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런트레이 귀공자' 잡담

2023.07.03 16:56

thoma 조회 수:189

k622830369_1.jpg

얼마 전에 산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밸런트레이 귀공자'(1889)를 읽었어요. 

기질이 매우 달라 애초에 사이가 좋지 않았던 형제가 원수가 되는 이야기입니다. 

1745년 스코틀랜드에서 자코바이트 봉기가 곳곳에서 일어납니다. 듀리 집안은 형제 중 한 명은 봉기에 가담하여 싸우고 한 명은 집안에 남아 영국 편을 드는 중도 노선으로 가문을 유지하려는 술수를 씁니다. 이것이 중도 노선일까요. 양다리 걸치기라고 해야할 것 같은데 암튼 책에는 그렇게 표현되어 있고요, 앞일을 알 수 없는 상황이라 당시 많은 스코틀랜드 가문들이 그렇게 했다고 하네요. 이후로 형제는 처지가 갈리며 봉기에 참가한 형 밸런트레이 귀공자는 해적선에 나포되어 목숨을 유지하기 위해 적극 해적질도 하고 신대륙까지 가게 되어 머리가죽을 벗기는 인디언들을 피해가며 황무지를 통과하는 등 외지를 다니며 온갖 험한 모험을 하고 죽을 고생을 합니다. 그러면서 동생에 대한 증오를 쌓아가요. 본인 말에 의하면 원래 양배추만큼도 -_- 생각하지 않던 동생인데, 이 모든 곤경에 대한 책임이 그 동생에게 있는 것처럼 생각하게 됩니다. 형제가 서로 출정하려 해서 동전 던지기로 정했음에도 고생이 극에 달하자 자신이 죽었으리라 여겨 그의 것이 되어야 할 칭호와 정혼녀까지 차지하고 있을 동생,(맞습니다만, 아버지의 압력으로 그렇게 됩니다) 자신에 비해 턱없이 모자란 놈이면서 그런 것을 차지한 동생을 이 모든 고생의 원인제공자로 생각하고, 탓할 대상으로 삼아 악의를 키우는 것입니다. 

자신에 비해 턱없이 모자란 동생이라지만 동생 헨리는 그냥 평범한 사람입니다. 아니 평범보다 높은 수준의 인내심과 도덕적인 균형감이 있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형은 인내심과 도덕적 균형감 같은 것은 가치로 치지 않는 것같습니다. 형의 행동 양식을 보면 인내는 필요하면 얼마든지 갖출 수 있는 기본이고, 도덕 같은 건 상황에 따른 것이지 매사 우선하는 것은 지루하며, 우월한 자의 인생에 방해라고 생각하는 인물입니다. 그러므로 그 테두리 안에 머물고 있는 동생을 평범하게 취급하면서 그 평범함과 지루함을 못 견디게 혐오하며 자기 대신 가문과 지위를 잇게 된 것에 미움을 품는 것입니다. 

이러한 형과, 죽은 줄 알았던 그 형과 동생이 대면하여 서로를 파괴하려 애쓰게 되는데....

모든 악한 것과의 대결은 악한 것들의 대결이 되고 마는 것 같습니다. 이 이야기도 그렇게 흘러갑니다. 결국 악한 것들의 대결이 됩니다.   


스티븐슨은 이 작품보다 몇 년 앞서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1886)를 냈었지요. 이 작가는 선악이 그렇게 확고하게 분리되지 않음, 선한 것의 허약함과 악한 것의 강력한 힘과 전염성 같은 것에 관심이 많았나 봅니다.

선악을 떠나서 형이 카드놀이하다가 느리게 진행하는 동생을 비아냥거리는 대목을 보면 동생과에 가까운 저는 마음에 뭔가 빡치는 게(빡치다, 말고 다르게 적절한 표현이 뭐 있을까요) 있었습니다. '카드 들고 자느냐. 따분하고 평범하고 둔하고 째째하다.... 우아함, 민첩함, 영리함도 없고 남을 즐겁게 해주는 재능이나 재치가 전혀 없는 작자를 보고 싶으면 거울을 봐라' ......

이 소설은 이야기 속에 이야기가 있고 그 안에 작은 이야기가 또 안겨 있는 식입니다. 두 형제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집사가 남긴 기록으로 후대에 전해집니다. 그 집사는 자신이 못 본 장소는 다른 전달자의 기록을 활용해 끼워넣고요. 다만 좀 이상했던 점은 이야기 시작 부분에 집사의 기록을 발견하고 읽는 두 등장 인물이 이야기 끝에 마무리로 등장하지 않는 점이었어요. 그 인물들 어디갔나, 라는 생각을.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1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1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994
123662 오징어게임 2화 [1] catgotmy 2023.07.06 280
123661 [근조] 홍콩가수 코코 리 [3] 영화처럼 2023.07.06 366
123660 피프티피프티 분쟁 본격화 [2] 메피스토 2023.07.06 551
123659 Psg 엔리케 오피셜 기자회견 실시간 보는데 [4] daviddain 2023.07.06 180
123658 [넷플릭스] 셀러브리티, 여성판 이태원 클라쓰 [4] S.S.S. 2023.07.05 428
123657 [디즈니플러스] 그냥 후일담으로 생각합시다. '인디아나 존스: 크리스탈 해골의 왕국' 잡담 [17] 로이배티 2023.07.05 524
123656 이번 주의 책과 잡담 [13] thoma 2023.07.05 339
123655 프레임드 #481 [6] Lunagazer 2023.07.05 102
123654 디즈니 플러스 찜한 콘텐츠 [4] catgotmy 2023.07.05 323
123653 [디즈니플러스] 3부작(?)의 마무리,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 잡담입니다 [38] 로이배티 2023.07.05 672
123652 마요르카 ㅡ 파리 이강인 이적 완전 합의 [6] daviddain 2023.07.04 361
123651 에피소드 #44 [4] Lunagazer 2023.07.04 107
123650 프레임드 #480 [5] Lunagazer 2023.07.04 104
123649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파트 1 이번 주말 프리미어 상영 [4] 상수 2023.07.04 407
123648 영화 퓨리를 보다가 말고 catgotmy 2023.07.04 185
123647 무슨 영화의 장면일까요? [1] 왜냐하면 2023.07.04 198
123646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3] 조성용 2023.07.04 480
123645 [디즈니플러스] 그래서 오늘은 당연히 '인디아나 존스' 잡담입니다 [42] 로이배티 2023.07.03 787
123644 사실 대통령실에서 매일 아침부터 자는동안에도 항상 일본한테 요구해도 부족한 판국인데(후쿠시마 오염수) [5] 상수 2023.07.03 434
123643 프레임드 #479 [4] Lunagazer 2023.07.03 11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