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백신입니다.

그러나 백신은 아무리 빨라도 내년즘에나 구경이라도 할 수 있을 것이고


1.

결국 치료제가 이 전쟁을 끝내고 전세계가 모두 함께 조금이라도 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는 키가 되는거 같습니다.


치료제는 기존의 여러 바이러스 관련 치료제들을 응용하는 처방이 검토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보도된 내용에 따르면 가장 빨리 임상단계가 끝나고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약물은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된 ‘렘데시비르’ 라고 합니다. 

 http://m.medigatenews.com/news/2777160232

이 약물은 링크된 기사에서 보이듯이 현재 미국과 중국,한국, 싱가포르 등에서 총 6건 임상시험 진행중이며

빠르면 4월초 결과가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칼레트라’는 약물도 임상이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빠르면 5월초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이고요. 


이 외에도 많은 치료제가 주요국가에서 임상이 진행되고 있고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개발도 병행되고 있습니다.


만약 기존치료제 중에 임상을 통하여 확실한 치료법으로 규정이 된다면 

중증환자 치료를 통하여 사망률을 낮출 수 있으며 완치율도 빠르게 개선될 수 있고

경증 환자들을 의료기관이 아닌 자가 투약만으로  완치를 시킬 수 있게 되면서 (독감 치료처럼)

가공할 전파력을 갖고 있는 코로나19에 맞서 의료시스템 붕괴를 저지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완치가 되어 면역력을 갖게되는 사람들의 수도 자연히 증가할 수 있어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버틸 수 있게 되는 것이죠.


2003년의 사스의 경우는 계절적 요인으로 매우 운이 좋게 길지 않은 시간에 크지 않은 피해에 멈출 수 있었지만

코로나19는 계절적인 변수는 크지 않을 전망이라는 의견이 대체적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치료제와 더불어 계절적 요인도 조금이나마 전염병의 확산을 늦추는 요소로 기대가 되는 만큼

결국 4월을 거치며 5월 이전에 현재의 전세계적인 확산과 끔찍한 사망률 그리고 의료시스템 붕괴는 어느정도 저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2.

오늘 정부에서 외국인 입국자에 대한 전면적인 의무자가격리를 실시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시설격리의 경우 격리비용은 국적 불문 모두 자비로 하기로 했구요.

이 조치에 따른 행정력 부하가 발생되고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의료시스템에도 부하가 커질 수 있게 됩니다.


현재까지 우리 방역당국의 특징은  급진적인 방식 보다는 단계적으로 천천히 치밀하게 진행되어 왔습니다.

이런 방식을 통해 유럽이나 북미같은 지역과 달리 

방역의 중요한 주체인 시민의 패닉을 방지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이제 전세계가 모두 인정하는) 성공적인 방역으로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이죠.


문제는 의료시스템과 방역행정시스템 그리고 시민들의 피로도입니다.

앞에 치료제 관련하여 볼 수 있듯이 한 달 정도는 더 현재상태를 끌고 가야한다고 봤을때

방역 및 경제적 스트레스를 한달 더 버틸 수 있을까요?


만일 한 달만 버티면 확실히 전쟁을 끝낼 수 있다는 분명한 확신만 있다면 버틸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를 위해 경제약자들을 위한 지원, 기존의 허접한 한국의 사회안전망에도 절대 놓치지 않을 강력한 지원대책이 나와 준다면 말이죠.

하지만 다시 앞으로 석 달 이상, 아니 언제 끝날지 모를 싸움이라고 한다면.... -_-;


아직 무엇 하나 확실한 것이 없는 신종 전염병이지만 

정부에서는 이제는 국민들에게 분명한 스케줄을 제시해야할 거 같아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73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37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548
112193 트럼프가 이렇게 가벼운 인물인지 몰랐어오 [7] 아름다운 2020.04.25 1689
112192 오늘 80세가 된 사람 [3] mindystclaire 2020.04.25 700
112191 이런저런 걸그룹 MV 들 메피스토 2020.04.24 445
112190 로렌스 올리비에의 <오만과 편견> [16] underground 2020.04.24 1132
112189 커뮤니티를 하는 이유? [7] 가을+방학 2020.04.24 964
112188 홍콩영화 [도신], [도성], [도협] 시리즈... [5] 영화처럼 2020.04.24 1886
112187 다시 본 ‘라이언 일병 구하기’ [4] ssoboo 2020.04.24 893
112186 김희철의 악플러 제거법, 나불편 사팍 2020.04.24 826
112185 [넷플릭스바낭] 현재 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없습니다 [22] 로이배티 2020.04.24 2877
112184 토크멘터리 전쟁사 폐지는 정말 받아들이기가 힘드네요 우울 극심 [14] 산호초2010 2020.04.24 1188
112183 영화제목 나온 김에 책 제목도.... [8] S.S.S. 2020.04.24 569
112182 고스터바스터즈가 다시(?) 돌아오다 [2] 사팍 2020.04.24 615
112181 정말 이상한 제목으로 접한 영화 두 편 [33] Journey 2020.04.24 1299
112180 에이리언2020 [9] mindystclaire 2020.04.24 801
112179 진저 지우기 [12] 사팍 2020.04.23 1161
112178 코로나 백수 일기 1 안산 자락길 [9] 아름다운 2020.04.23 753
112177 관리자님께 신고관련 질문있습니다. [4] 귀장 2020.04.23 600
112176 백수 일상 [1] 메피스토 2020.04.23 550
112175 오거돈 피해자 입장문 [2] 가라 2020.04.23 1085
112174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tribute to 샤론 테이트 [20] tomof 2020.04.23 92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