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저의 재료로 오래전에 청동을 사용하기도 하였고, 놋쇠, 은, 나무 등을 주재료로 만든다.

현대에 와서는 '스테인레스'로 만든 것이 보편적이다. "


구글링으로 퍼온 건데요. 네, 원래 전통 한국 수저/젓가락은 청동, 은 같은 (고급스럽기까지한) 재질이었고,

이건 뭔가를 먹을 때에도 미세한 마찰감 때문인지 잘 집어졌던 거 같아요.


요즘 대부분의 한국 식당에 보급되는 스텐 수저/젓가락은,

평생 사용해본 한국인인 제 입장에서도, 불편합니다.


손에 쥐가 나요... 너무 싫어요 이거.


젓가락 자체도 너무 얇아서 힘도 더 많이 줘야 하는데다,

마찰력 하나 없이 미끄덩해서 세게 쥐어야만 집어질까 말까하고

면류 (특히 당면)는 그것마저 떨어져요.


일본과 중국은 중국에서 생산된 대나무 젓가락을 사용한다네요.

이게 집을 때는 더 수월하지 않나요?


라면, 잡채, 산낙지 같은 거엔 더더욱요.

그래서 이런 거 파는 집에선 나무젓가락 제공해주는 집이 더 센스 있어 보여요.


대나무 젓가락은 위생상의 문제가 있어서 그런걸까요?


그리고 앞접시.. 제발 2배 이상 큰 데다 줬으면.

설거지의 수월함 때문인 것 같은데.

거의 흘르지 않게 받쳐 먹는 수준이라 감질나서 못 먹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좀 바꼈으면 하는 문화예요.

한식이 세계화되는 시점에

젓가락질 어려운 외국인 입장에서도 힘든 문제 같아요.


+ 물론 단가 문제가 제일 크겠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1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1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975
116139 스타크래프트 비제이들이 코인 스켐사기 의혹을 받고 있네요 [19] Sonny 2021.06.23 920
116138 축구 잡다 [6] daviddain 2021.06.23 337
116137 살아있습니다 [13] 01410 2021.06.23 905
116136 민주당에서 평등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를 진행합니다. [26] Lunagazer 2021.06.23 712
116135 말나온김에 고기얘기 [13] 메피스토 2021.06.23 669
116134 본격 경쟁전에 상처를 입혀야 한다(윤석열, 정치 테마주 순환매) [2] 왜냐하면 2021.06.23 425
116133 [바낭] 코로나로 인한 학력 저하를 확인 중입니다 [9] 로이배티 2021.06.23 950
116132 K-컬쳐쇼크 "한류가 정치혼돈 부추긴다" [7] skelington 2021.06.23 775
116131 조선일보 '성매매 기사'에 조국 전 법무장관 딸 이미지 사용 [9] 왜냐하면 2021.06.23 957
116130 현실불편러의 현실수긍 [2] 예상수 2021.06.22 513
116129 헤드폰 (2012) [1] catgotmy 2021.06.22 313
» 현대 한국의 쇠수저, 쇠젓가락, 작은 앞접시가 싫어요 [46] tom_of 2021.06.22 1993
116127 광고있잖아요 [4] daviddain 2021.06.22 376
116126 고기 얘기가 나왔길래2 -미래식량의 미래 [22] skelington 2021.06.22 724
116125 고기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12] ND 2021.06.22 644
116124 [넷플릭스바낭] 또 다시 이제사... '죽음보다 무서운 비밀(Apt Pupil)'을 봤습니다. [32] 로이배티 2021.06.22 926
116123 왜 신해철은 싸이의 재입대를 반대했나? 사팍 2021.06.22 592
116122 가스라이팅이라~ [3] 사팍 2021.06.22 745
116121 마리가 아니라 명으로... [54] 사팍 2021.06.22 1009
116120 얼죽아에 필적하는 쪄죽뜨샤를 아시나요? [11] 채찬 2021.06.22 80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