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보다도 더욱 더 격하게 잡담이라 평소 형식 무시하고 대충 적습니다.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두 주인공에 이어 설경구, 박철민, 추상미, 박광정 등 은근 화려한(?) 캐스팅을 자랑합니다.)



그러니까 다짜고짜 본론으로, 보다 만 이유를 말하자면 별로 재미도 없었지만 이게 영 보기가 버겁네요.

옛날에도 보긴 본 걸로 기억하는데 뭐 이게... 다시 보니 깜짝깜짝 놀라게 돼요.

그러니까 영화 개봉 당시 시점 한국 나이로 17세였던 이정현이 나오잖아요. 찾아보니 촬영 시점에는 16세였다고 하는 것 같습니다만.

등장과 거의 동시에 문성근에게 성폭행 당하는 게 나오고, 조금 있다가 또 나오고.

전라 상태로 자해하는 게 막 나오고.

극중에서 문성근 캐릭터가 얘한테 돌팔매질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아무리 봐도 정말로 막 던지는 것 같고 심지어 그걸 맞는데 진짜로 맞지 않았나 싶고.

그 외에도 디폴트 상태가 매우 안 좋죠. 


그래서 일단 영화 외적으로 맘이 불편해져서 영화 내용에 몰입이 안 됩니다. ㅠㅜ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아무리 봐도 진짜 던진 것 같고, 또 진짜 맞은 것 같고...;)



근데 정말 소올직히 말하면 저는 이런 부분이 있더라도 영화가 아주 잘 만들어졌다면 보다가 깜빡하고 집중을 할 수도 있는 사람입니다만.

그 역시 잘 안 됩니다;

영화의 컨셉 자체가 그렇게 쭉 추레하고 빈곤하고 처참해야 한다는 건 알겠는데.

그냥 못 만든 것처럼 느껴지는 장면들이 많아요. 

뭔가 20세기 한국 지식인 영화... 라고나 할까요. 아 이런 비유구나 이런 상징이구나. 이해는 가지만 너무 투박하다 싶은 부분들도 많구요.

뭐 1996년 개봉작이라는 거, 그리고 제작 환경이 넉넉하지 못했다는 것도 감안은 해야겠지만 그냥 만듦새가 부족하단 생각이 계속 듭니다.


이렇게 두 가지가 결합이 되니 자꾸 보다 끊고, 보다 끊고를 반복하다가 '아니 내가 뭘 굳이 이걸 끝까지 봐야 하나' 싶어서 중단했습니다.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좋은 취지는 알겠지만 그게 엄...)



이 영화의 역사적, 사회적 의미는 잘 알죠. 분명 큰 역할을 한 영화라는 건 잘 알겠는데,

그래도 정말 못 보겠어요. ㅋㅋㅋ 차라리 이정현이 나온 요즘 영화를 보는 게 낫겠다 싶더라구요.

따지고 보면 제가 애초에 장선우 후기(?) 영화들 중에 좋게 본 게 없다시피 하니 그냥 저랑 안 맞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

그래도 옛날에 우묵배미의 사랑 같은 건 재밌게 봤던 기억이 있는데 한 번 다시 보면서 확인해볼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어쨌든 이정현은 참으로 강렬하고, 또 잘 합니다만. 배우 역량과 상관 없이 그 시절이었으니까 가능했던 별로 안 좋은 강렬함이었네요.)



그럴 시간에 차라리 취향에 맞는 영화 한 편 더 찾아보는 게 건설적이겠죠. ㅋㅋ

암튼 뭐 그러합니다.

그래도 이정현씨는 나중에 특별히 이 시기에 대해 나쁘게 언급하지는 않고 사는 것 같고, 또 이후로 대스타도 되고 잘 살아 남아서 지금도 잘 계시니 된 걸로.




 + 마침 또 이런 뉴스가 떴네요.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30104MW112044206007


“15세 베드신 성학대” 올리비아 핫세, 영화사에 6천억원 소송


소장에 따르면 영화를 연출한 프랑코 제피렐리 감독(2019년 사망)은 베드신 촬영을 앞두고 배우들에게 피부색깔의 속옷을 입고 촬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핫세는 15세, 위팅은 16세였다.


하지만 실제 촬영 당일 아침 이야기가 달라졌다. 제피렐리 감독은 핫세와 위팅에게 속옷 없이 몸에 간단한 화장만 한 채로 촬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피렐리 감독은 맨몸이 드러나지 않게 카메라 위치를 조정하겠다는 단서를 달았지만, 영화에는 배우들의 엉덩이와 가슴이 그대로 노출됐다.


이들은 소장에서 “감독은 반드시 나체로 촬영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영화가 실패하고 배우들의 커리어도 망가질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배우들로서는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고보면 어쨌거나 세상은 조금씩이라도 나아지고 있는 것 같기도 하구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2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66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40
122118 혼자만 나름 생각하며 살기 [4] 가끔영화 2023.01.16 262
122117 팬들마저 등 돌렸다…무려 '80%'가 SON 제외 찬성 [40] daviddain 2023.01.16 1173
122116 "대행사"는 혹시 보시는 분 있나요? [7] 산호초2010 2023.01.16 595
122115 프레임드 #311 [2] Lunagazer 2023.01.16 131
122114 2023 Critics’ Choice Award Winners [1] 조성용 2023.01.16 187
122113 [넷플릭스바낭] 장르와 주제를 완전히 착각하고 본 '스웻' 잡담입니다 [6] 로이배티 2023.01.16 353
122112 '슈룹' 다 봤습니다 (내용 누설 줄줄) [8] 2023.01.15 509
122111 책을 보다가 맞닥뜨린 영화/strait jacket daviddain 2023.01.15 275
122110 프레임드 #310 [2] Lunagazer 2023.01.15 113
122109 돈을 안 쓰고 살기? [26] thoma 2023.01.15 957
122108 [왓챠바낭] 사방에 마구 강력 추천할 뻔한 드라마, '웨인' 잡담입니다 [6] 로이배티 2023.01.15 544
122107 코미디의 왕을 보고(스포있음) [2] 예상수 2023.01.14 286
122106 2023 아카데미 주요 부문 수상 예측 - 버라이어티지 [6] theforce 2023.01.14 614
122105 프레임드 #309 [2] Lunagazer 2023.01.14 118
122104 Happy Vally, James Norton, A little life [10] Kaffesaurus 2023.01.14 344
122103 충격의 복도 [6] daviddain 2023.01.14 563
122102 수도권 주요 권역별 평균 지출 식비 [4] 왜냐하면 2023.01.14 561
122101 헤어질결심을 보고 난후에 사랑 영화가 더 보고 싶네요. [9] 말러 2023.01.14 563
122100 [넷플릭스바낭] 소소한 완성도로 소소하게 재밌는 장르물 '인투 더 미러'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3.01.14 438
122099 태양+지민->Vibe 뮤비 라인하르트012 2023.01.14 23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