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사교댄스란..)

2023.04.19 14:58

thoma 조회 수:542

이 집은 감나무 집이라고 불렸던 한옥이었습니다.

경주나 전주 같은 곳에 가면 있는 진짜 기와와 전체를 통나무들로 서까래를 인 그런 집은 아니고 방, 마루, 방, 부엌의 일자 구조에 방 양면에 미다지 문, 중간의 마루 천장은 나무 서까래를 하고 있어 한옥 느낌을 풍부하게 내는 약식 한옥이었습니다. 이쯤 쓰다 보니 저의 보호자들은 이사를 다니는 김에 다양한 주거 양식을 맛보려는 의도가 있었나 새삼 궁금해지네요. 더울 땐 마루를 뒹구는 것도 좋고 평상에서 점심을 먹기도 좋아서 괜찮았지만(감나무에서 송충이 떨어지는 것만 조심) 겨울엔 너무 추웠던 기억이 납니다. 사면의 벽 중에 두 벽이 문이니까요. 그것도 틈틈이 바람이 스며드는 미다지 문. 

이 집은 대문을 열면 정면에 한 채, 좌우로 한 채 씩 해서 비슷한 구조로 된 세 채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마당 이쪽저쪽 구석 큰 감나무가 두 그루 있었어요. 그래서 동네에선 감나무 집이라고 가리켰는데 시골도 아닌 지역에서 굳이 그런 이름을 붙여 부를 일이 뭐가 있겠습니까만 누군가 이 집을 물어가며 찾아오기도 했거든요. '근처에 오면 감나무 집이 어디냐고 물어'라고 일러 두지 않았을까 싶네요.


이 집은 집 주인이 따로 있고 세 가구가 다 세입자였습니다. 세 채 중 대문에서 정면의 집에 우리가 살고 오른 쪽엔 마흔 중반의 여성이, 왼 쪽엔 부부가 살았습니다. 오른 쪽에 사는 마흔 중반 여성의 직업이 사교춤 선생이었어요. 교습소는 자신의 방이었고요. 간판 같은 건 당연히 없었는데 알음알음으로 연결되어 찾아오는 것이었죠. 이분의 집은 방 사이의 벽(문짝)을 다 쳐내고 마루까지 포함한 길쭉한 형태로 마당 쪽으로만 미다지 문들이 세 개 있었습니다. 

오후부터 시작되면 저녁 늦게까지 댄스연습이 계속되었습니다. 전축에서 나오는 음악소리와 전등을 색깔 조명으로 빙글빙글 도는 걸로 달아서 사람들의 그림자가 문짝에 어른거리곤 했습니다. 커튼을 쳐서인지 그다지 시끄럽지는 않았어요. 춤 교습인지 모임인지가 매일 있는 것도 아니었고요. 방문을 닫고 tv를 보고 있으면 다른 채에서 벌어지는 춤판이 의식되진 않았습니다. 저는 그랬습니다.....만 나머지 집 사람들은(어른들) 점점 불안에 싸이고 불만이 치솟았습니다. 

모임이 있는 날이다 싶어지면 저의 보호자들은 저녁 먹고부터 방에서 나가지 마라고 했지만 그래도 화장실은 가야 했어요. 애(나)한테 좋지 않다 비슷한 말도 오가고요. 저도 알긴 했습니다. 잡지에서 무슨 춤바람 어쩌구라며 머리에 옷을 뒤집어 쓴 채 찍힌 여자들 사진을 봤거든요.(흥, 그저 여자들을 집에 붙잡아 두려고 말이죠) 

댄스 모임이 있는 날엔 여자 몇 명과 양복 입은 남자들이 몇 명 오고 아마도 춤 사이에 갈증을 달랠 맥주도 마시게 되고 그러다 보면 화장실 출입이 잦아지잖아요. 다른 집 사람들의 확실한 불편이 여기에 있었습니다. 외간 남자들의 화장실 출입으로인한 불편, 불쾌감. 다음날 선생이 물청소를 하곤 했으나 알코올로 생긴 냄새까지 씻어내진 못했으니까요.

이집 저집 사이에 다툼이 생기기 시작했고 날은 점점 따뜻해졌습니다. 춤을 추면 안그래도 더운데 봄이 되니 문을 꽉 닫고 출 수는 없었고 문을 여니 다른 집에서 드디어 집 주인에게 연락을 하게 되었나 봅니다. 이하 생략. 짐작하실 수 있는 전개가 되겠습니다. 


우리는 한을 들먹이는 만큼이나 신명의 민족이라는, 춤과 노래를 사랑하는 민족이라는 얘길하는데 남녀대중이 짝을 이루어 추는 사교댄스는 오랫동안 미풍양속을 해친다며 백안시되었었죠. 발레도 남녀가 짝을 이루어 추는데, 게다가 다리는 다 내놓고! 어째서 사교댄스의 짝지은 춤은 그렇게 싫어하고 혼자서 몸부림 치는(?) 막춤만 춰야 하는 걸까요. 요즘은 사정이 조금 괜찮아진 것 같기도 하지만... 저만 모르고 있는 걸지도 모르겠습니다.(사교댄스 배울 의향 있으신가요.ㅎㅎ)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67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36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536
123273 [그야말로 바낭]여러분들의 TV 최애쇼가 궁금합니다. [27] 쏘맥 2023.05.24 474
123272 이영지의 차린 건 쥐뿔도 없지만을 보고 [4] Sonny 2023.05.24 1188
123271 바람이 분다 (2013) [2] catgotmy 2023.05.24 283
123270 Ambra Danon R.I.P. 조성용 2023.05.24 111
123269 네이트온 AI챗 사용해봤습니다. [2] 스누피커피 2023.05.24 361
123268 6÷2(6-2) [2] 가끔영화 2023.05.24 151
123267 [웨이브바낭] 그냥 B급이라기엔 좀 미안한 고전 B급 호러, '리-애니메이터'를 봤습니다 [11] 로이배티 2023.05.24 390
123266 프레임드 #438 [2] Lunagazer 2023.05.23 105
123265 어떤 종류의 정체성은 부끄럽습니다? [20] 가봄 2023.05.23 955
123264 차정숙 3회까지 봤는데 [6] 2023.05.23 666
123263 Ray Stevenson 1964-2023 R.I.P. [3] 조성용 2023.05.23 220
123262 [웨이브바낭] 80년대식 나이브함의 끝을 구경해 봅시다 '마네킨' 잡담 [24] 로이배티 2023.05.22 650
123261 1q84랑 국경의 남쪽 번역 관련 [2] catgotmy 2023.05.22 263
123260 [넷플릭스] 글리맛이 많이 나는 ‘더 폴리티션’ [9] 쏘맥 2023.05.22 804
123259 에피소드 #38 [2] Lunagazer 2023.05.22 84
123258 프레임드 #437 [4] Lunagazer 2023.05.22 100
123257 압구정 폭행남 사건에 대한 커뮤니티 반응 [7] catgotmy 2023.05.22 990
123256 듀게 오픈채팅방 멤버 모집 물휴지 2023.05.22 121
123255 치과 의자는 왜 그렇게 안락할까? [10] Sonny 2023.05.22 552
123254 [웨이브바낭] 나름 짭짤했던 B급 무비 둘, '완벽한 살인', '오피스 배틀로얄' 잡담 [2] 로이배티 2023.05.21 30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