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황교안, 유승민

2020.02.10 09:11

가라 조회 수:647


요즘 정치글만 쓰게 되네요. 그만큼 요즘 한국 정치 돌아가는 꼴이 재미있어요.


1. 안철수..

안철수의 SNS글을 보면 결국 현정부를 공격하는 상황입니다. 중도라고 하지만, 보수, 자한당 쪽은 공격하지 않아요.


그가 한국 와서 처음 한 얘기가 보수랑 통합 안한다. 난 보수 아니다. 중도다.. 라고 했었죠.


사실, 지금 범진보 40%, 보수 30% 코어층이 형성된게 오래된 일이아닙니다. 한 10년전에는 민주 20~25, 한나라 30~35% 라고 했었어요. 그래서 중도 40~50중에 민주는 20% 이상 받아야 하고, 한나라는 10% 정도만 받으면 되기 때문에 불리한 싸움이라고 했었거든요. 

즉, 현 40%의 지지세중 절반 정도는 '코어'가 아니라고 볼 수 있죠. 원래 중도성향이었는데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자한당에 대한 비호감이 극에 달해서 민주당을 지지하는 것일수도 있고, 민주당이 잘한다고 생각해서 지지할 수도 있고...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누구 말마따나 (순화해서) 죽어도 문재인, 죽어도 민주당은 아닌 것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자한당 지지율 30%는 말 그대로 '코어'에요. 죽어도 자한당, 나라팔아먹어도 자한당인 비율이 꽤 높을 수 있습니다.


안철수측이 보기에 보수를 공격해봐야 빼앗아 올 것은 없고, 현재 4:3:3 구도에서 30%의 중도층은 너무 정치색이 약해서 가져올 수 있는 실질적인 표가 적다. 그러니 현 40%인 민주당의 표를 가져오자라는 생각인것일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대충 중도 30%의 1/3 챙겨오고, 민주당 지지율 10% 에서 10% 빼먹어서 20% 지지 얻으면 3:3:2:2 로 갈 수 있겠다 싶은건가? 



2. 황교안

황교안씨가 종로 출마 선언 했습니다. 이미 내외부적으로 '등떠밀려 나가는 꼴'이 되었지만요.

그런데, 황교안씨가 종로 출마를 이낙연 vs 황교안이 아니라 문정권 vs 황교안이라고 합니다.

거대한 문정권 앞에서 단기필마로 앞장서는 황교안의 이미지를 그리고 싶은 모양인것일까요?

아니면, '내가 대통령(권한대행)까지 한 사람인데, 고작 전 총리와 1:1 구도 해야겠어?'라는 의전병인것일까요?

황교안씨가 결국 종로에 나간건, 내부적으로 돌린 서울/수도권 여론조사에서 '만만한 험지' 같은건 없는데다가 대패할 분위기라 공관위에서 '바람이라도 일으켜 보자' 라면서 황교안씨에게 종로출마 아니면 불출마하라고 최후통첩을 한것 이라고 하던데...

대선후보 1위인 이낙연 vs 대선후보 2위(3위?) 황교안.. 이 둘의 사전 대결애서 패배하는 것이 두려워 정권 vs 개인으로 짜고 있는 것 같은데...

본인이야 그렇게 정신승리 한다고 쳐도, 과연 총선후에 당에서 가만 놔둘지 궁금합니다.


아니, 그전에 이정현부터 정리해야 겠지만...



3. 유승민

유프로가 불출마 선언 했군요.

사실 하루 이틀전부터 유프로가 4선한 지역구인 대구에서 당내 사전 조사한 결과가 돌긴 했어요. 어떤 시뮬레이션을 돌려도 유프로 대패라고요.

즉, 이 상황에서 자한당이랑 합당해도 지역구에 이미 더블스코어로 이기고 있는 자한당 예비후보를 빼고 자기가 나가겠다고 할 수가 없는 것이죠.

그러니 체면이라도 차리자고 불출마 선언 한것 같은데...

자한당 일부 의견처럼 차라리 수도권 나가서 '잘졌싸' 하는게 그나마 낫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새보당 하태경이나 오신환은 살아 남을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4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3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8025
111334 [넷플릭스바낭] '피키 블라인더스' 보신 분 없으신가요? [12] 로이배티 2020.02.11 1075
111333 "주디"는 너무 마음이 무겁네요 [6] 산호초2010 2020.02.11 937
111332 구충제를 한 10년만에 먹어봤습니다 [2] 하워드휴즈 2020.02.11 1051
111331 논객의 울컥 [2] 어제부터익명 2020.02.11 696
111330 작은 아씨들 보기 전에... [4] 먼산 2020.02.11 832
111329 김범룡이 중성적인 목소리로 노래 참 잘했군요 [3] 가끔영화 2020.02.11 434
111328 오늘 오후 1시 50분 광화문 씨네큐브 "주디" [5] 산호초2010 2020.02.11 703
111327 봉준호의 수상소감 [33] Sonny 2020.02.11 2644
111326 너는 계획이 다 있구나(수상소감, 봉준호의 계획성) [8] 왜냐하면 2020.02.11 1612
111325 이런저런 일기...(독립) [2] 안유미 2020.02.11 614
111324 집에서 티비로 아카데미 본 다송이 인터뷰 도야지 2020.02.10 875
111323 완전한 바낭- 수상 후 본 기생충 [6] 구름진 하늘 2020.02.10 1453
111322 아카데미 작품들의 상영날짜를 살펴보니 [22] 산호초2010 2020.02.10 1019
111321 장첸의 생활느와르 미스터 롱 [1] 가끔영화 2020.02.10 700
111320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인 것이다 [5] 어제부터익명 2020.02.10 2288
111319 아카데미 작품+감독상을 탄 영화가 배우상은 하나도 없는 케이스 [5] 사이비갈매기 2020.02.10 1366
111318 아카데미와 영화감독들의 넷플릭스 배급 영화에 대한 시각은 이해되는 면도 있지 않나요? [11] 얃옹이 2020.02.10 1115
111317 [네이버 무료영화] 미드소마 - 봉준호 감독의 추천작 [8] underground 2020.02.10 1098
111316 오스카레이스 통역 샤론최에 대한 기사 갈무리 [4] Toro 2020.02.10 1528
111315 [바낭] 오늘 저녁 메뉴는 Parasite special [5] skelington 2020.02.10 86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