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 그런거야

2016.08.22 13:16

푸른나무 조회 수:1754

김수현 작가의 '그래 그런거야'가 끝났네요. 80억 손해봤다는 기사도 봤는데 저는 즐겨 봤던 드라마라서 아쉽습니다.

김수현의 가족극을 좋아하는 편인데도 이번 드라마는 초반 보기가 사실 쉽지 않더군요. 밥 먹고 치우고 사는 일상사야 어느 집이 안 그렇냐만은

삼대가 복작거리며 사는 것도 그렇고. 홀시아버지 모시고 사는 남편 잃은 젊은 며느리도 그랬고.

김수현 드라마의 단점이 초반에 너무 부각되는 면이 있었어요. 중반부터 나아져서 마지막이 좋았다고 생각되는데

아무래도 작가 나이가 있다 보니 젊은 사람들이 연애하는 걸 보면 뭔가 어색하더라고요.

그런데 또 놀랍게도 그 젊은 사람들이 결혼을 하면 안 어색해요.

결혼하고 나면 사는 풍경이 비슷해져서 그런건지.


김수현 드라마의 결혼은 집안 대 집안의 일이라는 걸 너무나 잘 보여주면서, 한편으로는 재산을 증식하는

수단인 것을 은연 중에 보여줍니다. 그 드라마에서 결혼으로 손해본 커플은 없는 것 같더라고요.

자존심 내세우는 의사 아들도 결국 부잣집 딸과 결혼, 막내 아들도 부잣집 딸과 결혼, 간호사 일 하는 둘째네의 외동딸도 부잣집 아들과 결혼........

물론 사랑해서 결혼하지만 김수현 드라마에는 가부장적인 질서가 잘 잡힌 집안의 아들딸들이 유산 많은 딸아들과 결혼하는걸 보고 있으면 그런 생각이 들어요.

이건 제인 오스틴의 소설과 같은 김수현 놀음이라고.


그래도 그 질서 안에서는 안전하고 보호받고 날마다 소소한 재미가 있거든요. 늘 일이 터지고 대체로 며느리들이 동동거리지만

사람 사는 소란스러움이 있죠. 심심할 일이 없는 풍경이에요. 마지막 회에서 같은 날 죽고 싶다며 노년의 부부가 대화하다가

할머니가 자기가 6년 손해 보는 거라고 하니, 할아버지가 당신하고 나 사이에 뭘 그런 걸 따지냐고 하던데. 진심으로 웃었습니다.

솔직히 말하면 김수현의 가족극을 볼 때마다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과 어떤 향수, 그러면서도 똑똑한 여자로서 쉽게 타협하거나

본인 성향을 죽이고 양보할 수 없었던 사람의 모순을 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정말 좋은 것은 나이 들어 나란한 인생의 동반자에게서 받는 위로와 위안이라서 똑똑하고 냉정한 딸들이 어리석게도 사랑에 빠져

지는 게임을 시작하는 것을 어느 정도는 이해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셋째네 딸이 연애결혼했다 사기결혼이 된 것을 용서하고 가는 것도 이해하려면 이해할 수 있지만

사실은 그리 납득이 안되더라고요. 첫째네의 나이차 많이 나는 부부의 결혼과정도 불편하기는 했습니다.

다 큰 자식과 부인을 한꺼번에 잃은 불행을 겪은 사람의 인생에 어떤 여자가 해줄 수 있는게 무엇인지
보여주기도 했지만요. 김수현 드라마의 여자들은 겉으로만 세지 속으로는 무르기만 해요ㅠㅠ


끝나서 서운하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7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6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795
37 ‘디아블로 3’한정판 패키지 구매 대기표, 30분만에 2천개 동났다 [3] chobo 2012.05.14 1872
36 빈볼에 관한 루머들. 그 보이지 않는 야구의 숨겨진 룰? [20] chobo 2012.05.22 2641
35 [동영상] 한국말 하는 고양이님 @.@ (혹시 뒷북이면 죄송;;) [5] 13인의아해 2012.05.25 1598
34 [기사펌]어제 유령에서 마지막에 나온 여기자 구연주 역할.. [2] 라인하르트백작 2012.06.15 2057
33 [100권] <먼 북소리>-하루키의 이탈리아, 그리스 여행기.. [7] being 2012.06.22 2476
32 층간 소음 아니라 건물간 소음? [4] 쏘맥 2012.07.04 1797
31 아이돌바낭)그러면 남자,여자 아이돌 중 최고의 미모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누규? [59] 발광머리 2012.07.11 5283
30 내랑 결혼하자 오빠야.swf (자동재생) [15] 루아™ 2012.08.15 4508
29 내가 있을 곳은 어디였던가. 복학 얘기. 그리고 쪽팔린 일 하나. [2] 불가사랑 2012.08.29 1561
28 뮤지컬 전국노래자랑을 보고 왔습니다. [3] 수박쨈 2012.09.10 1517
27 레 깅스레 깅 스레깅 스 레깅스 [19] 예수 2012.09.14 4451
26 [바낭] 비교적(?) 짧은 오늘의 아이돌 잡담 [10] 로이배티 2012.09.15 2234
25 (각하에게 관심을) 각하물가 품목 62%, 물가 상승률 웃돌아 [3] chobo 2012.10.05 1065
24 미드 블루블러드.... [4] 닥호 2012.10.28 2061
23 전례없는 보수 대결집을 완성한 대선 [1] 마당 2012.12.05 1941
22 지하경제 양성화건 활성화건 그걸 세원으로 삼는다는 의미에 대한 설명 [29] 데메킨 2012.12.11 4695
21 포털 사이트 안들어간지 일주일째. 어찌 패치는 되었나요? [1] chobo 2012.12.27 1034
20 정치, 사회에 관심 완전히 끊고 산지 12일째, 좋은데요? [1] chobo 2012.12.31 1450
19 [바낭] 사람 몸이란...(징그러움?) [24] 닥호 2013.01.10 3801
18 코즈믹 호러 [1] 자본주의의돼지 2013.01.15 316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