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드라마와 잡담

2023.12.25 15:21

thoma 조회 수:461

정말 오랜만에 국내 드라마 시리즈를 완주했어요.

지난 번에 올린 글에서도 썼지만 '사랑의 이해'입니다. 

자그마치 16부작이며 회당 60분 이상입니다.


추천은 드리지 않겠습니다. 씨네21 평론가들 순위 높다고 이 정도 시간을 들여 볼 작품은 아닙니다. 보다가 빨리 넘긴 부분도 많았어요.  

일단 호흡이 매우 느린데 이걸 장점으로 꼽기엔 아쉬워 보입니다. 화면, 이야기 전개에서 호흡이 느리다는 것이 밀도가 약해져도 된다는 것은 아니니까요. 느려서 얻을 수 있는 분위기 같은 부분은 살리면 좋지만 이건 아닌데 싶어서 대체로는 자주 몸을 비틀게 되었습니다.


제가 기대한 부분도 크게 눈에 들어오진 않았어요. 연인이 되기 전에 학력과 취향에서의 차이 같은 이해를 따지게 되는 상황을 날카롭게 다루진 않습니다. 그냥 뭐 제일 계층 차이 안 나서 잘 통하는 두 인물이 남게 되네요. 다 보고 나니 두 인물은 애초에 그렇게까지 밀당을 할 일이 있었을까 싶고요. 밀 때는 고구마 우겨 넣는 장면을 참아야 하고 당길 때는 오그라듦을 참아야 해서 포기의 순간도 찾아 왔고요. 

그리고 드라마 전체에서 가장 흠이다 싶은 것은 인물 중에 제일 아쉬웠던, 여자 주인공과 잠시 사귀는 은행 청경 역할 인물에 대한 표현입니다. 더 잘 그려야 했지 않을까 싶어요. 네 사람 중에서 계층적으로 가장 열세로 나오니 더 입체적으로 살릴 필요가 있었는데 너무 기우는 느낌입니다. 두고 쓰는 문장이 '미안해요'라니.....인간적 매력이 많이 떨어지고 막판엔 좀 위험인물 느낌까지 들더군요.

  

다만 예전에 본 국내 멜로와는 달리 조역 인물들과 부모들이 꽤나 합리적으로 변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금수저 인물 경우 과거와 달리 대화로 해결(?) 가능한 선에서 그려져 있었고 그 부모도 이상하기야 하지만 해괴한 수준으로는 안 그리려는 노력이 보였달까요. 그리고 조역들이 던지는 대사들이 한 번씩 웃음터지게 하는 재치가 있었고요. 

어쨌거나 이번에도 역시 은행에서 연애하는 드라마였다 싶네요.(은행 대리와 과장의 연봉이 얼마나 되나 찾아 보았는데 높던데요.ㅋ)

얽히는 네 인물 중 아는 배우는 유연석 뿐이었고 다 처음 보는 연기자였어요. 문가영은 표정이 김희선을 떠올리게 하더군요. 멜로 주연으로 어울리는 얼굴이었어요. 그런데 유연석은 역할이 썩 붙지는 않더라고요. 연기가 안 늘었나...


군데군데 연애해 본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겠다 싶은 장면은 있었습니다. 함께 아는 사람의 결혼 앨범에서 멀어진 연인의 사진을 발견한다거나, 함께 걷고 다녀갔던 장소들, 이제는 텅 빈 거리를 카메라가 훑는다거나. 

저도 이런 장면에선 과거 생각이 조금 났네요. 과거의 데이트란 걷기와 유의어가 아닌가 싶고. 만나면 참 많이 걸었다는 생각이 났습니다. 집에 돌아오면 다리가 뻐근할 정도로ㅋ... 

연인 아니라 누구와도 오래 걸으면서 이 얘기 저 얘기하는 거 참 좋은 것인데 요즘은 그럴 일이 없어서 슬프네요. 걷기와 대화에 대한 생각을 더듬어 본 것이 이 드라마에 투자한 보람이다,라고 생각하려고요.  


작년엔 어떤 드라마가 선정되었나 찾아 봤더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작은 아씨들', '나의 해방일지'가 1,2,3위입니다. 정희진 선생이 '나의 해방일지'를 여러 번 언급해서 봐 볼까 고민. 이 드라마가 '나의 아저씨' 작가라 해서 주저가 되네요. '나의 아저씨'도 몇 년 전 뒤늦게 몰아 보았는데 저는 이 드라마에 거부감이 컸거든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8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7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809
125100 지난 정권에서 그렇게 조국욕을 하며 정권과 각을 세웠던 모 기자 도야지 2023.12.30 456
125099 올해 끝나가는 동안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10] 조성용 2023.12.30 487
125098 범죄도시3 vs 독전2 ( 2023년 실망을 크게 줬던 영화) 왜냐하면 2023.12.30 177
125097 라이언 오닐 가족은 [3] daviddain 2023.12.30 194
125096 [왓챠바낭] 폴란드산 소박 스릴러, '걸 위드 건' 짧은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3.12.29 199
125095 또 최근에 본 드라마와 잡담 [12] thoma 2023.12.29 527
125094 저걸 어떻게 만드는거지 가끔영화 2023.12.29 155
125093 프레임드 #658 [2] Lunagazer 2023.12.29 66
125092 [정보] CGV아트하우스에서 [켄 로치 감독전]을 하네요. [5] jeremy 2023.12.29 213
125091 도스박스 잡담 [2] 돌도끼 2023.12.29 114
125090 엑스컴 음악 [2] 돌도끼 2023.12.29 76
125089 이선균과 지상파 3사 드라마와의 인연 [2] 모르나가 2023.12.29 577
125088 이생진, 술에 취한 바다 jeremy 2023.12.29 174
125087 바낭 - 23년 전쯤 여름에 중학교 교실 대형TV에 나오던 힙합음악과, 미성년자 관람불가 영화와, SF영화 [2] 상수 2023.12.29 229
125086 [디즈니플러스] 괴작 소릴 들으려면 이 쯤은 되어야, '빅 트러블 인 리틀 차이나' 잡담입니다 [13] 로이배티 2023.12.29 401
125085 [스크린 채널] 비닐하우스 (9시 6분에 시작했어요.) [2] underground 2023.12.28 130
125084 [수정] 연말에는 주위에 '스타벅스 플래너'(다이어리)를 선물하고 있어요. [2] jeremy 2023.12.28 267
125083 프레임드 #657 [4] Lunagazer 2023.12.28 54
125082 '마약과의 전쟁'으로 얻은 것? [4] 왜냐하면 2023.12.28 606
125081 다시한번 전투기를 만들었어요 [6] 돌도끼 2023.12.28 19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