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작가 생활]

2024.03.01 23:21

thoma 조회 수:273

[노인의 전쟁]을 쓴 존 스칼지의 책입니다. 

이 시리즈는 [노인의 전쟁] 밖에 기억이 안 나요. 재미있게 읽었고 이어진 [유령여단], [마지막 행성]도 분명 읽은 것 같아 확인해 보니 구매이력이 있어요. 그런데 뒤의 두 권 내용은 생각나질 않네요. 재미가 없어서 잊었는지 대충 읽었는지 기억력에 문제가 있는지. 십 년 전인데 이렇게 내용이 기억 안 나니 좀 걱정됩니다.  

[슬기로운 작가 생활]은 2001-2006년 초까지 자신의 블로그(Whatever)에 올렸던 글을 엮어 낸 책입니다. 미국에선 2007년에 나왔고 SF 전문 출판사 구픽에서 작년 8월에 나왔네요. 


작가가 되려는 사람들에게 주는 실용적인 조언들이 반 이상의 분량을 차지합니다. 

뒤로 가며 내용은 출판 관련 이런저런 트러블 포함한 현안과 SF와 SF작가에 대한 생각을 주로 블로그에 올라온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쓴 글로 되어 있고요.

그래서 삼분의 이 정도를 지나며 나오기 시작하는, 이 글을 쓰던 이십여 년 전의 미국의 SF 업계와 관련된 내용은 건성으로 읽었습니다.

제가 SF 모르거든요. 미국의 대중문화에도 어둡죠. 그런가 보다...에도 못 미치는 겉핥기 수준으로 후딱후딱 지나갔습니다.

 

그럼에도 소개하게 된 것은 전반적으로 재미있게 읽기도 했고 총 4장 구성 중 반 넘는 분량의 앞 두 장에 인상적인 부분이 있어서입니다. 그 두 장의 제목은 아래와 같고요.

1장 : 글쓰기에 관한 조언, 또는 진짜 일에서 도피하기 

2장 : 야호,야호 내 작가 생활 이야기

인상적이었던 점을 두 가지 정도 정리해 봅니다.


첫째, 책의 성격과 관련한 것입니다. 제가 읽은 작가가 쓴 글쓰기 관련 책 중에 가장 '돈' 문제에 실용적으로 접근하는 책이었어요. 제목을 '돈과 작가'로 해도 괜찮겠습니다. 어떤 꼭지에서는 본인의 연간 수입액을 소개하고 그 수입이 어디서 온 것인지 내역을 소개합니다. 그러면서 글 몇 편 팔았다고 현 직장을 그만 두려는 초보 작가에게 딱밤을 치며 정신을 차리게 합니다. 

'내 제안은 이렇다. 지금 여러분의 직업이 패스트푸드점 아르바이트가 아닌 한, 여러분은 글쓰기로는 지금 직업보다 돈을 못 벌게 될 것이다. 그러니 지금 직업을 계속한다는 생각만 해도 죽고 싶어서 좁은 곳에만 들어가면 손목을 긋고 싶은 경우가 아닌 한, 일을 그만두면 안 된다....절대로 본업을 때려치우면 안 된다....존 그리샴과 스티븐 킹도 본업이 있었다.' 이런 식으로요. 

자신의 첫 책도 소개합니다. [온라인 금융 기본 안내서]. 지금도 기업과 계약한 마케팅 관련 글이 가장 주요한 고정 수입원이라고 하네요. 전공은 철학이라고 합니다. 청구서를 해결하게 해 주는 한 어떤 글도 마다하지 않고 공부해서 썼다고 합니다. 다만 본인의 정치적, 개인적 윤리관에 반하지만 않으면요. 

