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시 Twenty One Pilots 얘기를 꺼냅니다.

그냥 좋다는 말 말고 감상이 있어서 말하고 싶었어요.

곡이 마음에 들고 좋은데, 가사를 보니 확 마음에 와닿아서요.


가사: https://bit.ly/4cFfSRX


저의 지극히 주관적 감상이니 제 이해와 감상이 잘못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

 

곡은 중반 이후까지 신나게 몰아치다가 마지막에 가서야 조용하고 잔잔한 분위기로 바뀝니다.

이것은 불안과 우울의 기분에서 어떤 깨달음으로 전환하였기 때문입니다.

확실하진 않지만 이 곡은 화자 자신의 경험과 깨달음에 관한 곡으로 보입니다.

 

I don’t want to be here. (가사 중 일부)

 

이러한 경험이 있었던 분들도 있을 겁니다. 가고 싶지 않은 자리, 모임, 학교에서의 괴롭힘, 직장에서의 괴롭힘 등 우울과 좋지 않은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그 모든 상황들 말이예요.

이 곡은 정신 건강의 여정에 관한 본인(화자)의 소회일 수 있을 겁니다.

화자는 충동을 느꼈고 도로에 뛰어드는 극단적 선택을 합니다. 하늘로 가고 싶은 기분을 표현합니다. (영상속에서도 도로로 뛰어든 화자의 모습이 나와요.)

I prayed those lights would take me home. (가사 중 일부)

 

그런데 운전자는 도로에 뛰어든 화자를 보고 화자에게 Hey, Kid, Get out of the road!라고 외칩니다.

운전자는 속도를 줄이고 창문을 열고 말합니다.

Can't change what you've done

Start fresh next semester

(가사가 여기에서 끝납니다.)

아마도 화자는 종국에는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닫고 삶을 지속하며 다음 학기를 이어나갈 것 같아요.

 

저는 화자가 정신적인 문제와 자살에 대해서 말할 때

나는 이것을 다 극복했고 내 삶은 거룩해. 너도 할 수 있어.’와 같은 접근 방식을 취하지 않는다는 점이 마음에 듭니다.

뻔한 말들, 공허한 외침처럼 들리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화자와 마주앉아 자신의 경험을 털어놓고 공유하며 공감하고 위로하는 즉,

화자와 청자 간의 대화 같은 느낌입니다.

엄청난 위안과 위로를 받을 수 있었어요. (눈물 또르륵) (이런 점은 Pearl Jam을 연상시키기도 합니다.)

 

때로는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어두운 색조로 칠하고 싶지 않을 때가 있는데

왜냐하면 인생이 꼭 어두운 부분만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 동정을 불러일으키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를 해나가는 것은

어떻게 이겨내고 극복했는지에 대한 성찰이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 곡을 들으면서 슬펐지만 한편으로는 점점 더 좋기도 하였습니다.

중간에 극단적 선택에 관한 부분이 충격으로 다가오면서도 결국엔 다음 학기를 새롭게 시작하라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기 때문에요.

 

스스로 결론을 내려본다면, 힘냅시다. 다 잘 될 거예요. 살아남자고요.


영상 댓글에 이런 게 있더군요.


"can't change what you've done. Start fresh next semester" is the new "the sun will rise and we will try again"




이 곡을 접한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보고 싶으시다면 영상의 댓글을 보셔도 좋고

https://www.reddit.com/r/twentyonepilots/comments/1bp353q/next_semester_deep_meaning/

이곳을 보셔도 좋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17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6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37
125957 총선 결과 이모저모 [22] Sonny 2024.04.11 1429
125956 오타니 미 연방 검찰 조사에서 무혐의 [9] daviddain 2024.04.11 417
125955 10년 전 야구 광고 [2] daviddain 2024.04.11 138
125954 22대 총선 최종 의석수(업데이트, 21대와 비교) [1] 왜냐하면 2024.04.11 518
125953 [핵바낭] 출구 조사가 많이 빗나갔네요. 별로 안 기쁜 방향으로. [14] 로이배티 2024.04.11 1181
125952 프레임드 #761 [2] Lunagazer 2024.04.10 81
125951 [핵바낭] 아무도 글로 안 적어 주셔서 제가 올려 보는 출구 조사 결과 [22] 로이배티 2024.04.10 1087
125950 [왓챠바낭] 일본 애니메이션 감독의 영화 만들기 이야기, '영화 너무 좋아 폼포 씨' 잠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4.04.10 197
125949 간지라는 말 [7] 돌도끼 2024.04.10 373
125948 우리말에 완전히 정착한 일본식 영어? [5] 돌도끼 2024.04.10 401
125947 메이헴 (2017) catgotmy 2024.04.10 119
125946 아일릿, 정병기, 김사월 [1] 부치빅 2024.04.10 255
125945 '브레이크 댄스' 돌도끼 2024.04.10 101
125944 위화감 1도 없는 시구자들 daviddain 2024.04.10 193
125943 민주진영은 200석을 넘을수 있을까 분홍돼지 2024.04.10 298
125942 조커: 폴리 아 되 예고편 [1] 상수 2024.04.10 167
125941 [넷플릭스] '리플리', 인상적인 장면 몇 개 (스포일러 포함되었을지도) S.S.S. 2024.04.10 274
125940 [넷플릭스바낭] 고지라 말고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를 봤어요 [15] 로이배티 2024.04.09 267
125939 넷플릭스 찜한 리스트에 대해 catgotmy 2024.04.09 153
125938 스즈키 세이준의 3부작 보고 왔습니다. [6] Sonny 2024.04.09 31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