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민 좋은 줄 모르겠고 메소드 연기자라고 언론에서 칭찬발림하는 그 뛰어난 연기력이라는 것도 도통 남들 이상으로

잘하는 건 줄 모르겠어서 영화나 내용이나 배우나 다 관심없었어요. 유괴 영화도 지겹고 이 소재를 가지고 잘 만들어낸

작품이 너무 없는데다 시사회 평도 나빠서 안 보려고 했죠. 근데 지인 중 김명민 팬이 있어서 억지로 보러 갔어요.

정말 별로더군요. 중간에 깜짝 놀래키는 장면이 두번 있는데 불쾌한 놀람이었고 소재도 식상하고 그걸 풀어가는 전개방식이

너무 안일해요. 이야기 이음새도 듬성듬성하고 등장인물들이 왜 저렇게 행동하나 이해안가는 장면이 많았습니다.

특히 김명민이 범인이 누군줄 알고 미행하는 후반부 묘사는 열통터지더군요.

 

남은 건 김명민 연기인데 영화가 워낙에 후져서 영화만 가면 t.v드라마에서만큼의 파급을 보여주지 못하는 김명민이지만

그럼에도 전작과 마찬가지로 영화 완성도보단 김명민 연기가 더 낫습니다. 근데 이건 리턴 때부터 항상 그래왔으니

별로 좋은 현상은 아니죠. 거기다 이건 어디까지나 상대적인거니까. 김명민은 열심히 한다는 게 보이고 준비도 많이

한 것 같더군요. 근데 그게 너무 과시적이어서 불편할 때도 있었습니다. 19금 유괴 영화니 잔혹한 장면 때문에

등급이 그런건가 보다라고 생각했는데 김명민 신체노출이 있더군요. 굳이 집어넣지 않아도 될 체위의 베드씬이었고

낭비된 장면이었습니다. 작년에 살 빼서 영화 찍은게 하도 언론플레이를 해서 사람들이 무척이나 인상깊었나봅니다.

영화 속 김명민 몸은 내사랑 내곁에 촬영 이후 원래 몸 상태의 중간단계로 마른 편인데 관객들이 몸을 보면서

'아직 살이 다 안 쪘다'고 수근거렸어요.

 

범인 인물 설정도 뻔하고 내용도 엉성하고 재미도 없었어요. 박주미는 조금 나온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이건 거의 단역수준이었어요.

몇 장면 나오다 안 나옵니다. 그래도 이번주 박스오피스 1위라는 걸 보면 김명민에 대한 대중의 신뢰겠죠.

여기에 몇 달 동안 연이은 한국영화 흥행에 탄력을 받은 것도 있고요. 그래도 한창 뜨거운 여름에 이런 구질구질한 19금 유괴영화에

관객이 몰리는 게 다소 의외긴 합니다. 물론 요즘 성인관객들이 그리 볼만한 영화가 없다는 이점이 있긴 하지만요.

여성관객들은 이클립스, 애들은 슈렉4를 보면 되지만 남은 성인 관객들은 마땅히 볼게 없죠.

 

김명민은 드라마로 알려졌고 드라마로 큰 배우지만 데뷔 초 때부터 영화배우에 대한 갈망이 컸던 배우죠. 그래서 뜨거운 것이 좋아로

얼굴이 알려지고 난 뒤에도 몇 년 동안 영화작업만 했고요. 그게 뜻대로 안 풀리자 다시 드라마로 우회했고 드라마로 다시 각광받고

있는 와중에도 계속해서 리턴,무방비도시,내사랑내곁에 같은 영화들을 찍었는데 작년에 청룡에서 남우주연상 받았을 땐 mbc연기대상

받았을 때보다도 더 감격스러워 하더군요. 설경구나 최민식 등의 충무로 남자배우들의 위상을 이어받고자 하는 영화배우로서의 야심이

많이 보이는데 부디 영화 좀 잘 선택했으면 좋겠어요. 무방비 도시도 흥행은 크게 나쁘진 않았고 내사랑내곁에도 성공했고 단독주연작인

파괴된 사나이도 첫주 흥행이 잘 나왔으니 이정도면 그런대로 잘 나간다고 볼 수 있지만 영화 자체의 질이 별로다 보니

불안하거든요. 데뷔영화 이후 5편이 쭉 이러니 드라마 선택은 운이었나 싶다니까요.

 

파괴된 사나이에서 김명민은 의대 나온 목사 출신의 불법납품업자로 나오는데 김명민은 병원직종과 관련이 깊은 작품에 자주 나오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3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3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8015
124288 더 크로우 리부트 [3] daviddain 2023.09.21 176
124287 [왓챠바낭] 또 한 번 재밌고 긴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잡담입니다 [21] 로이배티 2023.09.20 522
124286 '콜' 감독과 배우 신작 '발레리나' [4] LadyBird 2023.09.20 444
124285 신비한 동물사전 (2016) [2] catgotmy 2023.09.20 164
124284 홈커밍 1시즌 [5] daviddain 2023.09.20 247
124283 에피소드 #55 [2] Lunagazer 2023.09.20 99
124282 프레임드 #558 [6] Lunagazer 2023.09.20 103
124281 그랜드 호텔 (1932) [2] catgotmy 2023.09.20 174
124280 '유 캔 카운트 온 미' [4] thoma 2023.09.20 312
124279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3] 조성용 2023.09.20 535
124278 이세계의 여가부장관 지명자.. [7] 으랏차 2023.09.20 623
124277 듀게 오픈채팅방 멤버 모집 물휴지 2023.09.20 92
124276 [넷플릭스바낭] 재밌는 영화를 보고 싶었습니다. '히트' 잡담 [13] 로이배티 2023.09.19 522
124275 프레임드 #557 [2] Lunagazer 2023.09.19 87
124274 [왓챠바낭] 내친 김에(?) 도전했습니다. '솔라리스' 잡담 [13] 로이배티 2023.09.18 527
124273 [질문] 영화 채널 스크린에서 하는 '블록버스터 파헤치기' 원본이 뭘까요? [4] 잔인한오후 2023.09.18 827
124272 프레임드 #556 [4] Lunagazer 2023.09.18 100
124271 謹弔 변희봉(1942-2023) [17] 상수 2023.09.18 689
124270 인생영화에 관한 유튜브 영상 둘(거미집 출연배우들의 인생영화) [3] 상수 2023.09.18 391
124269 [왓챠바낭] 추억의 기나긴 영화 하나 더, '화니와 알렉산더' 대충 잡담입니다 [23] 로이배티 2023.09.17 53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