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과 상상' 보고 왔어요.

2022.05.09 12:26

thoma 조회 수:709

우연과 상상 (2021)

ac3fca4e494abc742f22c389bffa5f57f5a40b9d

정말 오랜만에 극장에서 봤습니다. 저는 때와 장소가 맞아떨어져서 극장에서 보게 되었는데 이 영화는 꼭 극장을 고집할 필요는 없고 집에서 보셔도 될 것 같아요. '드라이브 마이 카'는 극장에서 보는 게 훨씬 나을 것이고요. 

이로서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의 영화는 어쩌다 보니 '아사코'를 빼곤 다 봤네요. '아사코'는 씨네21 평이 2점도 있고 8점도 있어요. 무슨 일일까? 보기 드문 경우네요.

'우연과 상상'은 세 편의 단편 영화가 묶여 있는데 이 영화를 보고 나니 감독의 특징이 확 다가오는 듯했고 그리하여 이전에 본 감독의 다른 영화에 대한 이해도 살짝 더 생겨나는 기분입니다. 

지난 번에 드마카를 보고 의미 깊은 대사가 연극적으로 너무 길지 않나 라는 생각을 적었었습니다. 이제부터는 하마구치 감독의 영화를 보면서 대사 얘긴 하지 않기로 합니다. 이분 대사에 진심이십니다. 상대적으로 이미지보다 말입니다. 이 영화는 대사가 사건의 전개를 이해시키는 역할이라기 보다 대사가 주가 되고 상황은 이를 더 잘 살리기 위한 그림들이라는 생각을 해보기도 했습니다. 감독은 인물들의 대화를 일단 맛깔나고 세련되면서 생각해 볼 여지도 많도록 의미를 담아 완성, 그리고 이 대화가 만드는 화학작용이 최대한 잘 살아날 수 있는 조건을 만든다, 이런 식으로 본인의 역량을 사용하시지 않나 싶었습니다. 예를 들어 이 영화에도 차에서의 대화장면이 나오는데 특히 드마카에서 더 뚜렸하게 느껴졌던 차 안의 긴 대화 장면이 그렇습니다. 달리는 차의 뒷 좌석은 정말 대화하기 좋은 곳입니다. 외부와 차단되어 방해하는 이도 없고 화난다고 박차고 나갈 수도 없고 오로지 듣고 말하는 것에 집중할 수 있어요. 내밀한 내용이면 더 적절한 장소고요. 범죄 영화 같은 데서는 그래서 차 안에서 중요한 대화가 오가는 상황을 십분 활용했는데 이런 일상 드라마에서 대사에 집중하기 위한 장치로 하마구치 감독이 활용하네요. 운전은 누가 해줘야겠지만 이 제3자도 말없는 관찰자로 대화의 맛을 살리지 않을까요. ('두 명은 위험하다, 세 명은 되어야지' 이런 말 어디서 본 기억이 납니다.) 

이런 특징은 영화를 보면서 연극을 보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합니다. '우연과 상상'에서 특히 여자 배우들의 발성이 참 좋았어요. 1편의 메이코 경우 전남친과 대화하는 장면에서 발음이 아주 똑 떨어지고 귀에 쏙쏙 들어와 연극적인 발성이라는 생각을 했어요. 3편에선 인물들이 서로 상대가 원하는 인물이 되어 아주 짧지만 실제로 역할극을 하기도 합니다. 

하마구치 감독님은 영화 작업에 문학과 연극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고 활용하시는 것 같아요. 문학 텍스트를 그대로 읽는 상황이 영화마다 등장하고 본인이 쓴 대사도 의미나 문장의 연결에 공을 들인 티가 납니다. 연극 역시 준비 과정 자체가 전면에 배치되거나 대사의 전달을 중시하는 상황을 만들고 배우들이 연극적 발성을 한다는 것까지 느끼게 되니까요. '해피아워'를 보면서는 하나의 시도로 보았던 것이 세 작품을 보고 나니 문학과 연극을 활용한 영화 작업이 감독님의 특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다른 자료를 다양하게 찾아본 것은 아닌데 같은 감독의 영화 세 편을 길지 않은 텀을 두고 연달아 본 감상은 그렇습니다. 저는 하마구치 감독의 영화들은 보는 동안 누리는 즐거움이 있네요. 잘 맞지 않는 분이라도 '우연과 상상'은 단편들이라 보실만 하지 않을까 합니다. 

aca2316a3e0de8e705596ba046c48e9430ff667c

1편. 메이코 역의 배우는 발음이 참 좋았어요.(저 일어 못합니다만 그래도 오 전달력 좋은데, 싶을 정도로) 외모도 넘 마음에 들던.

ea82b245d364e2145b620dfc409789e01c2d9b00

2편. 책 읽기 장면. 내용 때문에 거북했습니다. 소설 속 내용이 엄청 일본스러웠다고 하면 제가 또 편협한 것인지. 보신 분들 동의 좀...

7b7b5cd666718c57dcd8ba71353ca91b7dbd7499

3편. 나이로 보나 상황으로 보나 저는 가장 재미있게 보았어요. 극장에서 관객들의 웃음이 터지기도 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7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6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792
119819 허울과 실체 [8] thoma 2022.05.11 601
119818 뒤의 Diotima님의 묻지도 않은 질문 대답 + 가짜 논문... [6] Kaffesaurus 2022.05.11 789
119817 mb정부 인듯 mb정부 아닌 박근혜 정부 같은(다시 대한민국, 반지성주의) [4] 왜냐하면 2022.05.11 617
119816 [신작VOD바낭] 드라이, 앰뷸런스 [10] 폴라포 2022.05.11 360
119815 [왓챠바낭] 한국에서만 좀 어색한 제목의 영화, '시바 베이비'를 봤습니다 [10] 로이배티 2022.05.11 499
119814 시의원 선거에는 돈이 얼마나 들까? [10] 칼리토 2022.05.11 718
119813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2] 조성용 2022.05.11 533
119812 조앤 롤링의 장점 [6] catgotmy 2022.05.11 750
119811 한동훈의 검사와 피의자 놀이 [5] 왜냐하면 2022.05.11 754
119810 양자경의 신작이 국내개봉 안되는 일은 없겠죠? [7] ro2ro2 2022.05.10 490
119809 [영화바낭] 이것저것 자잘한 영화 잡담 [21] 로이배티 2022.05.10 729
119808 농구가 별로 안좋아졌던 일 [6] catgotmy 2022.05.10 450
119807 하일권 원작 넷플드라마 안나라수마나라 보신 분 없나요? [1] 예상수 2022.05.10 556
119806 '임신 중단을 선택할 권리' 뒤집겠다는 미국 대법원 [8] 왜냐하면 2022.05.10 876
119805 한동훈 청문회를 본 소감 [27] 아리아 스타크 2022.05.10 1728
119804 알카라스 [2] daviddain 2022.05.10 239
119803 친일파와 친미파에 대해 [4] catgotmy 2022.05.10 393
119802 요즘 들은 노래(서리, 아이브, 아케이드 파이어) 예상수 2022.05.10 220
119801 축구 ㅡ 스피나졸라 복귀 [5] daviddain 2022.05.10 155
119800 브로커, 헤어질 결심 새 예고편 [2] 예상수 2022.05.10 46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