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대 속의 영원' 중에서

2023.09.02 18:35

thoma 조회 수:285

독서가 옛날에는 소리내어 읽기였지요. 이 책에서도 그것을 언급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독서는 공개적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았고 도서관의 통로는 책 읽는 소리로 울리고 있었다고요. 

이 책의 저자 이레네 바예호는 지금과 같은 독서의 모습이 인간의 여러 다른 행위들처럼 발전으로 이룩된 행동 양식이라고 쓰고 있습니다. 이 부분이 흥미로워서 옮겨 보려고 합니다.


 '아주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면, 고대의 독자들은 텍스트의 환영이나 사상을 마음대로 읽거나, 원할 때면 아무 때고 사색을 위해 멈추거나, 취사 선별하거나, 자기의 세계를 창조하는 자유를 지금만큼 누리지 못했다. 우리가 누리고 있는 이 개인적 자유, 즉 독립적 사유에 대한 정복은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성취된 것이다.


  아마도 그렇기에 우리처럼 읽게 된 초기 사람들, 다시 말해 침묵 속에서 작가와 말 없는 대화를 하게 된 사람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을 것이다. 4세기에 아우구스티누스는 암브로시우스 주교가 이런 방식으로 글을 읽는 걸 보고 호기심을 느꼈으며 이 사실을 [고백록]에 기록했다. 누군가 자기 앞에서 그런 행동을 하는 걸 처음 봤다고 한다. 그는 주교가 보통 사람이 아니라고 느꼈다.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책을 읽는 그의 눈이 페이지를 훑어가며 글을 이해해갔다. 하지만 입은 꾹 다물고 있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주교가 물리적으로 가까이 있으면서도 실은 자기 옆에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에게 주교는 다른 세계로 달아나 있으며 움직이지도 않은 채 찾을 수 없는 곳을 여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 장면은 당황스러웠으며 동시에 그를 매료시켰다.


  따라서 당신은 아주 특별한 독자로서 혁신자들의 혈통을 물려받은 것이다. 침묵 속에서 이루어지는, 당신과 나의 자유롭고 비밀스러운 대화는 엄청난 발명품이다.'


옛날엔 책이 귀했고 공공재여서 여럿이 함께 읽어야 하는 경우가 많은 탓에 소리내어 읽기가 당연한 것도 있었고 마침표 없이 문장 구분 없이 쭉 이어진 두루마리 형태의 책에 씌어진 문자들을 이해하려면 소리내어 발음을 하는 것이 꼭 필요했다고 합니다. 문자의 이해를 위해 발로 바닥을 두둘기며 리듬을 맞추기까지 했다네요. 책의 보급, 제본, 인쇄의 발전 등 그러저러한 과정을 거쳐 점차 눈으로만 읽는 독서 형태로 자리잡은 것이겠습니다. 

입 다물고 눈으로만 읽기,가 위에 옮긴 부분에서 보시다시피 4세기의 아우구스티누스에게 놀라움을 주었다고 하는데 사실 가만 생각해 보면 그때나 지금이나 예사롭지 않은 행위로다,의 느낌을 주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눈 앞에 앉아 책에 몰두한 지인을 보면 야, 너 지금 어디 가 있어,라고 불러오고 싶을 때 없으셨나요. 독서하다가 고개를 들고 바라보면서 아닌 척하지만 나 모르게 시공간을 왔다갔다했음에 틀림없어요. 무섭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33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87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019
124227 (스포)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 보고 왔습니다 [2] Sonny 2023.09.11 314
124226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티저(예고편은 아닌) 상수 2023.09.11 164
124225 독일,한지 플릭 경질 [3] daviddain 2023.09.11 252
124224 [핵바낭] 또 그냥 일상 잡담입니다 [15] 로이배티 2023.09.11 553
124223 미야자키 하야오 은퇴 철회 [13] 상수 2023.09.10 743
124222 프레임드 #548 [2] Lunagazer 2023.09.10 115
124221 자야하니 인어공주 20분 봤는데 아주 재밌네요 [3] 가끔영화 2023.09.10 382
124220 아 참 용각산 먹고 안남 가끔영화 2023.09.09 232
124219 '건널목의 유령' 잡담 [2] thoma 2023.09.09 307
124218 해리 케인,"토트넘에서는 경기 져도 괜찮아" [6] daviddain 2023.09.09 370
124217 불가능한 일곱번째 임무 본 잡담... 돌도끼 2023.09.09 177
124216 프레임드 #547 [4] Lunagazer 2023.09.09 99
124215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책 catgotmy 2023.09.09 166
124214 [왓챠바낭] 몽골 호러 2차 도전 - '더 콜' 짧은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3.09.08 295
124213 한국이 싫어서(2023) 부산국제영화제 버전 예고편 상수 2023.09.08 287
124212 예전엔 학생들이 많이 죽고. 지금은 교사들이. 말러 2023.09.08 328
124211 프레임드 #546 [6] Lunagazer 2023.09.08 96
124210 [게임바낭] PS5 초보자 입문. [8] 잔인한오후 2023.09.08 313
124209 서부 전선 이상 없다 책 [2] catgotmy 2023.09.08 217
124208 [게임바낭] 또 다시, 그간 엔딩 본 게임들 잡담입니다 [10] 로이배티 2023.09.07 4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