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팍은 확실히 예전만 못하죠. 섭외력도 떨어졌고 그래서 진짜 아무나 막 나옵니다. 장한나,장영주,강수진,조수미,금난새

등등등 전성기 시절에 비하면 확실히 딸립니다. 이번 주 김현중 나오는거 보면서 겨우겨우 명맥을 유지하려고 안간힘을 쓰는구나

싶었어요. 무릎팍에 김현중 못 나오란 법 없고 게스트를 가려 받아야 할만큼 엄청 위신있는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그래도 명예의 전당 같은 느낌은 있었습니다. 아무나 다 나올 수 있는 프로그램은 아니었어요. 그래서 이태곤이나 김현중

같은 연예인이 나왔을 때 말이 좀 나왔었죠.

 

이런거 다 제쳐두고라도 요즘 무릎팍은 힘이 딸립니다. 작가들이 바뀐건지 대화를 뽑아내는 방식이 별로에요.

도사님한테 의뢰하는 컨셉이니 고민 해결해주는 마지막 부분은 어쩔 수 없긴 하지만 고민해결 해줄 때마다 너무 민망하고

낯간지러워서 항상 거기까지만 보다가 채널 돌립니다.

이에 비하면 경쟁사 토크쇼라 할 수 있는 승승장구는 어리버리한 네명의 MC들이 여전히 아마추어처럼 진행하며

진행 방식도 아침방송 같은 느낌은 있지만 출연자들이 진솔하게 자기 얘기를 꺼낼 수 있는 분위기는 조성한 것 같습니다.

자리를 잡은 것 같아요. 지난 번 김완선이나 이번 주 이혜영을 보면서 확실히 승승장구가 출연자들 경력분석이나 고민,

본인 얘기를 무릎팍보다 더 잘 끄집어낸다고 느꼈어요.

 

김완선이나 이혜영이 승승장구 나와서 했던 말은 모두 먼저 출연했던 무릎팍에서도 했던 얘기인데

승승장구에 나와서 말하는 게 훨씬 감정이입도 잘 되고 재밌더군요. 무릎팍은 너무 컨셉을 의식해서 많은 것들을

코미디로 전락시킬 때가 많은데 승승장구는 꼭 출연진이 눈물 쥐어짜지 않는다해도 적절하게 조절을 하는 것 같아요.

특히 나오는 사람들의 경력을 차근차근 훑어주고 앨범이나 작품에 대한 소견을 밟히게 하는 방법이 좋습니다.

김완선 같은 경우 앞으로의 음악과 지난 음악들에 대해 김완선 본인 입으로 회상하는 시간을 마련해줬죠.

그리고 게스트들 인맥 섭외도 해서 중간중간 재미있게 해주고요. 전인화 때도 예능프로그램에서 쉽게 볼 수 없었던

이혜숙이랑 이보희가 나와서 반가웠어요. 게스트에 할애하는 시간도 더 길지만 질문이 의외로 빼곡해서 듣는 즐거움이 있어요.

반면 요즘 무릎팍은 얼렁뚱땅 넘어가기만 합니다.

 

무릎팍이랑 라디오 스타랑 황금어장으로 묶지 말고 차라리 6개월씩 나눠서 시즌제로 방송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그러면 좀 더 힘이 있을텐데 만약 그렇게 되면 간접홍보를 못하려나요.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