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베일]

2023.11.30 14:54

thoma 조회 수:149

서머싯 몸의 소설 [인생의 베일]을 읽었어요. 

기대한 방향과 좀 달랐고 작가의 유명세에 비해 기대를 채워 주진 않았어요. 재미는 있습니다! 제 기대와 달랐다는 말씀.

아래 내용이 나옵니다.

 

1920년대 홍콩에서 결혼생활을 시작하게 된 '키티'라는 여성의 성장 소설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이 소설에 나오는 중심인물 세 명 중에 내면의 생각과 그 변화를 따라가 보게 하는 인물은 키티 한 사람이고요, 남편 월터의 성격이나 인간됨은 키티의 눈에 비친 모습이나 키티와의 대화를 통해 드러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을 뿐이고 불륜 상대인 찰스는 보이는 것이 전부라 내면이랄 것이 없어요. 따라서 인물 사이에 일어나는 화학 반응으로써 인물이 성장하는 드라마는 아니라고 봤네요. 

이야기 전달자가 외부에 있습니다만 사실상 1인칭 주인공 시선으로 전개됩니다. 키티, 그녀,라고 지칭되어 있으나 이야기는 키티만을 따라가고 외부 세계는 그녀의 시선을 통해서 전달돼요. 내용 전개가 1인칭 주인공 시점에 가까운데 표면적으로 3인칭 시점을 취한 것은 키티의 성격적 가벼움과 천박함을 객관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겠죠. 키티가 맺는 가족 비롯 주변 인물과 관계의 부실함을 키티 본인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세히 그릴 필요없고 거리감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도 있겠네요. 시점에 있어 이런 의도를 생각해 보았으나 한편으로는 남편인 월터를 깊이 다루지 않은 것은 아쉬웠어요. 생각해 보면 3인칭이면서 실질 1인칭으로 전개하였다는 것은 작가가 인물들의 내면을 '조금만' 다루겠다는 의도였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결과는 그렇게 된 것 같아요. 


키티가 변화하고 성숙하게 되는 장치들도 무척 도구적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던데요. 키티는 월터에게 불륜을 들키고 찰스의 본색을 확인합니다. 이후에 냉혹하고 자기파괴적인 월터의 결정으로 콜레라가 창궐하는 중국의 농촌 지역에 끌려가듯이 가게 되고, 그곳에서 일생을 헌신하는 프랑스 수녀들을 만나게 되고, 그곳의 자연에 감화받아요. 이국에 이국을 더하며 생경함에 생경함을 더하는 극단적인 외적 조건들이지 않습니까. 그리고 이 경험은 단 두세 달 지속되는데 키티는 무척 변화하는 것 같이 보입니다. 사람이 그렇게 금방 변화할 수는 없다는 것을 홍콩에 돌아온 키티를 통해 작가가 지적하고 있기는 합니다. 이 부분도 불평을 조금 하자면 이런식으로, 키티의 이런 충동적 욕구에 끌리는 행동(찰스와 다시 관계함)을 통해 변화가 어려운 인간의 나약함을 보여 준다면 앞서 농촌에서의 장면들에 신뢰가 많이 떨어지는 느낌이 들었어요. 변화는 쉽지 않고 이런저런 굴곡을 거치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정반합의 되풀이로 단련되어 간다, 라는 면도 있겠으나... 그래봤자 인간은 같은 실수를 반복할 뿐이라는 김빠지는 장면이라는 느낌도 있었습니다. 소설의 끝에 가까워 인물의 다음 행보를 충분히 확인할 수 없어 그렇기도 합니다.


1920년대 영국인이었다면 이국에서의 사건을 다룬 이 책이  많이 흥미로웠을까요. 어쩐지 저에게는 몸의 소설이 그가 속한 계급을 옹호하는 내용으로 다가옵니다. [면도날]에 이어 다시 서머싯 몸의 책을 시도한 것은 조지 오웰의 언급 때문이었는데...아쉽네요. 서머싯 몸은 일반적인 높은 평가와 제 생각이 갈라지네요. 

8937461374_3.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83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1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94
124925 프레임드 #635 [4] Lunagazer 2023.12.06 67
124924 페르시아의 부마 음악 [5] 돌도끼 2023.12.06 220
124923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3] 조성용 2023.12.06 573
124922 무도관 음악 [2] 돌도끼 2023.12.06 124
124921 오늘자 뉴스 몇개,,,(블랙핑크, 이재명, 방통위원장....) 왜냐하면 2023.12.06 270
124920 십년전으로 되돌아갈래 하면 좋죠 하는 사람 없다고 합니다 [3] 가끔영화 2023.12.06 278
124919 가지를 치는 책, 피로사회, 웨스 앤더슨 단편, 잡담 [6] thoma 2023.12.06 289
124918 프레임드 #634 [5] Lunagazer 2023.12.05 112
124917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on stage 가끔영화 2023.12.05 160
124916 윙코맨더 음악 [1] 돌도끼 2023.12.05 107
124915 황금박쥐 주제가 [1] 돌도끼 2023.12.05 146
124914 축구 ㅡ 펠릭스 [5] daviddain 2023.12.05 115
124913 티니핑을 뭘 사주면 좋아할까요? [3] 스위트블랙 2023.12.05 250
124912 이순신 3부작 마지막 편 - 노량: 죽음의 바다 메인 예고편 상수 2023.12.05 223
124911 (정보) <[Live] 2024 빈 필하모닉 신년음악회> 예매했어요. [2] jeremy 2023.12.05 266
124910 친구가 만든 패터슨의 화답같은 영화 - 빔 벤더스, 야쿠쇼 코지의 퍼펙트 데이즈(스포 있음) 상수 2023.12.05 226
124909 [영화바낭] 알아 듣기 쉬운 제목입니다. '목숨 건 스트리밍' 잡담 [6] 로이배티 2023.12.04 302
124908 에피소드 #66 [4] Lunagazer 2023.12.04 56
124907 프레임드 #633 [4] Lunagazer 2023.12.04 66
124906 한국을 떠납니다... [1] 모스리 2023.12.04 61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