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글의 형태로 작성해서 말투가 이런 것이니 양해 부탁드려요. 그리고 방금 <오데트>에 관한 리뷰도 ‘회원 리뷰’ 게시판에 올렸으니까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읽어보세요. http://www.djuna.kr/xe/index.php?mid=breview&document_srl=14304166 )

서울아트시네마에서 현재 오랜만에 칼 드레이어 회고전이 열리고 있다.(회고전은 4월 21일까지 계속 된다.) 오래전에 칼 드레이어 회고전이 처음 열렸을 때 상영작 전작을 보고 충만함을 느껴서 더 이상 영화를 안 봐도 되겠다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난다. 이번 상영작들 중에 <게르트루드>(1964), <분노의 날>(1943), <잔다르크의 열정>(1928), <뱀파이어>(1932) 등 필견의 추천작들이 수두룩하다. 그 중 영화 사상 최고 걸작 중의 한 편이자 개인적으로 너무 사랑하는 작품인 칼 드레이어의 <오데트>(1955)를 다시 추천하고자 한다.(<오데트>의 상영은 3번 남아있다. 3월 27일 (수) 오후 4시 30분, 3월 30일 (토) 오후 2시, 4월 14일 (일) 오후 3시-상영 후 시네토크) 나는 이 글을 읽게 되는 사람들 중에 영화 관계자들이거나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만사를 제치고서라도 이 영화를 꼭 한번 보라고 권하고 싶다. 물론 듀게 회원분들 중에 <오데트>를 이미 본 사람들이 많이 있겠지만 여전히 이 영화를 보지 못한 사람들도 분명히 많이 있다. 올해 개봉작을 포함해서 국내에서 상영되는 영화들 중에 단 한 편만 추천할 수 있다면 나는 <오데트>를 추천하겠다. 이 글은 순전히 영업용이므로 사람들이 혹할 정보를 하나 주자면 <오데트>는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 수상작이고 4K 디지털 복원판으로 상영된다. 개인적으로 역대 베스트 영화 10편 중에 한 편으로 뽑는 작품이기도 하다.(2022년에 발표된 영국 영화잡지인 ‘사이트 앤 사운드’ 역대 최고의 영화 리스트에서도 <오데트>는 비평가 선정 48위, 감독 선정 30위를 차지한 바 있다.) 나는 이 영화를 크리스천들이 많이 봤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이 영화를 아직 보지 못한 크리스천들을 보면 아쉽고 이 영화가 크리스천들에게 덜 알려진 현실에 대해서는 너무 속상하다. 어떻게 보면 이 작품은 크리스천들에게 더 의미가 있으며 나는 이 작품이 영화와 신학이 만난 최고의 경지를 보여줬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오데트>는 나에게 가장 이상적인 영화 중의 한 편이기도 하다. 이창동의 <밀양>이 개봉했을 때처럼 <오데트>를 본 크리스천들과 열띤 대화를 꼭 나눠보고 싶다. 적어도 내가 아는 한 <오데트>는 믿음과 기적에 관한 가장 위대한 영화다.

'오데트'는 덴마크어로 '말씀'이라는 뜻이다. 덴마크의 목사이자 극작가인 카이 뭉크의 동명의 희곡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오데트>는 보겐 일가의 신앙의 위기와 극복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다. 영화는 주로 실내에서 조용하고 차분하게 진행되며 기법적으로는 롱테이크와 느린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촬영된 장면들이 많다. 이 영화의 느린 호흡은 이 영화에 자연스럽게 경건함과 초월성을 부여한다. 이 영화의 영상미는 특히 압권인데 섬세한 조명술로 인해 마치 베르메르의 회화를 방불케하는 아름다운 화면이 만들어진다.

영화 속 한 인물이 '현대 사회에서는 기적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하는데 영화는 어느 지점까지 그 말이 진실인 양 이야기를 끌고 나간다. 의심과 회의 속에서 영화 속 대부분의 인물들과 심지어 영화를 보고 있는 관객들조차 기적을 믿지 않게 되는 상황이 되었을 때에서야 비로소 드레이어는 놀랍게도 우리에게 기적을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그 기적은 더욱 경이적으로 다가오고 설득력이 있다. <오데트>는 결국 이 기적을 향해 나아가는 작품이다. 순수한 말씀에 대한 '믿음'이 '기적'을 실현시킨다. 그 기적과 마주하기 위해 우리가 영화의 느린 시간들을 견뎌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화사 최고의 명장면 중의 하나로 손꼽히는 <오데트>의 기적 장면은 볼 때마다 형언할 수 없는 감동을 준다. 아무런 특수효과도 없이 기적을 담백하게 보여주는데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이 기적이 실제로 믿어진다. 진실로 기적적인 순간이 아닐 수 없다. 영화를 보다가 잠이 들었고 푹 자고 일어나서 <오데트>에서 기적 장면만을 본 관객일지라도 그 장면을 본 것만으로도 이 영화를 본 시간이 결코 아깝지 않을 것이다. 나는 그 기적 장면 때문에라도 이 영화를 꼭 보라고 말하고 싶다. 장 뤽 고다르는 그의 작품인 <영화의 역사(들)>에서 영화사에서 기적을 보여준 감독은 알프레드 히치콕과 칼 드레이어밖에 없다고 했었는데 정말 틀린 말이 아니다.

