싶다

2020.11.15 05:38

어디로갈까 조회 수:1001

# 너무 심란한 꿈에 시달리다 깨어났습니다. 그럴 때 해보는 짓 중 하나가 좋은 것, 싫은 것, 무서운 것, 예쁜 것들을 죽 적어보는 거에요.
그러다보면 '싶은' 게 보이고 (하고)싶은 게 생겨나기도 하거든요. 가령 이렇게 듀게에다 무작정 주절거려보고 '싶은' 것. - - 

# 잠들기 전, 오랜만에 한 친구로부터 전화를 받았습니다.  느닷없는 하소연이었는데 듣기만으로도 너무 힘 빠지는 상황에 처해 있었어요. 달리 할 수 있는 말이 없어서 "우린 아직 젊디 젊은 나이잖아. 판단되는 대로, 마음가는 대로 일단 밀어부쳐봐야지~" 
그랬더니 그가 바람소리를 내며 웃었습니다 ."넌 나보다 높은 곳, 최소 해발 몇백미터에서 출발한 인생이라 나처럼 이렇게 수면 아래 침수된 채 시작한 사람의 절망을 모를거야... "
흠. 당연히 저는 절망의  흐름 속에 있는 그가 잡을 수 있는 지푸라기가 어떤 것인지 제꺼덕 알 수 있는 현자가  아닙니다 . 그럼에도 그렇게 말해볼 수밖에 없었어요. 막연한 젊음에의 예찬이 그 친구에게 가닿을 수 없었으리라는 건 이해가 됩니다. 알지만 기분은 울적하네요.

입학 후 첫 오리엔테이션에서 그는 " 내 안에 숨쉬는 괴물이 있는 놈"이라고 자기소개를 했습니다. 뭐 그 진술이 허풍이었다는 건 금세 들통이 났지만요. 지켜본 바로 그는 자제력이 뛰어난 UFO 형 인간입니다. 세상에 얻어맞으면서도 내색하지 않기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강건체이고요.  그런 이가 얼마나 힘들면 저에게까지 고통을 토로하고 싶은 충동이 일었을까요. 부디 그의 시간이 경계를 잘 넘어 순조롭게 흘러가기를...

# 다른 이들이 쓴 글을 읽노라면, 어떤 정서는 감상에 빠지게 하고 어떤 정서는 생각에 잠기게 합니다.  어떤 주장은 사회에 파급력을 행사하는 활동으로 보이고 어떤 견해는 머리속 생각의 정수가 주르륵 새어나온 밑빠진 문어항아리 같아 보이고요. 
어제 아버지와 바둑을 두던 중 그의 장고에 지쳐서 노트북을 힐끔거리다가 이런 말을 중얼거렸더니  번쩍! 질문하셨습니다.
"밑빠진 독이면 독이지, 문어항아리는 뭐냐?"

- (흠칫) 아부지~ 일본 정치학자 마루야마 마사오가 민주주의와 근대 사이의 함수관계를 일본에 도입하기 위해 한 말이잖아요. 그렇게 자신의 학문적 실천을 진행했다던가 뭐라던가... 
그러다 실패하자 무엇이 그런 도입을 방해하는지 궁금해서 '일본 문화의 고층'이라는 고고학적 인류학을 탐구했댔잖아요.  의미있고 흥미로운 연구였다고 봐요.  하지만 그의 연구에서 이것저것 다 들어내고 핵심만 보면 '세상에는 두 유형의 문화가 있다'는 거예요.
이른바 문어항아리형과 부챗살형 구별이었어요.  그가 부챗살형으로 예로 든 게 서구 근대문명이고, 일본은 철저히 문어항아리형이랬어요. 대륙과 반도에서 떠내려온 것은 버리지 않고 신성하게 아카이브 하는 문화라던가 뭐라던가.

