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레가 '젊은 좌파'의 손을 들어줬다. 학생운동 지도자 출신의 35세 정치인 가브리엘 보리치가 차기 칠레 대통령으로 선출된 것은 칠레 유권자들의 변화를 향한 열망이 정권교체로 이뤄졌다는 분석이다.


보리치 당선인은 칠레 남단 푼타아레나스 출신으로, 칠레대 재학 중이던 2011년 교육개혁을 요구하는 대규모 학생시위를 이끌었던 지도자 중 한 명이다. 20대 때인 2014년 연방 하원의원에 당선됐고, 이번 대선을 앞두고 좌파연합 경선에서 유력 후보였던 칠레공산당 소속 다니엘 하두에 산티아고 레콜레타 구청장을 꺾었다.

경선 승리 후 그는 "칠레가 신자유주의의 요람이었다면 이젠 신자유주의의 무덤이 될 것"이라면서 "젊은이들이 칠레를 변화시키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말했다. 대선 기간 그는 증세와 사회지출 확대 등을 공약했다.

보리치의 승리는 2년 전인 지난 2019년 칠레를 뒤흔든 사회 불평등 항의 시위의 산물로도 볼 수 있다. 당시 산티아고 지하철 요금 인상에 대한 분노는 교육·의료·연금 등 불평등을 낳는 사회 시스템 전반에 대한 불만으로 번졌다.

이는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군부정권(19731990년) 시절 제정된 현행 헌법 폐기와 새 헌법 제정 결정으로 이어졌다. 시위 과정에서 피노체트 정권의 신자유주의 유물에 대한 거부감과 세바스티안 피녜라 중도우파 정권에 대한 반감도 커졌고, 이는 정권교체와 새로운 지도자 출현의 발판이 됐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29&aid=0002711772


0005794244_001_20211220120001673.jpg


266359982-6621008144641015-1267609393680265924420-6621010011307495-6740907258205267912786-6621011717973991-7843709313690268755121-6621010997974063-8974833403230



0005794248_001_20211220120004946.jpg

(산티아고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19일 (현지시간) 칠레 산티아고에서 35세 가브리엘 보리치 대통령 당선인의 결선 투표 승리에 환호하는 지지자들이 거리를 메우고 있다.





오늘따라 더 부러워지는 소식이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97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67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840
118136 흥 (제목 쓰기가 젤 어려움) + 인천과 코라시아 [7] 어디로갈까 2021.12.23 567
118135 [디즈니플러스] 영국판 여인천하(?)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를 봤어요 [12] 로이배티 2021.12.22 821
118134 드라마로 배우는 간단한 스페인어 [3] daviddain 2021.12.22 522
118133 Sally Ann Howes 1930-2021 R.I.P. [3] 조성용 2021.12.22 197
118132 늘 보려다가 안 보게 되는 영화 [2] daviddain 2021.12.22 526
118131 우리 장혜영 의원님을 향한 저의 일편단심을 아실만한 분은 아시리라 믿으며 [3] 타락씨 2021.12.22 599
118130 (솔로는 내 운명?)이번 크리스마스도 글렀어... [5] 예상수 2021.12.22 383
118129 치명률 낮추기와 도구의 인간, 오세라비와 홍준표와 hubris [3] 타락씨 2021.12.22 630
118128 의미의 깊이 (제목 좀 묻지말지~) [6] 어디로갈까 2021.12.22 593
118127 유튜브 첫화면 캡쳐.jpg [4] catgotmy 2021.12.22 552
118126 버스정류장 소회 [8] 가끔영화 2021.12.22 413
118125 [정치바낭] 이준석... 설마 윤석열 낙선에 걸었나?? [2] 가라 2021.12.22 981
118124 [디즈니플러스] 웨스 앤더슨의 개파 선언, '개들의 섬'을 봤습니다 [10] 로이배티 2021.12.22 640
118123 이준석 잡담. 완장과 실체의 괴리 [7] 안유미 2021.12.22 1090
118122 설강화 옹호 논란과 역사물을 대하는 두 배우의 차이 [6] 사팍 2021.12.22 851
118121 [크리스마스에 읽기 좋은 책] 사랑은 왜 끝나나 [12] underground 2021.12.21 532
118120 [디플]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스포 있을지도) [3] S.S.S. 2021.12.21 250
118119 [코로나19] 약국 하는 지인에게 들은 무서운 이야기 [2] soboo 2021.12.21 975
118118 설강화 논란.. [9] 으랏차 2021.12.21 1551
118117 레프리콘 (1993) catgotmy 2021.12.21 21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