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작이구요. 런닝타임은 1시간 14분 밖에 안 되구요. 스포일러는 생략합니다.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번역 포기하고 음차를 하려면 똑바로 하든가 '돈 브레잌스'는 어디다 팔아 먹었나요. 이런 건 참 별로에요.)



 - 한밤중에 젊은 부부가 차를 달려 낡은 성으로 들어갑니다. 여자의 부모에게 상속 받은 곳이라는데, 방치된지 한참이어서 먼지 구덩이 상태입니다만. 암튼 근처 호텔에 체크인 한 후에 상태를 보러 왔나봐요. 남자는 계속 투덜투덜거리며 그렇게 부자 부모가 재산 다 다른 형제들 주고 우리한텐 고작 이런 낡은 성이냐느니. 리모델링 비용만 해도 엄청 들어가겠다느니 하며 아내를 짜증나게 하구요. 반면에 아내는 자기가 어릴 때 자란 곳이라며 이곳저곳 둘러보며 감상에 젖고 있네요.

 그러다 지하의 와인 저장고를 보겠다며 혼자 내려간 남편은 그 곳에서 정체 불명의 상자와, 그 뒤에 도사리고 있던 괴이한 존재를 발견하고 혼비백산하여 도망쳐 올라가고. 그러는 동안 아내는 성 안을 떠돌고 있는 정체 불명의 존재들을 마주치며 그들에게 매혹 당하는데...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고성 + 호러라면 당연히 조명은 촛불이 제맛이죠. 그냥 딱 봐도 다른 조명이 존재한다는 게 보여서 좀 문제이긴 합니다만. ㅋㅋ)



 - 사실 위와 같은 스토리 설명이 별로 의미가 없는 영화입니다. 정말 저런 이야기로 시작하는 건 맞는데 별로 의미가 없어요.

 위와 같이 뭔가 의미심장한데 뭔지는 알 수 없는 상황들이 죽 이어지다가 갑자기 1차 클라이막스인가! 하는 순간에 반전이 펼쳐지며 전혀 다른 이야기로 넘어가구요. 그렇게 넘어간 후에도 뭔지 쉽게 와닿지 않는 상황들이 미스테리하게 펼쳐지다가 문득 끝나 버리는 그런 영화에요. 그러니까 요즘 유행하는 표현으론 '하이 컨셉 호러'의 일종인가... 싶기도 한데 그거랑은 또 좀 다른 느낌인 게 왜냐면...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분위기. 어쨌든 분위기. 무조건 분위기로 승부하자는 강력한 의지가 엿보입니다.)



 - 그러니까 전반부에서 중요한 건 이야기가 아니라 이미지와 사운드입니다. 이걸 아방가르드라고 해야할지 복고라고 해야할지 헷갈리는데, 일부러 의도해서 연출해 낸 옛날 영화들의 질감과 분위기를 즐기는 게 핵심입니다. 그리고 그게 아주 멋져요. 뭔 소린진 모르겠지만 일단 그냥 멋집니다. ㅋㅋㅋ 미장센에 화면과 소리의 질감, 빛과 그림자까지 되게 세세하게 신경써서 요즘 영화들에선 보기 힘든 분위기를 되게 잘 잡아냈구요. 그리고 어쨌든 흐릿하게라도 따라갈만한 스토리란 게 있어서 지루하지도 않구요. 개연성 같은 건 전혀 신경 안 쓰고 흘러가지만 워낙 강력한 '분위기' 컨셉 때문에 볼만 합니다.


 그리고 후반부로 넘어가면 이제 숨겨 놓은 의미 찾기 놀이가 됩니다. 스포일러를 피하자니 설명이 많이 어려운데. 암튼 모호하고 중의적인, '니들이 함 해석해 보렴' 이런 류의 상황과 장면들이 영화 끝날 때까지 쭉 이어지는 식인데요. 역시나 분위기와 이미지라는 핵심 컨셉은 그대로 잘 이어갑니다.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그렇다고 호러가 없는 건 아닌데, 안 무서워요. 그 역시 그냥 분위기로 즐기는. ㅋㅋㅋ)



 - 개인적으로는 후반부보단 전반부가 더 재밌었어요. 정말 그럴싸하게 이어지는 그 분위기 잡기가 기대 이상으로 고퀄이어서 그냥 눈과 귀가 즐겁달까. 그랬구요.