제가 이렇게 조잘재잘떠들거리자 아버지가 반문하시길 "중국도 문어항아리 아닌가? 일본이 대륙과 반도의 도래문화에 대해 굽신거린 건 사실이지만, 그것 역시 오규 소라이와 이토 진사이의 국학 운동으로 주체화된 것 아닌가? 태평양의 수평선 너머에서 전혀 다른 외생변수가 발생하자 부챗살형으로 퍼져 나간 것 아닌가? "
아아, 저는 아버지와 절대적 혈연관계여서 그의 까마득한 과 선배로서의 내공과 위력을 간과해버리고 말았던 거시었던 거시었던 거시었습니다. 

그렇습니다. 마사오는 서유럽의 근대성을 전제로 삼아 일본 군국주의자들이 내세운 ‘근대의 초극’을 비판했지만, 서유럽의 근대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은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한국도 마찬가지인 것 같아요.  부챗살형일 경우도 있었고, 문어항아리형이었던 경우도 있었죠. 그런데 한국은 지정학적 복잡함을 감안하더라도  현실을 가상화하고 진실을 포스트모던화하는 짓을 남발하면서 모든 것이 헷갈리는 사회가 되어버린 것 같습니다.
조선 시절, 중국과 일본이 부분적이든 전면적이든 서구 열강과 교류를 진행할 때, 한국은 쇄국했습니다. 그리고 중화질서 그 바깥을 무시하고 눈감아버렸죠. 눈을 질끈 감고 현실을 가상화하는 그런 식의 문어항아리의 밑은 빠져 있을 수밖에 없는 거고요.

'밑'이라는 것, 저 바닥과의 접촉벽으로서 '밑'이 없다면 그 바닥과 하나가 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자신의 용기 속에 담겨 있던 생각의 정수가 줄줄 새버리기 마련입니다. '밑'의 변은 접촉벽으로서 항상 유지되어야 하는데, 고수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결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3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2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8015
113966 걱정된다면서 상처주고 주눅들게 하고 [9] forritz 2020.11.18 688
113965 더 크라운 다이애나 (스포) [7] ewf 2020.11.18 429
113964 요트자격증을 따고 바다로 나가고 싶어요. 평생의 로망! [21] 산호초2010 2020.11.18 1079
113963 조두순 관련 [3] 쑥뜸 2020.11.18 411
113962 맹크 [1] daviddain 2020.11.18 348
113961 혜민 사태를 보며 [9] 메피스토 2020.11.18 909
113960 한국 드라마의 러닝타임이 너무 길어요 [13] tomof 2020.11.18 687
113959 마고 로비 영화 드림랜드를 보았습니다 [2] 가끔영화 2020.11.18 809
113958 [게임바낭] 이제는 현세대가 되어 버린 차세대 런칭 풍경 잡담 [5] 로이배티 2020.11.18 461
113957 노래에 취해 가을에 취해 춤추다 꽈당!!!!!(다들 꼬리뼈 조심!) [7] 산호초2010 2020.11.18 676
113956 [웨이브바낭] 탑골 추억의 영화 '폭력교실1999'를 봤습니다 [8] 로이배티 2020.11.18 839
113955 사유리의 비혼출산을 보고 [8] Sonny 2020.11.18 1401
113954 증언자로서의 동물들 [11] 귤토피아 2020.11.17 564
113953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2] 조성용 2020.11.17 658
113952 에스파 MV, 셀럽과 인플루언서의 경계가 흐려지다 예상수 2020.11.17 492
113951 아직 만난 적 없는 너를, 찾고 있어 [1] 예상수 2020.11.17 389
113950 한국시리즈 1차전 [30] daviddain 2020.11.17 457
113949 에일리어니스트 2시즌 [4] daviddain 2020.11.17 474
113948 법조출입 기레기 94% '추미애 수사지휘권'에 부정적 [5] 왜냐하면 2020.11.17 552
113947 지금 나에게 따뜻한 손길로 쓰다듬어 준다면 [20] 산호초2010 2020.11.17 88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