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오취리씨의 현타와 사과

2020.08.08 14:37

ssoboo 조회 수:1226


 ‘대한가나인’ 이라 스스로를 지칭하던 샘 오취리씨는  원조 외국인 ‘국뽕’ 캐릭터로 기억합니다.


 전에 어떤 방송에서 유색인종이 한국에서 당하는 인종차별에 대한 개인 경험을 이야기 할때 매우 조심스럽게 이야기 하는게 안쓰럽던 기억이 남아 있어요.

 너무 흔하게 벌어지는 인종차별인데 뭔가 달관한 듯 하면서도 “그래도 굉장히 많이 좋아졌어요” 라며 수습?을 하던 걸 보며 저 사람은 한국을 참 좋아하고

 어떻게든 이 나라에서 살아 남으려고 하는구나 하는 인상을 받았어요.


 이방인으로서 다른 지방, 나라에 대한 비판은 쉽지 않습니다.  논리적인 문제를 떠나 감정적인 반발을 먼저 낳게 되거든요.

 

 아주 오래전 일인데, 중국에서 알게된 (중국 공산당원) 친구와 밥을 먹다가  내가 그 즈음 목격한 시민들의 무질서함과 무례함에 대한 불만을 이야기 했다가

 거센 반발을 겪어야 했습니다.   이리 저리 말꼬리 잡던 그가 결국 쏘아 붙인 최후의 반박 논리는 ‘한국도 전에는 다 그러지 않았냐!’ 였구요.

 

 이런 경험은 그 뒤로 반복됩니다.  당연히 그 뒤로 현상적으로 내가 겪고 보게 되는 문제들에 대한 발언은 신중하고 조심스러워집니다.

 하지만 아주 사소한 문제들에 대한 지적 혹은 소감도 대부분 불편한 반응으로 돌아 오는 것은 마찬가지더군요.


 하긴 이런 현상은 국적과 인종의 문제만은 아니긴 합니다.  

 더 아주 오래전에 한국에서 일하던 시절 영동지역의 어떤 도시에서 1년 넘는 기간 동안 파견근무를 한적이 있었어요.

 그 지역의 폐쇄성과 배타성은 아주 사소한 이방인의 ‘불만’도 용납이 안됩니다. 

 나의 직무가 원래 ‘감시와 감독’ 이고 그 직무를 수행할 뿐인데도 어디 감히 서울에서 굴러 들어와 지역을 비하하는 놈이 되버리는 나날들이었어요.


 체제 불만?자들은 어디나 있습니다.

 중국도 마찬가지에요.  제가 중국에서 겪은 불합리한 상황에 대해 함께 분노하는 한편 부끄러워 하는 친구도 있었어요.

 중국사회에 만연한 부패와 불공정에 대한 문제의식은 저 보다 더 과격하여 ‘경멸수준’일 정도였구요. 

 입만 열면 ‘중국에 대한 비하’를 하는 친구도 있고 ‘중국 체제의 암울한 미래’를 걱정하는 친구도 있고요.

 

 

 ‘대한가나인’ 샘 오취리씨는 요 몇 일 사이에 현타가 왔을 듯 합니다. 

 방심은 금물이죠.  

 그의 문제가 된 그 맨션을 보면 이방인으로서의 ‘자각’이 거의 없어 보이더군요.  그 순간 사단이 나기 딱 좋죠.

 그냥  자신은 이 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문제의식을 발언한다고 느껴졌어요.  

 결국 이방인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다시 깨닫게 되는 시간을 맞이하고 있는거죠.

 그가 이번 현타를 거치며 더 단단해지길 바랄 뿐입니다.


 그가 한국에서 요 몇 일 겪고 있는 일들은 분명 ‘부조리’합니다.

 사과할 사람은 샘 오취리씨가 아니라 코스프레를 한 학생들과 지도교사들 그리고 샘 오취리에게 인종차별적 혐오를 쏟아냈던 

 사람들이죠.  


 샘 오취리씨의 현타에는 한국이라는 나라의 인종차별 인식수준에 대한 현상 파악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고

 현실적으로 이 나라에서 ‘탈출’하지 않고 계속 버티고 살아내려면 이방인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다시 자각하고 ‘투쟁’이 아닌 ‘사과’로 먼저 자신을 보호하는게

 급선무라는 판단이 있었을거에요.  그 판단을 존중합니다. 

 한편, 그 과정에서 그가 겪었을 ‘굴종’에서 오는 분노와 고통에 위로를 보냅니다. “당신의 잘못이 아니에요”

 그리고 그의 주변에는 넷상에서 그에게 폭력을 저지르는 사람들과 달리 지혜로운 현지 동료들과 친구들이 충분히 많기를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1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6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35
113156 수구 언론과 기득권 추억의 세력들이 이만해도 [3] 가끔영화 2020.08.17 516
113155 [넷플릭스바낭] 능력자 배틀물 '프로젝트 파워'를 봤네요 [6] 로이배티 2020.08.17 707
113154 오늘의 일기...(카걸, 오가나, 프로포폴) 안유미 2020.08.17 567
113153 살아있다 재밌는데요 가끔영화 2020.08.16 372
113152 오늘로 트위터 11살 이라고 알려주네요 [1] 가끔영화 2020.08.16 249
113151 장마도 끝났는데 집콕중.... [5] 가라 2020.08.16 541
113150 오케이 마담-스포일러- [1] 메피스토 2020.08.16 502
113149 오늘의 일기...(아파트와 사표, 주말) [1] 안유미 2020.08.16 376
113148 [EIDF] EBS 국제다큐영화제 [6] underground 2020.08.16 620
113147 <비밀의 숲> 시즌 2 시작 ssoboo 2020.08.16 546
113146 jTBC, '장르만 코미디' 정말 재미없네요... [5] S.S.S. 2020.08.16 600
113145 [스포일러] 난생 처음 빨리 감기로 대충 완료한 넷플릭스 '더 폴' 잡담 [6] 로이배티 2020.08.16 579
113144 그냥그냥 [6] 어디로갈까 2020.08.16 524
113143 Linda Manz 1961-2020 R.I.P. 조성용 2020.08.16 217
113142 루이 말 감독의 <연인들>을 보고 [3] underground 2020.08.16 437
113141 부동산 정책은 어떤게 지금 상황에서 대안으로 올바른 것인가요? [16] 산호초2010 2020.08.15 1115
113140 힐 하우스의 유령 1회 [6] daviddain 2020.08.15 509
113139 [천기누설][스페셜] 구조와 흐름으로 보는 부동산 이야기 (with 정치 지리학자 임동근) [2] 왜냐하면 2020.08.15 730
113138 할로윈 영화 [2] daviddain 2020.08.15 272
113137 [왓챠] 키딩(짐 캐리*미셸 공드리) 보신 분 감상 좀 알려주세요 [2] 쏘맥 2020.08.15 53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