 이제 의미 찾기 놀이로 전개되는 후반부는 상대적으로 좀 평이한 느낌이라 좀 아쉬웠는데. 그래도 나쁘지는 않았구요.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까꿍!!!)



 - 뭐 더 설명하기가 어려운 영화입니다. 이름을 갖다 붙여 보자면 '고딕 호러'의 규칙을 잘 따르는 이야기인데 그걸 스타일과 스토리 양면으로 아트하우스 스타일로 만들어봤달까요.

 이렇게 참 고색창연한 스타일의 아트하우스 호러를 만드는 사람들이 독일에도 있구나... 라는 생각을 하며 즐겁게 잘 봤습니다만.

 재미난 장르물을 원하시는 분들에겐 권하기 어렵구요. 뭔가 좀 쌩뚱맞고 허세도 부리는 느낌이지만 그래도 '씨네마'를 만들어 보겠노라고 애쓰는 청춘님들의 영화를 즐기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 그냥 괴식 한 번 도전해 본다는 마음으로 시도해볼만 합니다. ㅋㅋ 보고 나서 숨겨진 의미랑 맥락 찾아서 연결하는 유희를 즐기시는 분들이라면 더 재밌게 보실 수도 있겠구요.

 전 그럴 능력이 안 되기 때문에 그냥 분위기만 즐겼지만 그래도 이 정도면 괜찮은 시간이었습니다. 잘 봤어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3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2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8013
123986 부부의 일상 [38] 세호 2011.03.01 6342
123985 오늘 손담비 컴백무대 - 역시 예쁘군요.. (자동재생?) [20] fan 2010.07.09 6342
123984 이하이양 데뷔음반을 들으며 [20] 시민1 2013.03.09 6340
123983 이 과자의 이름은? [50] Johndoe 2012.06.18 6340
123982 맷 데이먼 보고 왔습니다. [28] Hopper 2013.08.13 6339
123981 연예인이 갑자기 하던거 다 내팽겨쳐 두고 외국으로 날른 경우 [27] 감자쥬스 2011.08.15 6339
123980 일본 극장판 애니 (스압주의) [8] catgotmy 2011.08.15 6339
123979 악보를 읽지 못하는 유명 가수? [42] amenic 2011.04.05 6339
123978 주변에 게으른데 성공한 사람 본 적 있나요? [26] 88 2010.08.17 6339
123977 스타일과 지적허세를 자극하는 영화가 나왔군요. [15] 무비스타 2012.03.11 6336
123976 나 스무살적에 하루를 견디고 불안한 잠자리에 누울때면 내일 뭐하지 걱정을 했지 [10] 자본주의의돼지 2011.07.05 6335
123975 춘천기행 (상) - 춘천 가는 기차는 날 데리고 가네 [6] 01410 2010.12.21 6334
123974 한겨레21에 나온 젊은 문학평론가가 뽑은 2000년대 최고의 한국문학 [29] Ostermeier 2010.09.06 6334
123973 야권승리에 주식시장 폭등의 의미 [5] soboo 2010.06.03 6334
123972 택기기사님들이 오세훈을 싫어하나요? [8] 교집합 2010.06.06 6332
123971 오늘 새론양 [6] DJUNA 2012.08.14 6330
123970 노스페이스의 매력은 무엇일까요(사진수정 끝) [25] being 2011.02.27 6330
123969 사무실 19금 사람들...(심심해서 바낭글 올립니다) [16] 마추피추돌돌 2011.05.09 6329
123968 조셉 고든 래빗과 닮은 배우 [19] morcheeba 2010.07.23 6329
123967 김전일 님. [33] cloud9 2014.02.12 632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