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형태로 작성되어 말투가 이런 것이니 양해 부탁드려요. 엔딩에 대한 언급이 있어요.)

‘미친’이라는 수식어를 붙일 수 있는 영화가 존재한다면 바로 데이미언 셔젤의 음악적 천재성이 빛나는 <위플래쉬>와 같은 영화를 두고 하는 말일 게다. <위플래쉬>는 통상적인 의미로 장르를 구분한다면 음악영화라고 부를 수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그냥 음악영화가 결코 아니다. 음악영화라는 말 앞에 복합 장르적인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하드보일드 버디 액션 스릴러’라는 단어를 동원해도 무방하다. 

<위플래쉬>는 가히 최고의 ‘밀당’ 영화라고 할 만하다. 이 영화에서 앤드류(마일즈 텔러)와 플레쳐 교수(J.K.시몬즈)가 밀당을 하는 수준은 신과 신이 교차되면서 계속 이어지는 것은 기본이고 한 신 안에서도 순간 순간 관객의 기대를 무너뜨리며 반복된다. 가령 드디어 제1 드럼 연주자가 되었다고 만족해하고 있는 앤드류가 연주 연습이 끝나고 상쾌한 기분으로 연주실을 나서려는 순간 플레쳐가 앤드류를 불러 세우면 갑자기 라이언이 화면에 등장한다. 즉시 플레쳐는 라이언과 앤드류가 연주 대결을 하게 만들고 관객이 보기에도 분명히 앤드류가 드럼을 잘 쳤음에도 불구하고 궤변을 늘어놓으며 바로 앤드류를 내친다. 영화는 시종일관 이런 식으로 관객을 배반하는 순간들로 가득 차 있는데 흥미롭게도 이 영화의 그러한 전개 방식은 이 영화에서 다루고 있는 재즈 음악과도 닮아있다. 일반적으로 치밀하게 구조화된 음악인 클래식에 비해 재즈는 즉흥성, 우연성, 예측 불가능성을 주요 동력으로 해서 완성되는 음악이기 때문이다. 

이 영화를 도식화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하는 앤드류와 폭력적인 방식으로 앤드류가 한계를 뛰어넘도록 부추기는 플레쳐 간의 상호 교환되는 에너지를 동력으로 해서 전진하다가 두 에너지의 충돌이 절정으로 치달아 드디어 대폭발을 일으키는 순간 영화가 끝난다. 이 영화에는 서사적으로도 이러한 진행 방식을 뒷받침하는 디테일이 있다. 이 영화에서 서사적으로 중요하게 사용되는 곡은 ‘위플래쉬’와 ‘카라반’이다. ‘위플래쉬’는 이 영화의 제목으로도 쓰이고 있고 극 중 앤드류가 플레쳐가 이끄는 교내 스튜디오 밴드에 처음 합류해서 플레쳐로부터 심하게 망신을 당하는 시퀀스에서 연주되는 음악이다. 그리고 ‘카라반’은 영화의 3분의 2 지점쯤 앤드류가 차 사고로 부상을 입어서 제대로 연주를 진행하지 못할 때 등장하는 곡인데 이때 ‘카라반’의 연주가 유예되는 것은 감독의 의도이다. 전율의 엔딩 시퀀스에서 앤드류에 의해 다시 폭발적으로 연주가 되어야 하는 곡이기 때문이다. 

<위플래쉬>는 또한 드럼 연주에 관한 실험적인 시도를 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영화 전체가 드럼에 관한 한 연구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감독의 드럼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드럼 연주에 대한 영상화에 철저하게 몰두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데이미언 셔젤은 음악 전문학교인 프린스턴 고등학교에서 드럼을 연주한 적이 있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이 영화를 만들었다. 드럼이라는 악기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아무래도 리듬감이라고 할 수 있을텐데 <위플래쉬>는 탁월한 편집을 통해 드럼의 리듬감을 최고조로 구현해낸다. 서사적으로 볼 때도 선형적으로 직진하는 가운데 엎치락뒤치락해가며 두 남자의 대결을 그리는 영화의 내용 또한 드럼의 리듬감을 표현해내는 데 있어서 적절하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위플래쉬>가 다소 복합 장르적인 성격을 띤다면 이러한 장르들에 필요한 요소들이 드럼 연주의 극단적인 시각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즉, 형식을 가장 잘 구현하기 위한 이야기를 찾았다고나 할까. 결과적으로 데이미언 셔젤의 그러한 전략은 정확하게 먹혀들어 10분 간 이어지는 전율의 피날레와 함께 관객들이 음악적으로 교감할 수 있는 경이적인 순간을 만드는 데 성공하고야 만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1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1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975
114039 여러분이 생각하는 스티븐 킹의 최고작은? [12] MELM 2020.11.25 774
114038 절대 피했으면 하는 정신과 의사 유형(유명 의사와의 충격적인 만남) [13] 산호초2010 2020.11.25 1288
114037 전기밥솥에 대한 영양가 없는 잡담 [6] 해삼너구리 2020.11.25 764
114036 Jery Hewitt 1949-2020 R.I.P. 조성용 2020.11.25 230
114035 아직도 무리하게 영어유치원을 보내는 사람도 있더군요 [14] 산호초2010 2020.11.25 1330
114034 [영화바낭] 그렇게 유명한 줄 몰랐던 호러 영화, '심령의 공포(=The Entity)를 봤습니다 [2] 로이배티 2020.11.25 850
114033 산책, 존경심과 연기력 [1] 여은성 2020.11.25 406
114032 KS 준우승’ 김민재 코치, SK 수석코치로 부임…조인성 코치도 LG行 [5] daviddain 2020.11.24 301
114031 이런저런 잡담들(게임, 아이돌) [1] 메피스토 2020.11.24 356
114030 개가 짖어도 기차는 달릴 수 밖에 없다. [6] 귀장 2020.11.24 790
114029 [책] 리처드 매시슨 단편선 - 나에게만 보이는 괴물이 비행기 엔진을 뜯고 있다면? [8] eltee 2020.11.24 555
114028 혜민스(님), 자본주의 [13] Sonny 2020.11.24 1283
114027 Ks 6차전 [95] daviddain 2020.11.24 379
114026 바낭) 이유없는 우울감 [13] forritz 2020.11.24 732
114025 Robert Garland 1937-2020 R.I.P. 조성용 2020.11.24 242
114024 [영화바낭] 나가타 히데오가 근래에 내놓은 스릴러 두 편을 보았습니다. [2] 로이배티 2020.11.24 575
114023 [정치바낭] 세연이형! 그 손을 잡지 마오... + 서울에서 부산독립을 외치다 [13] 가라 2020.11.24 614
114022 복권 떨어질 때 마다 무슨 생각하시나요 [13] 가끔영화 2020.11.24 437
114021 거리두기 2단계는 빡빡하네요 [2] 여은성 2020.11.24 761
114020 흠...술 한 잔 했어요... [5] forritz 2020.11.23 68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