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살이> 잡담.

2022.06.12 17:11

thoma 조회 수:370

지난 번에 이어서 미야베 미유키의 에도 시리즈 <얼간이>의 후속 작 <하루살이> 잡담입니다. 

이번 소설은 아쉬운 면이 있어서 작가를 좋아하시는 분들에겐 미안한 글입니다. 좋았던 점은 <얼간이>와 비슷해서 아쉬운 점만 생각해 봤습니다.


<하루살이> 역시 <얼간이>처럼 에도 시대의 소소한 생활상이 주된 내용입니다. 중심 사건이 있지만 중심 사건의 추적이 스릴 있다거나 범인이 밝혀지는 과정이 드라마틱한 것은 아닙니다. 중심 사건이 소설의 중심은 아니예요. 

<얼간이>에서 소개된 캐릭터들이 새로이 등장한 주변 인물들과 작은 사건들로 엮이며 도움을 주고받고 오해의 매듭들을 풀기도 하며 '살아가는 이야기'가 소설의 몸통입니다.

시대물 드라마를 보는 느낌도 듭니다. 전편에서 인물과 상황을 소개했으니 그에 대한 익숙함에 기대어 조금은 느긋하고 편안하게 여유를 부리며 진행되고 있거든요. 추리, 수사물로서는 중심이 되는 사건의 진상이 약해서 싱거운 감이 있었습니다. 중심 인물인 유미노스케 얘기를 조금 하면 여기에선 이전 작품에서보다 덜 성숙한 아이로 표현되더군요. 측량하는 습관을 그만둔 건 아까워요. 기량을 계속 살려서 사건 해결과 관련되는 이야기가 전개되어도 좋으련만. 이불에 실례는 더 자주하고 예쁨을 이용하는 장면도 잦다 싶더군요.(헤이시로가 조카의 예쁨에 너무 자주 놀라요) 덩치와 노소를 막론하고 주요 인물들 거의가 한 번 이상은 눈물바람이라 너무 감동의 소년 만화같이 흘러가는 느낌도 있었네요. 이게 아마도 작가의 고향 지역에 대한 향수와 삭막한 현대인에게 옛시대의 온정을 되새겨 보게 하겠다는 시리즈 의도의 결합인 것 같은데 저는 아쉬운 점이 있었습니다. 

<얼간이>에서는 재미로 다가왔던 생활상의 묘사들이 <하루살이>에서는 더 나아가지 못 했어요.(소설가들이 얼마나 힘들까요) 저같은 외국인 독자가 낯선 세계에 처음 발을 들여 놓는 생소함에서 오는 즐거움이 시리즈의 다음 권부터는 반감된다는 게 크지요. 독자로 하여금 이 세계가 계속 머물고 싶은 매력적인 곳이 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어떤 소설은 영원히 진행되기를 바라게 되잖아요?

시리즈물이 계속 재미를 유지하려면 캐릭터들에게는 익숙한 기본 성격에 더해서 너무 멀리가선 안 되겠으나 살짝 발견되는 새로운 매력이 있어야 하고, 팬들이 읽고 즐거워하는 주변 일상과 의식주 살림살이의 흥미로움도 유지해 줘야 합니다. 이런 점이 <얼간이>에서 더 나아가지 못했지 않나 싶어요. 헤이시로나 유미노스케, 짱구, 규베 등의 중심 인물에 대한 친근감은 강화되었으나 필요한 만큼의 매력은 부족함을 느꼈습니다. 친근감에 더해서 존경심같은 낯섦의 양면 조절이 잘 되어야 매력을 느낄 텐데요. 식당 관련 일을 하는 이들이 나오니 음식이 자주 나오긴 하는데 이건 <얼간이>에서 다룬 정도였고 <하루살이>에서는 뭔가 새로운 직업군이 관련되어 정보를 읽는 재미가 더해졌다면 좋았을 것인데 싶더군요. 새로운 직업군이 나오긴 합니다. 그런데 그 직업을 알아가는 재미를 준다든가, 전문성의 비밀 같은 것이 드러났으면 좋았을 것인데 그렇지 않았어요. 

후속 작인 <진상>은 어떨지. 캐릭터와 일상으로 반복적인 재미 이상을 주기 어렵다면 새로 등장하는 중심 사건이 작품 하나를 끌고 갈 수 있는 치명적인 힘을 갖는 방향으로 이겨낼 수 있을 텐데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9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3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13
120210 프레임드 #102 [6] Lunagazer 2022.06.21 226
120209 우연과 상상을 다시 보고 왔습니다 [2] Sonny 2022.06.21 342
120208 듀게 오픈카톡방 멤버 모집 [2] 물휴지 2022.06.21 197
120207 주말에 본 것 [15] daviddain 2022.06.21 522
120206 (바낭)오장육부, 심술보 [8] 왜냐하면 2022.06.21 373
120205 버즈 라이트이어 보고 왔습니다. [6] 남산교장 2022.06.21 729
120204 라라랜드 (2016) catgotmy 2022.06.20 301
120203 [드라마바낭] 정신줄 놓고 보면 재밌습니다 '카케구루이 트윈' [8] 로이배티 2022.06.20 704
120202 넷플릭스 '불도저에 탄 소녀', '더 체스트넛 맨' 봤어요. [4] thoma 2022.06.20 574
120201 프레임드 #101 [12] Lunagazer 2022.06.20 260
120200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2] 조성용 2022.06.20 846
120199 임윤찬 [4] 칼리토 2022.06.20 816
120198 프레임드 #100 [15] Lunagazer 2022.06.19 386
120197 꽃 이름을 물어보며, 꽃박사? 채찬님이 알걸 [2] 가끔영화 2022.06.19 297
120196 요즘 듣고 본 것 중 인상깊은 세가지 [4] 예상수 2022.06.19 708
120195 예수와 바울의 차이 [7] catgotmy 2022.06.19 676
120194 [넷플릭스바낭] 세상에서 가장 나이브한 아포칼립스물, '러브 앤 몬스터스'를 봤어요 [8] 로이배티 2022.06.19 661
120193 프레임드 #99 [4] Lunagazer 2022.06.18 271
120192 탑건 매버릭을 보고.. [8] 라인하르트012 2022.06.18 1210
120191 짜파게티 끓일때 마지막 물 몇숟가락남기는거 어떻게 맞추죠 [14] 채찬 2022.06.18 73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