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 일기...(카톡)

2020.01.01 03:28

안유미 조회 수:464


 1.휴...지겹네요. 열심히 살고 싶은데 말이죠. 주식장이 닫아서 이틀 연속으로 열심히 살 수가 없어요. 



 2.요즘은 죽겠다는 말을 입에 담고 살아요. 이건 어쩔 수 없어요. 운동을 너무 열심히 하면 몸이 아파서 죽겠거든요. 하지만 운동을 하지 않은 날은 운동을 안했기 때문에 몸이 아파서 죽겠어요. 아픈 건 같지만 아픔의 종류가 다른 거죠. 그러니까 운동을 열심히 하든, 열심히 안하든 몸은 늘 아픈 거예요.


 하여간 죽겠네요. 그리고 빌어먹은 돈은 늘 모자라요. 이건 어쩔 수 없어요. 이 도시사회에서 돈은 세가지 용도를 가지고 있거든요. 생존과 생활, 유흥의 용도죠. 



 3.적절한 생존을 하는 데 필요한 비용과 좋은 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리미트가 있어요. 하지만 유흥비에는 리미트가 없다는 게 문제예요. 말 그대로, 100만원 쓰는 것보단 200만원 쓰는 게 좋고 200만원 쓰는 것보단 500만원 쓰는 게 좋으니까요. 그게 도박이든...음주가무든...어떤 형태의 유흥이든 말이죠.


 하다못해 마약중독자라면 몸이 견뎌낼 수 있는 마약의 한계치가 있겠죠. 몸이 하루에 스피드볼같은 강력한 마약을 세번까지 버텨낼 수 있다고 하면, 하루에 딱 세번 마약할 돈만 있으면 되니까요. 하지만 유흥은 그렇지 않다는 게 문제예요. 유흥의 세계에서는 돈을 많이 쓸수록 명성치가 올라가니까요.


 쓰고 보니 유흥은 기부와 비슷한 점이 두가지 있네요. 돈을 많이 기부할수록 업계에서의 명성치가 올라간다는 점이요. 그리고 돈을 기부한 것만큼 그 업계사람들에게 나댈 수 있다는 점이요. 김건모는 돈을 많이 기부하긴 했지만, 돈을 쓴것보다 더 나댔다는 점이 문제였죠.  



 4.휴.



 5.하여간 지겹네요. 하지만 어쩔 수 없죠. 지금 건강상태와 발전한 의학을 감안하면 2200년에도 살아있을 수 있으니까요. 지겨움에 익숙해져야죠.



 6.하지만 열심히 살아야죠. 일주일이나 이주일 정도 게으르고 살고 나면 깨닫는 게 있어요. 열심히 안 살면 손해라는 거요. 한번 지나간 날은 다시는 오지 않거든요.


 그야 나는 백수니까, 열심히 안 살면 좋은 점이 딱하나 있어요. 적어도 그 날 하루는 돈을 아끼고 지나간다는 거죠. 직장인들은 열심히 일하는 근무 시간 중에는 어쨌든 돈을 버는 시간이니까 돈을 세이브하게 되지만, 백수는 아니거든요. 오늘을 열심히 살려고 하면 반드시 돈이 나가요. 그냥 운동이나 한번 갔다오고 가만히 틀어박혀서 게임이나 하면 그 날은 의미없는 날이 되긴 하지만...그래도 돈은 아낄 수 있는 거죠.



 7.휴...하지만 심심하네요. 왜냐면 나는 얼마든지 열심히 살 수는 있지만 바쁘게 사는 건 불가능해요. 어렸을 때는 자기계발이나 좋은 일을 하면서 바쁘게 살 수 있었지만 이젠 아니니까요. 왜냐면 내가 직접 바빠 봐야 무언가 수확물이 안 나오거든요. 바빠야 하는건 내 돈이지 나는 아닌 거죠. 


 그 텀이 하루 단위든, 일주일 단위든, 한달 단위든 내가 하는 대부분의 일은 수확을 기다리는 거예요. 그런데 어떠한 사상이 무르익는 걸 기다리는 건 가끔 정말 짜증나는 일이란 말이죠. 팍팍하기도 하고요. 


