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를 끝내며 반 년만에 회사 동료들과 만나 점심을 먹었습니다.
식사 도중에 밝은 얼굴로 dpf가 중얼거리더군요. "이미 어딘가엔 코스모스가 많이 피어 있겠지? 순식간에 단풍이 밀려올거야."
순간 저는 그가 '묘사'하고 싶어하는 그 무엇을 느꼈습니다. 적어도 하루보다는 커다란 것, 사소함을 소작하는 일상 속의 긴박한 몰입보다는 커다란 어떤 것을요. 왜냐하면 코스모스가 피고 단풍이 드는 것은 일상의 정면 풍경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풍경을 볼 수 있기 위해서는 다른 공간이 존재하든지, 생겨나야만 하죠.
아직 없거나 비낀 각도의 풍경을 환하게 발음해볼 때, 그때 인간은 스스로를 연민하게 되는 걸까요? 만약 제가 '넌 너 자신을 연민하고 있니?'라고 물었다면 dpf는 단호하게 고개를 저었을 것입니다. '아니, 그런 지경은 이미 오래 전에 넘어섰지.'

묘사는 바라본 것을 바라보는 일입니다.  새로운 시선을 감지하는 일은 그런 순간에 시작되는 것이죠. 삶을 바라보는 동안이 아니라 누군가의 시선에 의해 묘사되는 그 순간에.  ('묘사'라고 해서 작가나 화가에게만 해당되는 사항은 아닙니다.)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저는 그런 순간에 상대의 외로움을 감지합니다.  외로움이란 시선의 차단이 아니라, 바라봄의 바라봄이기 때문입니다. "이미 어딘가엔 코스모스가 많이 피어 있겠지? 순식간에 단풍이 밀려올거야."

우리는 삶이라고 불리는 일상 속에 있습니다. 바로 그 일상의 함몰에 대한 대항에서 '넓이'의 긴요함이 생겨나는 것 같아요.  즉 일상의 소소한 날카로움과 슬픔이 나에게서 너에게로 뻗쳐 누구든 해하게 될까 염려하기 때문에 '넓이' 를 묘사하게 되는 거라는 것.  무엇을 묘사한다는 건  이런 사정, 이런 임무를 가지고 있는 거라는 것. 
그러므로 묘사는 누구에게나 필요한 것입니다. covid 19와 제가 당한 교통사고로 서로 격리되어 있는 동안 어쩌면 dpf는 '묘사'에 집중하는 외로운 시간을 살았을 것 같다는 짐작을 합니다. 자신을 포함하여 아무도 베지 않기 위해서요.

# 옛일기를 들춰보면 '오늘은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는 식의 문장만 쓰여 있는 페이지가 더러 있습니다. 과연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하루라는 게 가능할까요? 제가 그런 식으로 쓴 것은 과정을 분절시키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저는 하루 동안에 일어난 '어떤 일'들을 긴 언덕을 걸어 올라왔다거나 걸어 내려갔다 라고 쓰고 말았던 것이죠.  왜 저는 그 중간에 일어난 과정을 묘사하지 않았을까요.

'긴 언덕'을 백 미터 정도의 길이라고 가정할 때, 사춘기 시절부터 지금까지 저는 그 언덕길에서의 오르내림을 하나의 단위로 써왔습니다.  저에게 언덕길은 더 이상 쪼개질 수 없는 하나의 단위였으니까요. 왜냐하면 언덕길은 제가 그 길에 들어서 오르내리는 동안에도 변함없이 그냥 하나의 언덕길 그 자체이기를 멈추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제게 '언덕길'은 더 이상 세분되고 분절될 수는 없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언덕길'을 분해하면, 실은 그것 역시 많은 이질적인 것들이 만나서 이루어진 복합적인 체험의 시공간이라는 점이 드러납니다. 그럼에도 지금껏 저는 언덕길을 더 '분절'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던 것이죠.
길의 왼쪽은 건물들의 벽이 지나치게 가깝게 있었고, 오른쪽은 제가 선 위치에 따라 민감하게 변할 이유가 없는 먼 풍경들로 열려 있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언덕길은 복도처럼 출구와 입구가 명확해서, 제가 다른 길로 들어설 가능성도 전혀 없었기 때문입니다.
 
오늘 하루도 이런 언덕길 같은 구조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저를 상당히 정태적인 상태로 빠져들게 합니다.  묘사하지 않은 하루엔 다른 행위나 의미의 가능성이 주어지지 않는 수동적인 상태에서의 편안함이 있었을 테죠. 하루를 '하나의 길'로 물질화해 은유함으로써 최면을 경험하기도 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 저는 '언덕길'의 코스모스와 단풍을 묘사하며 살고 싶습니다. (듀게에 괴발개발 글을 쓰는 이유 중 하나가 이걸 위해서이기도 해요. - -)
묘사하지 않으면 코스모스와 단풍이라는 존재가 지워지며 세상이 좁아질 것입니다.  
파스테르나크가 말했던가요? 자신 속에 공간의 외로운 존재들을 하나씩 새기는 일이 미래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3264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5164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62001
113711 가습기 세정제 - 사망자 239명, 피해자 1528명 [10] 유상유념 2016.04.29 4073
113710 빌 게이츠가 사람 차별하네요 [3] 닥터슬럼프 2013.04.23 4073
113709 결혼 얘기보다보면 듀게도 세월을 타는 것 같아요 [25] 닌스트롬 2013.06.11 4073
113708 충성도 높은 작가분들은 누가 있으세요? [52] 오맹달 2012.10.02 4073
113707 '천일의 약속' 출연자들에 대한 바낭성 잡담.. [11] S.S.S. 2011.10.24 4073
113706 [바낭] 말레이시아 인스턴트 라면 Maggi를 먹어 보았습니다 [7] 로이배티 2013.04.26 4073
113705 이상할정도로 요즘 YG가 안땡겨요 [13] 메피스토 2010.09.12 4073
113704 제가 다 민망하네요... [10] beluga 2010.09.07 4073
113703 <유령작가>의 이완 맥그리거 인터뷰 [1] crumley 2010.06.06 4073
113702 이 영화 제목도 참 너무 안이하게 지은 것 같아요. [23] amenic 2012.11.08 4072
113701 슈퍼스타K 4 Top12(라 치고) 느낌들 [18] Mott 2012.10.07 4072
113700 군필자들에게 고마워할순 없나요? [36] 샤또프 2012.09.14 4072
113699 배현진 아나운서 뉴스데스크에 나오나봐요 [10] 감동 2012.05.11 4072
113698 오싹한 연애의 흥행이 심상치가 않네요. [12] 감자쥬스 2011.12.14 4072
113697 JTBC '뉴스9' 폐지, '뉴스룸'으로 개편..손석희 빼고 다 바뀐다 [6] 달빛처럼 2014.09.11 4071
113696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44] Koudelka 2014.04.04 4071
113695 [냥병환일지] 구리가 아파서 넋나갔었던 며칠간의 이야긔. [21] Paul. 2013.09.05 4071
113694 [바낭] 화장은 몇살 때 시작하셨나요? [31] 침엽수 2013.09.17 4071
113693 문화산업은 같은 문화권을 겨냥해서 만들어야 한다고 봅니다 [37] 머루다래 2012.08.08 4071
113692 북한 고려항공 기내식 [6] 무비스타 2011.09.22 407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