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오브 라만차는 원래 뮤지컬로 처음 접했던 작품이고,


원작도 브로드웨이 뮤지컬이 원작이라더군요. 초연했을때 굉장한 평가를 받았고, 그 해 토니상도 7개 노미네이트, 5개 수상했으니, 쓸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로컬라이징된 뮤지컬도 워낙 좋아하는 작품이라, 지금은 구하기 힘든 두번 발매된 한국 캐스트 라만차 앨범도 가지고 있고, 간간히 듣습니다.




뮤지컬을 직접 영화로 만드는 것보다, 뮤지컬 무대 자체를 녹화한 것을 더 선호하는 편인데, 이 작품은 아쉽게도 그냥 영화로 만든 것이죠.


하지만, 극 자체가 극중 극의 방식으로 진행되다 보니, 뮤지컬 무대를 보는 듯한 느낌이 나기도 합니다.


당시에는 혹평을 받았나 봅니다.


브로드웨이의 오리지널 캐스트가 아닌 영화 스타를 주연배우로 기용 했던것도 있고, 극중극이 전환되는 과정에 대한 비판도 있는거 같습니다만, 


전 좋았습니다.




가창력이야 뭐 그렇다 치고, 


일단 가장 놀란건 1972년의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우리나라 영화보다 대사 전달이 더 잘되더군요. 아마도 후시녹음일까요? 잘 모르겠지만, 어색한 느낌은 전혀 안들었습니다.


그리고 3d 특수효과가 전혀 없는 영화는 항상 절 설레게 하더군요.





전에 돈키호테 완역됬다고 해서 구입해서 봤던 기억이 있었는데, 별 재미가 없더군요. 그래서 읽다 말았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돈키호테가 처음 출판될 시점에는 기사도랍시고 가오잡는 사람이 많거나, 기사도랍시고 가오잡는 소설들이 대세인 그런 시대였나 봅니다. 


그런 맥락 속에서 그걸 비꼬는 소설이 나왔다는 의미인거 같습니다.


스크림을 제대로 즐기면 무서운 영화를 더 재밌게 즐길 수 있는 것과 비슷한 것 같은데, 전 가오가 떨어진 세상에 살고 있다 보니 재미가 없었던거 같아요.




맨 오브 라만차는 돈키호테에서 파생된 작품이지만, 말하고자 하는 바는 전혀 다릅니다. 


망상에 빠진 귀족, 


망상 속이지만 불가능과 싸우려는 삶의 자세, 


망상속에서 불가능과 싸우려는 삶의 자세에 의해 구원 받은 사람들 에 대한 이야기죠.


엔딩은  영화의 엔딩이 더 취향입니다.


뮤지컬의 엔딩을 너무나 좋아하지만, 뮤지컬에선 보여줄 수 없는 편집을 영화에선 보여주고, 그게 의미있게 다가왔기 때문입니다.


너무 좋아하는 작품이라서 꼭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덧) 페미 까는 글--------------------------------------------------페미까는 글이니 불쾌하실거 같으면 읽지 않으시길 권합니다.

































너무나 좋아하는 영환데,, 어제 숙대 성전환여성의 입학철회 사고와 끔찍한 대자보들을 보고, 


영화보면서 과연 페미니스트의 관점에서의 영화 감상을 하면 이 영화가 어떻게 보일까란 생각이 계속 들더군요.


아마도 끔찍한 영화가 아닐까요?





1. 여자 주인공인 알돈자는 끔찍하게 집단 강간을 당합니다. 영화에서는 구체적인 묘사가 없지만, 사실 이 묘사는 뮤지컬에서의 묘사가 훨씬 야만스럽고 끔찍합니다. 저도 뮤지컬 보다가 눈을 돌리고 싶을 정도였으니까요.


영화건 뮤지컬에서건 의도된 연출과 소재는 모두 본질적으로 장치일수밖에 없습니다. 그것이 어떻게 쓰였건 말입니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이 작품은 여성의 집단강간을 장치로서 소비하고 있는 것이죠.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보면, 정말 끔찍한 일 아닌가요?




2. 여자 주인공의 수는 그렇다 치고, 알돈자는 굉장히 수동적인 존재였습니다.


몸을 파는 것은 일단 뭐 그렇다 치더라도, 그 전에 자신의 귀함을 모르는 사람입니다. 거기에 수동적인 존재죠. 작품 초반에 능동적인 뭔가를 하기 보다는, 못된 남자들의 못된 수작에 반응하는 수동적인 존재입니다.


그런 수동적인 존재가 남자인 돈키호테를 만나 구원받고, 능동적인 존재로 변하죠. 


그렇게 능동적으로 잠깐 변했다가 집단강간 당하고, 다시 무너진 이후에 스스로 일어나서 돈키호테가 돈키호테로 죽을 수 있게 해주는 여성으로 거듭나지만,


그 애초에 돈키호테라는 남자에게 구원받은 존재임은 변하지 않습니다.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보면, 정말 끔찍한 일 아닌가요?






누구도 엘사가 주인공이고 한스가 수동적인 존재라고, 분석하지 않습니다. 오로지 페미니즘적인 영화 감상에서만 저럽니다. 


저런 감상, 저런 평론들은 자연스럽게 창작자를 서서히 압박할겁니다. 


정말 끔찍한 일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3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7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53
111364 뮤지컬 보디가드 [5] 스위트블랙 2020.02.13 478
111363 인셉션 질문 [8] mindystclaire 2020.02.13 1267
111362 [바낭] 모두들 해피 발렌타인! [2] skelington 2020.02.13 365
111361 "문신을 한 신부님"이 개봉했네요 산호초2010 2020.02.13 551
111360 봉준호 생가(生家)같은 소리 하고 자빠졌네 [28] ssoboo 2020.02.13 1745
111359 정직한 후보 를 봤어요. (스포일 수 있어요) [5] 티미리 2020.02.13 763
111358 웨스 앤더슨 감독 신작 [프렌치 디스패치] 예고편과 포스터 [4] oldies 2020.02.13 905
111357 다른 회사 상사들도 이런 얘기 자주 할까요? [5] 가라 2020.02.13 744
111356 [넷플릭스바낭] 80년대 B급 코미디의 전설(?) '폴리스 아카데미'를 봤습니다 [16] 로이배티 2020.02.13 901
111355 [회사바낭] 긴 휴가 [14] 가라 2020.02.13 862
111354 정직한 후보..감상 [3] 라인하르트012 2020.02.13 688
111353 새벽의 기다림 [4] 어디로갈까 2020.02.13 593
111352 리차드 주얼 한국에 릴리즈 된다고 합니다 - 산호초님께 [2] McGuffin 2020.02.12 514
111351 봉준호와 한국적인 어떤 정체성 [26] 어제부터익명 2020.02.12 1898
111350 "패인 앤 글로리" 짧은 감상 [3] 산호초2010 2020.02.12 666
111349 지브리 스트리밍, 과거가 되기 전에 [2] 예정수 2020.02.12 531
111348 작은 아씨들 [4] Kaffesaurus 2020.02.12 946
111347 [넷플릭스바낭] 일본 드라마이자 또 하나의 루프물, '나만이 없는 거리'를 봤습니다 [18] 로이배티 2020.02.12 980
111346 오늘의 미국 엽서(1) [2] 스누피커피 2020.02.12 271
111345 느그 아부지 뭐하시노? / 영화감독입니다... [1] 룽게 2020.02.12 96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