 그래서 돈이 수확되는 걸 기다리면서 유흥에 돈을 쓸 수밖에 없는데 이 점이 힘든 점이란 말이죠. 돈이 불어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돈을 써선 안된다는 족쇄에 늘 잡혀 있는거거든요. 돈을 쓰려면 돈이 불어나는 속도보다는 느린 속도로 돈을 써야 한다는 거...그 점을 늘 신경써야 한다는 게 짜증나는 일인 거예요.



 8.돈을 팍팍 써보고 싶지만 문제는, 위에 썼듯이 내가 2200년까지도 살아있을 수도 있단 말이예요. 죽는 건 무섭지 않지만 살아있는 건 매우 무서운 일이고요. 내가 아주 오랫동안 살아있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상기할 때마다, 돈을 함부로 낭비하려다가도 손을 멈추게 돼요.


 

 9.사람들은 새해에 떠오르는 태양을 보러 가는 걸 좋아하는 것 같아요. 나도 따라갈까 말까 하다가 결국 안 따라갔는데...할게 없으니까 후회되네요.


 떠오르는 태양을 보는 것에는 관심없지만, 떠오르는 태양을 보는 것에 관심있는 사람들을 따라갔으면 지금 이순간은 심심하게 지내고 있지 않을 텐데 말이죠. 편하게 몸만 따라가면 되는 거였는데...귀차니즘 때문에 안 따라간 게 너무 후회돼요.


 혹시라도 아직 안 떠났으려나 싶어서 연락을 해봤지만 딱 그때가 새해라서인지 카톡 전송도 안 되고 다 취소됐네요. 이제는 새벽 세시 반이니까 다들 떠났겠죠 쩝. 하긴 이제 와서 끼겠다고 하면 눈치도 없어 보일 테니...카톡 전송이 안 된게 다행일지도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3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8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68
110968 오스카 레이스를 달리는 기생충 & 씨름의 희열 5회 [2] 보들이 2020.01.05 1021
110967 [넷플릭스바낭] 듀게 분들 많이 좋아하실 것 같은(?) 드라마, 블렛츨리 서클을 봤습니다 [14] 로이배티 2020.01.05 1293
110966 2020 National Society of Film Critics Awards Winners [2] 조성용 2020.01.05 466
110965 #Pray for Australia [3] skelington 2020.01.05 648
110964 아카데미상에 저예산 영화상을 따로 만든다면 메이저 영화사들이 못하게 할 듯 [14] 가끔영화 2020.01.04 721
110963 [넷플릭스]빨간머리 앤 시즌3 [8] 노리 2020.01.04 2279
110962 공수처법 통과 비하인드 스토리(알릴레오, 이해찬, 유시민) 왜냐하면 2020.01.04 736
110961 결혼 이야기의 이 영상이 올라왔네요 [1] 예정수 2020.01.04 674
110960 [KBS1 신년특집 다큐인사이트] 보일링 포인트 underground 2020.01.04 568
110959 잠이 깼습니다. [4] 가라 2020.01.04 673
110958 이런저런 일기...(행복과 건강, 딸기빙수) 안유미 2020.01.04 431
110957 순간 정신줄을 놓으면-간헐적 단식 그닥!!! [15] 산호초2010 2020.01.03 1135
110956 지금 네이버 무료 영화 목록이 나름 역대급이네요 [7] 로이배티 2020.01.03 1390
110955 조국(이라고 쓰고 문재인이라고 읽...)이 싫은거지 검찰개혁이 필요없단 말은 아냐. [11] 졸려 2020.01.03 1405
110954 [회사바낭] 승진 [17] 가라 2020.01.03 976
110953 검찰들아 잘 놀았냐? 이제 긴장해라... 도야지 2020.01.03 562
110952 조인스 프라임 구독후기 [1] 예정수 2020.01.03 1443
110951 조국씨 임명 때 불었던 광풍은 무었이었을까요 [51] Usetheself 2020.01.03 1919
110950 [바낭] 영상편집 어떻게 해야할까요? [9] skelington 2020.01.03 517
110949 [바낭] 게시판 태그 버튼 눌러보셨어요? [5] oldies 2020.01.03 38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