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가워라;

놀란감독의 <인셉션> 보고 놀란빠(정확히는 메멘토빠)로서 빠심이 식는걸 느끼면서(감독이 잘못된 길을 가는 느낌에ㅎ)

디워파동 때 메멘토를 좋아한다고 콕 집어말했던 진중권이 생각나서, 진선생은 이 영화를 어찌 생각할까 궁금했었는데..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62085

 

* 지루함을 덜어준 것은 영화의 중층적 구조(꿈속의 꿈속의 꿈). 그것이 그나마 관객에게 서사를 재구성하는 지적 재미를 안겨준다. 몇 가지 세부가 끝내 이해되지 않고 남는다는 점을 빼면(진중권도 그랬다니 안심되네요!;), 서사가 밖에서 들었던 것만큼 그렇게 복잡하지는 않았다. <메멘토>의 탁월한 서사를 기억하는 관객이라면, 이 영화의 서사가 그 외견상의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외려 매우 단순하다고 느낄 것이다. 한마디로, <인셉션>은 꽤 잘 짜인 영화이긴 하지만, 미학적 혹은 철학적으로 그리 인상적인 작품이라 할 수는 없다.

 

* 어지러움은 세계에 대한 이 두 대립되는 관념- 합리주의적 독단론과 경험주의적 회의론 -이 영화 속에 뒤섞여 있는 데서 온다.

 

* 이 어색함 외에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를 뒤섞어놓은 것도 영화의 철학적 설득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사실 의식의 세계와 무의식의 세계는 급진적으로 다르다. 예를 들어 우리는 프로이트를 통해 응축과 전이라는 꿈의 원리를 알고 있다. 꿈의 세계는 비논리적이다. 하지만 의식, 혹은 현실을 지배하는 것은 인과관계. 서사는 결국 인과의 사슬이다. <인셉션>에 나오는 꿈의 세계는 너무나 논리적이다. 서사를 무의식의 세계로 연장하려다 보니 꿈의 세계마저 거의 현실과 같은 논리로 구축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바로 이 점이 영화를 어정쩡하게 만든다.

: 맞아요 맞아. 영화 보면서 놀란감독의 머리의 비상함에 감탄했지만, 뭔가 꿈의 세계를 통해 사유 or 정서의 새로운 지점을 보여주기엔(애초에 이런 야심이 있었는지도 의문이지만), 이 감독은 데이빗린치,큐브릭 등과 달리 덜 미쳤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ㅎㅎ 이 감독은 너무나 이성적이고 정상적이에요. 아귀가 그럭저럭 딱딱 맞는걸로 끝나버릴수 있는, 즉 조금은 텅 빈 영화처럼 느끼면서 영화관을 나오게 될 가능성있는? (이 비문 봐라;)

 

* 남의 생각을 빼내고(extraction) 내 생각을 남의 무의식에 집어넣는다(inception)는 유치한 발상에 집착하기보다는 차라리 영원한 꿈의 연옥(limbus)을 탐험하는 영화를 만들었으면 더 낫지 않았을까? 영화에서 유일하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 것이 바로 그 부분이기 때문이다.

: 맞아요 맞아. 유일하게 마음을 흔드는(울컥하게 만드는ㅋ) 부분이 '림보를 영원히 맴돈다'는 개념이었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1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1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975
120040 [영화&극장바낭] '닥터 스트레인지 : 대혼돈의 멀티버스'를 봤습니다 [22] 로이배티 2022.06.02 804
120039 제작방침을 바꿀 예정인 넷플릭스 [12] LadyBird 2022.06.02 1149
120038 프레임드 #83 [16] Lunagazer 2022.06.02 342
120037 칼리토님 고생하셨어요 [5] Lunagazer 2022.06.02 947
120036 무서운 까마귀들 [11] Sonny 2022.06.02 696
120035 작용반작용 [2] bubble 2022.06.02 572
120034 지구이야기 - 로버트 헤이즌 [3] catgotmy 2022.06.02 246
120033 경기도지사는 새벽에 뒤집혔나보군요 [8] 으랏차 2022.06.02 1542
120032 그러니까 친문, 너희가 문제라고 [4] 메피스토 2022.06.01 1359
120031 [핵바낭] 근데 출구조사 이거 금지시켜야 하지 않나요 [11] 로이배티 2022.06.01 1402
120030 불판 - 지방선거 [2] 예상수 2022.06.01 611
120029 프레임드 #82 [14] Lunagazer 2022.06.01 285
120028 또 지나는 생각 [4] 가끔영화 2022.06.01 257
120027 <행인> 을 읽고 [4] thoma 2022.06.01 306
120026 순수문학 소설이란 무엇인가 [2] catgotmy 2022.06.01 366
120025 올해 여름은 견딜만할지 모르겠네요. [9] 산호초2010 2022.06.01 630
120024 지나다 둘의 이런 대화를 들었네요 [2] 가끔영화 2022.06.01 476
120023 샬라메가 로마 팬인 이유/피날리시마 [1] daviddain 2022.06.01 396
120022 스타크래프트 컴까기를 하면서 [2] catgotmy 2022.06.01 271
120021 미혼 중년의 삶, 최강전설 쿠로사와(1권 스포) [2] 안유미 2022.06.01 70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