다시 뉴스레터 상수 2023.11.06 130
124665 미역 [9] thoma 2023.11.06 248
124664 프레임드 #605 [6] Lunagazer 2023.11.06 77
124663 김혜수가 마지막으로 진행하는 2023 청룡영화상 후보 [8] 상수 2023.11.06 544
124662 양파 [15] thoma 2023.11.06 343
124661 [왓챠바낭] 변태 감독님이 막 만든 영화 하나 더, '카인의 두 얼굴' 잡담입니다 [6] 로이배티 2023.11.05 36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