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지가 심심하니까 별걸 다 시키는구나?????!!!!!!


제가 미술치료 워크샵을 2달 듣고 수료증까지 받았었는데 다 기억나는건 아니고

제일 처음에 워크샵에서 시도한게 이 기법이었어요.


당연히 전 미술치료사가 아니구요, 미술치료에 흥미를 가지고 있는 사람 중 하나죠.

미술치료사 흉내까지??????!!!!!!


정말 A4용지 백지 한장씩을 열 댓 사람에게 준거에요.


전 첨에 정말 당황했어요. 이걸 손만 사용해서 미술적으로 자기만의

표현을 해보라고?????????? 망연자실.


한참을 보다가 저는 A4용지를 지그재그로 잘라서 구불구불하게

가로로  여러 조각으로 만들었던 걸로 기억해요.


결과는? 열 댓명의 사람이 종이 한장을 손만으로 변형시켜서 한 사람도 똑같지 않고

다 다르게 표현을 했더라구요.


먼저, 자신이 종이를 찢었다면 왜 이렇게 종이를 변형시켰는지

그것으로 표현하고 싶은게 무엇이었는지, 만들어진 종이조각을 보고

느끼는게 무엇인지 자신의 느낌을 모두에게 말해요.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feedback을 하는거죠.

"난 A씨의 종이조각을 보고 이런 느낌, 감정이 들었어요.

 전 ~~~~처럼 보이는데요."


그냥 종이조각보다 훨씬 더 창의적인 표현들이 넘쳐나더군요.


들어봐도 도대체 그게 뭐하는거냐????? 집단으로 모여서??????


전 너무 흥미로운 시간이었거든요.


여러분도 한번 해보시고 본인이 그 결과를 보고 느껴지는 감정, 나의 의도

이런걸 말씀해주시면 좋겠어요. 눈에 안보이니까 생생하게 느껴지진 않겠지만요.


-저는 그냥 기법 하나를 썼어요. 원래 전문가의 지도하에 하는건대 하나만 써봤어요.

 "그거는 이런이런겁니다"라고 풀이해주고 그런거 없어요. 정답도 없고.

  주관적인 느낌과 표현과 공감이 있는거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2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6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40
114178 [영화바낭] 홍콩 느와르의 정신적 조상, '암흑가의 세 사람'을 보았습니다 [19] 로이배티 2020.12.08 717
114177 지옥의 묵시록 [5] daviddain 2020.12.07 510
114176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끝은 창대하리라 [6] 예상수 2020.12.07 647
114175 [스타트업]이라는 드라마 촌평 [3] ssoboo 2020.12.07 1014
114174 인스타그램을 지웠습니다. [3] 하워드휴즈 2020.12.07 734
114173 성상품화와 광고로 정신없는 유튜브 [3] 귀장 2020.12.07 704
114172 [넷플릭스] 노트북, 그리고 라이언 고슬링... [10] S.S.S. 2020.12.07 713
114171 그렇게 살다가 이렇게 될 줄 알았다 [5] 예상수 2020.12.07 807
114170 [영화바낭] 감독 인생 말아먹었다는 전설의 영화, 저주의 카메라!(피핑 톰)를 봤습니다 [13] 로이배티 2020.12.07 889
114169 사기당한 너무 착한 지인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10] 산호초2010 2020.12.07 914
114168 고양이 또또 [21] 칼리토 2020.12.07 653
114167 우리는 하루 앞도 내다볼 수가 없죠. 2021년 [4] 산호초2010 2020.12.07 515
114166 결전을 앞두고 [16] 어디로갈까 2020.12.07 964
114165 마지막 시장한담..과열인가 버블인가? 시그널과 노이즈. [9] 무도 2020.12.07 637
114164 길고양이X : 동네 고양이O 구워리 [14] ssoboo 2020.12.06 493
114163 아직 애플뮤직에서만 들을 수 있는 팝 2곡, 혼돈의 그래미 예상수 2020.12.06 336
114162 이제야 이유를 알았어요.(내용은 지움) [5] 구름진 하늘 2020.12.06 816
114161 영화를 보러 갔는데 [7] daviddain 2020.12.06 518
114160 제가 겪고 있는 병의 자살률은 일반인의 8배 [12] forritz 2020.12.06 1263
114159 코로나 시대의 만남과 소통의 방식은 역시 온라인? [6] 산호초2010 2020.12.06 43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