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잡담...(격려)

2021.06.06 17:23

여은성 조회 수:304


 1.무료한 주말이네요. 뭔가 재미있는 이야기를 쓰고 싶은데 그럴 만한 이야기도 없고. 코로나가 끝나야 뭘 하든가 말든가 하겠죠.



 2.며칠 전엔 오래 전에 알던 사람과 이런저런 대화를 했어요. 폐쇄 병동에도 한달간 갔다오고...이래저래 우울한 나날을 보내고 있더라고요. 뭐 힘내라고 할 수도 없고...잘될 거라고 말해줄 수도 없고. 딱히 할말이 없더라고요.


 이게 참 그래요. 위로나 격려의 말이 기만처럼 들릴 것 같으면 함부로 말할 수가 없거든요. 그냥 푹 쉬라고 말하는 게 최선인 경우도 있어요.



 3.이럴 땐 역시 젊음이 좋은건가? 싶어요. 왜냐면 젊은 사람에게는 무작정 '잘 될거야'라고 말해줄 수 있거든요. 그가 아직 스타트 라인에 있더라도 말이죠.


 하지만 사람이 20대 후반이 되면...그땐 근거 없는 격려를 해줄 수가 없어요. 적어도 스타트 라인에서 몇 미터는 나아갔어야 '넌 잘 될거야'라고 말해줄 수 있는거죠. 그리고 30대가 되면...그래도 스타트 라인에서 20, 30m는 나아갔어야 '넌 잘 될거야'라고 어깨를 두드려줄 수 있는 거고요. 그리고 또 40대가 가까워지면?


 생각해보면...30대 후반~40대 초반의 나이는 그래요. 정치판이 아니면 어느 조직에서든 가장 자신의 역량을 펼치는 전성기죠. 그 나이에 그 정도의 역량이 없으면 회사 입장에서는 차라리 잘라 버리고 신입을 쓰는 게 나으니까 짤리는 시기이기도 하고요.



 4.휴.



 5.애초에 자신의 전성기에 있는 사람에겐 '넌 잘될 수 있어'라는 격려가 필요없을 거예요. 왜냐면 능력도 있을뿐더러, 인생에서 가장 바쁜 시기이기 때문에 그런 넋두리나 격려를 듣는 술자리에 갈 시간조차 없거든요. 


 그래도 어쨌든 30대 후반~40대 정도의 나이인 사람들에게 격려를 하려면 그는 이제 많은 것들을 갖췄어야 해요. 조금만 더 들이받으면 무언가 잘 풀릴 것 같거나...사람 한명만 잘 소개받으면 이제 일사천리로 풀릴 만한 실력자이거나...해야 하죠. 


 근거없는 격려를 해줄 수 있는 나이는 20대 초중반까지거든요. 그 이후 나이의 사람들에게 격려를 하려면 근거가 있어야만 해요. 나이를 먹어버리면 격려를 듣는 사람도 하는 사람도, 근거가 없으면 맥이 빠져버리는 거니까요. 



 6.심심한 주말이네요. 약속도 없고. 정말 코로나가 끝나야 뭘 해볼텐데.



 7.쩝...일요일인데 벌써 저녁이 되가네요. 어제 밤에 번개나 미리 쳐볼걸 그랬어요. 압구정이나 상수 거리에 있는 아늑한 고깃집이나 가면 좋을텐데. 


 그냥 혼자 고깃집에 가서 2인분 정도 구워먹을까...생각 중이예요. 혼자 고깃집을 가도 1인 고깃집이란 곳은 별로더라고요. 너무 '1인'이라는 단어에 천착해서 꾸며놓은 것 같은 분위기거든요. 


 내일은 뭐...억지로라도 어디 가서 미친듯이 놀아야하나? 생각 중이예요. 하지만 글쎄요. 그런 것은 자석에 이끌리듯 자연스럽게 되어야지 억지 텐션으로 그러면 또 안좋기도 하고. 그냥 뭔가...자연스러운 흐름을 만들어 보고 싶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17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6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37
116037 게시판 오해(?) [10] 채찬 2021.06.14 532
116036 전지적 일본 시점 [9] 사팍 2021.06.14 671
116035 Ned Beatty 1937-2021 R.I.P. [1] 조성용 2021.06.14 203
116034 연유의 달콤함에 빠져 [6] 가끔영화 2021.06.14 365
116033 분노의 질주 봤습니다... [11] Sonny 2021.06.14 417
116032 [영화바낭] 타임루프 코믹 액션 '리스타트'를 봤습니다 [9] 로이배티 2021.06.13 564
116031 돌아오는 화요일 [6] 사팍 2021.06.13 377
116030 메어 오브 이스트타운을 보고 [1] 라인하르트012 2021.06.13 647
116029 [바낭]아주 심각한 학교현장 [17] 수지니야 2021.06.13 979
116028 넷플릭스 요즘 본 것 [14] thoma 2021.06.13 811
116027 이동진 김중혁의 영화당 마지막화를 보며(유전되는 폭력의 역사) [1] 예상수 2021.06.13 563
116026 [넷플릭스바낭] 포스트 아포칼립스 동화 '스위트 투스'를 보지 마세요 [8] 로이배티 2021.06.13 1775
116025 도배질 3 수수께끼 같은 질문 [6] 어디로갈까 2021.06.13 481
116024 도배질 한번 해볼까요. 모 은행원 삼각관계를 보고 [14] 어디로갈까 2021.06.13 1153
116023 오랜만에 모 노감독님을 뵙고 [21] 어디로갈까 2021.06.13 812
116022 좋아하는 모바일 앱 [7] 가끔영화 2021.06.12 461
116021 목표의 포기(삶은 테트리스) [3] 예상수 2021.06.12 318
116020 이것이 인간인가 - 프리모 레비 [6] thoma 2021.06.12 745
116019 여러분도 이런가요? [9] forritz 2021.06.12 739
116018 유로 2020 개막식 feat 안드레아 보첼리 [6] daviddain 2021.06.12 45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