짐작하시겠지만 매우 구체적으로 피부에 팍팍 와닿게 작가로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자기 경험을 바탕으로 해서 알려 주고 있어요. 글쓰기와 책을 쓰고 출판하는 일에 대한 막연한 생각이나 환상을 가진 모든 사람이 귀기울여 들을 만한 내용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둘째, 첫째와 통하는데 작가의 글에서 느껴지는 태도와 관련한 것입니다. 이분 글이 매우 단순하고 명쾌합니다. 그늘이 안 느껴지고 자신과 가족과 일에 대한 사랑으로 자신감이 가득하네요. 스스로 자신의 오만함을 인정하기도 하고요. 싫증도 지루함도 허무도 모르는 사람 같습니다. [노인의 전쟁]이 책으로 나와 호평 받고 다음 책 계약을 하던 시기라서 파이팅이 넘치는가? 그럴 수도 있겠죠. 하여튼 글에서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며 한 선택을 이야기하는데, 주저나 우울의 흔적이 없다는 점이 눈에 띄었습니다. 어째서 모두가 가지고 있는 회한의 기미가 없지? 흠... 잘난 척이야, 또 나온다, 잘 산다는 자랑... 초보 작가에게 충고하는 실용서 성격의 책이니 당연할 수도 있지만... 왜 두드러지게 보이는가 생각해 보았는데 아마도 이 책이 본인 블러그 글이라 그런 특징이 더 두드러지는 것일 수도 있겠다는 쪽으로 생각이 뻗었습니다. 작가 정체성을 갖고 미래지향적으로(?) 운영하는 본인 블러그 글은 유머와 단호함과 긍정왕적 밝음이 필수가 아닐까 생각했어요. 우울하고 부정적인 내용으로 자칫 지루하게라도 한다면 온라인 상에서 방문자들을 확장, 유지하기는 힘들 거라고 생각해 봤습니다. 작가의 성격 자체가 환상이 별로 없는 명쾌한 분인데다가 매체의 특징이 상호상승 작용을 한 것 아닐까. 참 능력자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떤 부분은 반박의 마음이 들기도 했고 다른 방향의 접근도 떠오르기도 했지만 저와 같은 멍한 이에게는 유익했던 독서였습니다. 더 생각해 볼 점도 있었으니 생각해 보기로 하고, 급 마무리합니다. 

k572935162_1.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2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2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999
125705 광해와 데이브 결국 기사화 됐군요.(스토리 스포 있음) [18] 자본주의의돼지 2012.09.28 8616
125704 각자의 시선 가끔영화 2018.04.09 8614
125703 연예인 딸들. [6] 자본주의의돼지 2013.09.05 8613
125702 핀란드 사람들이 좀 수줍어 하나요? ㅎ [31] toast 2011.07.28 8611
125701 괜시리 생각난 볼품있는 명품족 한명. [30] philtrum 2010.09.09 8610
125700 도대체 김어준이 무엇이라고... [38] MX440 2011.09.10 8606
125699 조니뎁 " 탐, 낙심하지마 나처럼 새 여자친구 사귀면 되지." [15] 자본주의의돼지 2012.06.30 8603
125698 평소 보그체라는 것을 비웃어왔습니다만, [40] nobody 2010.10.11 8601
125697 조지 클루니 애인 등 [7] 가끔영화 2014.06.20 8590
125696 [가십걸 잡담] 블레어와 루이는 결국 (스포) [4] 봄눈 2012.02.07 8583
125695 새로운 얼짱. [9] Warlord 2013.05.07 8578
125694 섹스터....(19금?...덱스터 오프닝 추가) [17] 꽃과 바람 2010.12.15 8577
125693 요즘 충무로 흥행파워는 김윤석이 최고인듯 [16] 매카트니 2012.07.23 8571
125692 나는 한놈만 패.(feat.황우여) [10] utopiaphobia 2012.10.04 8568
125691 혼혈남자 배우는 뜨는데 혼혈여자 배우가 뜨기 힘든이유는? [18] 로사 2011.04.26 8564
125690 이다해가 너무 거슬립니다. [19] 아라잔 2011.06.21 8564
125689 신정아는 그것이 첫 경험이었기 때문... [28] 재클린 2011.03.25 8561
125688 신촌 연대앞 굴다리, 복성각의 짬뽕 [14] 01410 2010.10.03 8554
125687 다문화 정책을 반대합니다.jpg [68] 큰거북이 2013.05.06 8553
125686 웹툰 하나 아주 강하게 추천합니다. [20] RoyBatty 2010.06.12 855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