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위에 내리고 있는 빗물은 오펜하이머의 눈물과 슬픔 혹은

인류의 비극을 의미하는 것이었을까요?


몇 장면에 등장하는데 지도가 온통 눈물에 홍수가 난 것처럼 느껴지죠.


이 영화에 대해서 숱한 해석본이 있었지만 저한테는 감정적인 호소력이

상당한 영화였습니다.


항상 놀란은 머리로만 영화를 하는 감독이라고 생각했는데 오펜하이머만은

감정적인 호소력으로 폭발할 것같은 영화였어요.


듀게에서 쓰셨듯이 "솔라시도"에서 시작해서 내내 폭발하고 절정으로 치닫는

영화였죠. 킬리안 머피의 불가해한 눈동자와 절제된 연기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 전체가 감정을 끓어오르게 만들더군요.


듀게에 있는 영화 감상만 읽어도 굉장히 여러 각도에서 이 영화를 느끼게 되죠.

모두의 찬탄에도 불과하고 그렇게 대단치도 않고 그저 지루하고 장황한 영화였다고

느낄 수도 있겠죠.


절대로 영화관에서 이 영화를 보지 않을 거라고 장담했는데

이게 오펜하이머라는 인물의 깊은 내면 심리를 쫓아가는 심리극, 비극적인

인물영화라는 걸 알고서는 영화관에서 봐야겠다고 생각했어요.


난해하다는 편집에도 불구하고 몇몇 장면에서는 지나칠 정도로 노골적인

메시지를 보여주기도 하고, 눈물씬도 그런것 아니겠느냐라고 했지만

정말 아주 오랜만에 보는 고전적인 영화에요.


아이맥스가 아니더라도, 1달 후가 아니라 빨리 보고 싶었거든요.


내가 기대했던대로 복합적인 내면심리를 다룬 한 인물의 비극이자

역사극이고 정치극이었고, 매우 고전적인 영화였어요.


영화적으로 얼마나 훌륭한지 아닌지를 두고 논쟁이 많지만 그건 저한테

중요하지는 않더군요. 여전히 전 크리스토퍼 놀란의 전체적인 영화를 볼 생각이 없어요.


하지만 오펜하이머를 다시 집에서 조용히 혼자서 음미하면서 몇번이고 보고 싶군요.


과학에 대해서는 전혀 몰라도 상관이 없더군요. 출연하는 과학자들에 대해서는

알고 본다면 더 의미가 있겠지만요. 그 과학자들의 과학적인 업적보다 그 과학자들의

정치적인 배경, 사상, 실제 행보같은거죠.


위대한 과학자들이 너무 다들 짧게 짧게 지나가서,,,스냅샷처럼 보이지만요.


라미 말렉은 전반부에 대사도 없이 배경처럼 지나가지만 청문회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과학자로 출연하죠.


전반적으로 짧게 나오든, 길게 나오든 배우들의 연기를 보는 것만으로도 볼만한 가치는

충분한 영화에요. 게리 올드만이 나온다는건 전혀 몰랐는데 말이에요.


킬리안 머피는 앞으로도 훌륭하고 기억할만한 연기를 수없이 보여줄 수 있겠지만

이 영화에서 킬리안 머피의 눈빛을 계속 쫓아가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었습니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도 이 영화에서 연기는 정말,,,,"아이언맨" 이후로 그가 어떤 영화에 출연하게

될지 생각하지도 않았는데 이 영화에서의 연기는 정말 아~~~~~


이렇게 길게 주절거리지 않으려고 했는데요.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를 차분히 읽고 싶어졌습니다. 


- 김혜리의 필름클럽을 듣고 있는데 진 테트록에 대한 아쉬움은

  진 테트록이 이런 식으로 소비되었어야 하나, 사상적으로나 감정적으로나

  어떤 영향을 끼친 사람인지 전혀 다뤄지지 않고 그 정사신으로만 낄낄거리는

  유투브 컨텐츠도 봤지만 오펜하이머를 "평범한" 스캔들로 전락시키려고 했던

 외부의 시선에 비친 어떤 불륜녀 정도로 스케치하고 넘어간 거라고 봐야겠죠.


 진 테트록은 실제로 어떤 여성이었는지는 오펜하이머의 전기를 통해서

 보다 입체적인 살아있는 사람으로 살펴봐야겠죠.


- 크리스토퍼 놀란 영화에서 여성은 늘 희미하거나 피상적인 존재였지 않나요?

  늘 남자들만 가득하거나 여자들은 주변 소품이거나, 그렇지 않았나요.

  오히려 에밀리 블런트가 연기한 키티 캐릭터가 매우 예외적인 경우죠.


- 김혜리 기자가 놀란이 이 영화의 대본은 1인칭 시점으로 쓰고 배우들에게 주었기 때문에

  배우들이 매우 놀랐다고 하면서, 크리스토퍼 놀란이 오펜하이머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관점에서 영화를 만들었을지도라고 하는군요. 꽤 설득력있게 들리는군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1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6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40
124578 어제 내껀 내손으로 고쳐 행복하다 그랬잖아요 [3] 가끔영화 2010.07.02 2107
124577 아침 티비에서 비 온다는 날씨예보를 보고서도 사람들은 왜 우산 없이 밖으로 나오는가 [9] 셜록 2010.07.02 4648
124576 개구리 바이바이! [16] DJUNA 2010.07.02 2884
124575 졸린오후에바낭] 아이폰 리퍼, 래프팅 [3] 가라 2010.07.02 1906
124574 파스는 고독을 잠식한다 [8] 레드필 2010.07.02 2674
124573 [듀구]명동의 '비싸고 푸짐하고 맛있게' 밥 먹을 만한 곳을 찾습니다 [16] 프레리독 2010.07.02 3832
124572 인셉션 배우 7인 캐릭터 포스터 [6] morcheeba 2010.07.02 4406
124571 디카 촬영 질문입니다. [2] 회전문 2010.07.02 2043
124570 허정무씨가 국대팀 감독을 떠나는 것 같군요. [5] nishi 2010.07.02 2583
124569 16:9용 와이드 타블렛으로 싸고 괜찮은 거 없을까요. 인튜어스 중에서? [3] nishi 2010.07.02 2316
124568 잡담 [7] 장외인간 2010.07.02 1944
124567 명품업체 AS 만족 하시나요? [7] swan 2010.07.02 2220
124566 What's Opera, Doc? Live [2] 날다람쥐 2010.07.02 1877
124565 어쿠스틱 빌리 진 가끔영화 2010.07.02 1814
124564 착한글래머’ 최은정 “10대는 벗기에 가장 예쁜 나이” [4] 사과식초 2010.07.02 4681
124563 도박은 진짜 어쩔 수 없나 봅니다. [5] 거북이는진화한다 2010.07.02 3028
124562 랑콤의 앤 해서웨이 광고 [7] catgotmy 2010.07.02 6080
124561 미용실 아가씨가 저 좋아하나 봐요 [18] 차가운 달 2010.07.02 5675
124560 아이유 귀엽군요 ^^ [9] 감동 2010.07.02 3990
124559 머리 속을 맴도는 소리.. [3] hwih 2010.07.02 185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