이제 선택의 시간이다. 아직 <오데트>를 못 보신 분들은 이번 기회에 꼭 보시기를 바란다. 다른 건 몰라도 적어도 이거 한가지는 단언할 수 있다. <오데트>를 보지 않는다면 당신은 스크린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진귀한 순간 중의 하나를 놓치게 되는 것이라고 말이다. 만약 당신이 이 영화를 보게 된다면 영화 사상 가장 놀랍고 숭고한 순간 중의 하나를 마주하며 정말 기적을 체험하게 될 것이다. 이런 순간과 마주하기 위해서 우리는 영화를 보는 것은 아닐까?

마지막으로 국내에도 출간된 ‘죽기 전에 봐야 할 영화 1001‘에 실려있는 <오데트>에 관한 제프 앤드류의 글(https://naver.me/x0hk2F3N)을 인용하며 글을 마치고자 한다.

……<오데트>가 우리의 종교적 믿음까지 바꾸어놓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우리는 최고 수준의 영화예술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는 이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부디 많은 사람들이 이번 기회에 <오데트>의 기적과 대면하게 되시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P.S: <오데트> 예고편(영국)

https://youtu.be/-uQEPjRog84

<오데트> 예고편(프랑스)

https://youtu.be/kfnDxOG3ljw

<오데트>가 상영되는 서울아트시네마 칼 드레이어 회고전 링크

https://www.cinematheque.seoul.kr/bbs/board.php?bo_table=program&wr_id=1144&sfl=wr_29&stx=1

네이버 지식백과에 실린 <오데트> 해설 링크. 내용이 좋다.

https://naver.me/xtHn0UKU

<오데트>에 관한 이충범 목사님의 글을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다.

https://blog.naver.com/zeppurple/222635165309

한나래에서 출간된 ’칼 드레이어‘에 <오데트>에 관한 좋은 글이 실려있다.

http://aladin.kr/p/TF8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3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2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8014
125846 1979 빌보드 톱 50 챠트 [2] theforce 2024.03.30 166
125845 [넷플릭스바낭] 로맨스인가 스릴러인가, '피난처' 잡담입니다 [8] 로이배티 2024.03.30 324
125844 챗 gpt vs 구글 제미니 theforce 2024.03.29 144
125843 프레임드 #749 [6] Lunagazer 2024.03.29 73
125842 괴수의 키 [8] 돌도끼 2024.03.29 244
125841 명동에 갔다가 catgotmy 2024.03.29 165
125840 (바낭) 기둥뒤에 살아있어요. [6] 가라 2024.03.29 362
125839 이런저런 정치 잡담...(조국) 여은성 2024.03.29 389
125838 댓글부대 영화개봉에 부쳐(화면 속, 네트는 넓어서... 판타지스러움, 은종 게시판) 상수 2024.03.29 212
125837 정치 뉴스 몇개(호위무사 인요한, 진중권, 김경율) 왜냐하면 2024.03.29 333
125836 프레임드 #748 [5] Lunagazer 2024.03.28 85
125835 의사 증원 2000명이 천공 밈화 되는 걸 보면서.. [3] 으랏차 2024.03.28 808
125834 이미 망한 커뮤에 쓰는 실시간 망하는중인 커뮤 이야기 [7] bubble 2024.03.28 1001
125833 몬스터버스에 대해 생각해봤어요 [1] 돌도끼 2024.03.28 205
125832 롯데 인스타에 [12] daviddain 2024.03.28 307
125831 고질라 곱하기 콩 봤어요 [5] 돌도끼 2024.03.28 357
125830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4] 조성용 2024.03.28 490
125829 프레임드 #747 [4] Lunagazer 2024.03.27 63
125828 [핵바낭] 다들 잊고 계신 듯 하지만 사실 이 게시판에는 포인트란 것이 존재합니다... [27] 로이배티 2024.03.27 626
125827 예전 조국이 이 게시판에 글을 쓴 적이 있지 않습니까? [4] 머루다래 2024.03.27 89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