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 ‘오뎅’에 관한 글을 보고 떠 오른 생각들



 1.  펜케이크 

  팬케이크라는 존재를 처음 알게 된것은  아주 아주 어릴적 KBS의  ‘명화극장’ 같은 데서 방영해준 ‘어떤 영화’였습니다.

  너무 어릴때여서 제목도 기억 안나고 줄거리도 거의 기억이 안나요.

  

  그런데 너무도 뚜렷이 기억 나는 장면이 하나 있는데  대충 영국이었던거 같고 중학생 정도로 보이는 주인공이

  다니는 남자기숙학교에 대대로 내려오는 축제속 이벤트가 하나 있는데 그게 바로 펜케이크 많이 먹기였어요.

  대충 그 나이 사내아이 또래들이 흔한 허세와 만용의 대결장이었던 셈인데 여하간 결승에서 상대가 먹다 기절했거나 포기했음에도

  주인공이 발굴한 전생에 펜케이크 못 먹어 죽은 귀신 같은 친구가 결국 우승을 해버립니다.  딱 이 부분만 기억이 나요.

  

  이 영화를 보고 나서 전까지 한번도 먹어 본적 없던  ‘펜케이크’를 먹고 싶어졌죠. 

  그래서 펜케이크 가루를 사다가 집에서 직접 만들어 먹은 적도 있어요.  초딩이 말이죠.


  이 소울 푸드를 한참 잊고 살았는데,  직접 만들어 먹기 여간 귀찮음 한가득 이기도 하고 (반죽 음식이란게 다 그렇죠....)

  요즘은 조금 생겼지만,  한국에 살고 있을 적만해도 펜케이크 전문점은 고사하고 팬케이크가 메뉴에 있는 그런 카페나 비스트로는 홍대 같은데도

  찾아보기 쉽지 않았거든요.

  2년전에 상해에서 다시 만났지 뭡니까.   수입식품 코너에서 냉동 펜케이크를 팔더라구요.  전자렌지에 2분 정도만 돌리면 바로 그 팬케이크가!!

 

  잘 알다시피 펜케이크의 완성은 메이플 시럽과 버터 한 조각 입니다.  

  갖 구운 듯한 펜케이크 석장에  버터 한 조각 얹고 메이플 시럽을 술술 뿌리고 좀 진한 커피 한잔 곁들이면 아침이 모자람 없이 행복하죠.


  이렇게 영화로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는 첫번째 소울 푸드입니다.

  


  2. 호떡

  하지만 비 오는 날이면 꼭 떠 오르는 음식은 따로 정해져 있어요.

  역시 초딩, 어릴적 살던 동네에는 어둡거나 칙칙하지 않은 골목길이 아기자기 미로처럼 사방팔방 뻗어 있었고 

  이상하게 비만 오면 우산을 들고 집에서 시장통 가는길 중간 즘에 땅콩을 넣어 고소하고 계피까지 넣어 향긋하고 쌀과 밀가루를 적당히 믹스하고

  반죽을 알맞게 숙성까지 시켜  식감이 끝내주던 호떡만 파는 조그만 리어커가 있었어요. 

  딱 두개를 사다 들고 우산을 잡은 채로 미로 같은 골목길을 걸었어요. 호떡 두개를 오물 오물 다 먹을 동안 말이죠.

  비가 너무 심하게 내린다 싶으면 골목으로 삐져 나온 처마 아래에서(한옥도 적잖이 있던 동네였어요) 잠시 쉬었다 가기도 하고

  

  어릴적에 생겼던 어떤 추억? 기억? 느낌? 으로 오래 잊혀지지 않고 좋게 간직하는 그런 감각들 중 하나에요.

  비 오는 날 골목 여행을 하며 먹던 호떡


 

 3. 순대와 오뎅

 그런데 가끔 한국에 들어가거나 상해에서 아주 가끔 코리안 타운에 가게 되면 꼭 찾는 음식은 따로 있어요.

 바로 순대와 오뎅이죠.  순대는 그.... 뭐 이거 저거 넣은 비싼 순대 말고 시장통에서 파는 찹쌀순대!  그리고 간은 꼭 있어야 하고

 소금은 고추가루가 살짝 뿌려져 있어야 해요. 그리고 제 아무리 커피 마시는 하마지만, 순대 만큼은 오뎅 국물이 있어야 해요.

 그리고 오뎅국물이 가장 맛있는 순간은 순대 3개 먹고 간 한조각 먹고 목이 살짝 막힌다 싶을 적이죠.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오뎅국물입니다.



 하지만 지금 이글을 쓴 것을 격렬히 후회 중입니다.

 지금 한 밤중이고 상해거든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4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3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8019
111069 어떻게 지내십니까? [10] 어디로갈까 2020.01.15 938
111068 오스카 후보 지명 상황에서 의미심장하게 들리는 <기생충>의 대사와 수석의 정체 + 개인적인 소회 [4] crumley 2020.01.15 1045
111067 [넷플릭스바낭] 이정현의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를 봤어요 [4] 로이배티 2020.01.14 852
111066 [바낭] 아무도 관심없지만 렌의 기사단에 대해서 (스타워즈 스포) [9] skelington 2020.01.14 1005
111065 주제 없고 링크 없는 정치바낭 [5] 가라 2020.01.14 656
111064 우리는 언제쯤 기자 회견에서 대통령이 토론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까요? [35] Joseph 2020.01.14 1382
111063 사람은 고쳐쓰는게 아니다란 말 뒤에 알맞는 말을 붙여주세요 [6] 가끔영화 2020.01.14 676
111062 신체노출을 바라보는 리액션 [1] 예정수 2020.01.14 543
111061 [바낭] 남코에 로열티 좀 줬을 것같은 파워태권도 [3] skelington 2020.01.14 456
111060 [바낭] 주둥이로 먹고 산다는 사람들이 주둥이 함부로 놀리다 박살나는거 보면 [10] 귀장 2020.01.14 824
111059 드론 이야기 - 속편? [4] ssoboo 2020.01.14 375
111058 [바낭] 고마우신 분들 [1] 칼리토 2020.01.14 415
111057 [바낭] 글을 길게 못 쓰겠다 [3] 예정수 2020.01.14 393
111056 조롱과 독설과 험한말 [24] 왜냐하면 2020.01.14 986
111055 2020 오스카 후보작 링크와 명단 올려요. [10] 산호초2010 2020.01.14 740
111054 [넷플릭스바낭] 19세기 미쿡 배경 스릴러 '에일리어니스트'를 봤습니다 [7] 로이배티 2020.01.14 1347
111053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스포약간), 우리는 황혼의 세상에 산다 [1] 예정수 2020.01.14 571
111052 검찰 인사보복에 대해 비난할 수 있죠 [1] 도야지 2020.01.14 438
» 누구나 ‘소울 푸드’ 하나씩은 있죠 [12] ssoboo 2020.01.14 1074
111050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보았습니다 [24] 노리 2020.01.14 80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