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마음이 다 닳고

2020.02.09 11:07

어디로갈까 조회 수:833

1. "자기 인생에 대한 그릇된 고정관념에 매달려 평생을 허비하는 게 인간이다."
뒤렌마트의 말이지만 꼭 그만이 할 수 있는 말은 아니죠. 대개의 사람들이 자신의 인생이 어떤 식으로 되어가야 한다고 여기는 형태에 대한 고정관념을 갖고 있는 듯싶어요. 뿌리는 땅 속에, 줄기는 곧게, 가지와 잎과 열매는 이러저러하게 라는 식으로요.
아직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형식이라 해도 사람들은 그것을 앞서 지각합니다. 한 개인이 그렇고 한 시대가 그렇습니다. 지각의 변동은 존재의 변동이고 시대의 변동이죠. 중세와 르네상스의 이행기, 근대와 현대의 이행기가 그랬듯 다른 삶을 꿈꾸고 결단하는 개인 또한 그렇습니다.

그러나 유행의, 유목민의, 리좀의, 파편의 사상은 그런 생각을 부정합니다. 단일자의 1과 변증법의 3을 부정하고, 2만으로도 형식이 되리라고 여기는 사람들이 있어요. (심지어는 긴장이 없는 병렬의 2만으로도 형식이 된다고 생각해요.) 그런 파격에 의지하므로 그들은 깊고 강합니다.

어제, 그런 생각을 가진 사람의 작업실에 가 작품들을 봤습니다.  나란히 걸려 있는 두 장의 사진이 시선을 잡았는데, 두 사진은 부딪치지 않고 나란히 닮은 모양으로, 그러나 어딘가 서로 다르게  벽에 걸려 있었습니다.
거기에는 무엇을 지향하지 않고도 나/우리는 이미 존재한다는 확신이 있었어요. 전통적인 형식감각에 비하면 일종의 비정형이었고 결말없음이었으며, 유행어로 말하자면 '탈주'였습니다.

저는 그런 사상을 거절하는 사람에 속해요. 고전과 모던에 머무는 정도가 저의 경계입니다.  형식을 이루지 못하는 '패배'라도, 그러한 패배에 정직한 편이 저에겐 낫다고 생각해요. 또한 고전과 모던을 하나의 正으로 삼아서도 비정형을 위한 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믿음이 있습니다. 의미의 결집은 의미의 소멸을 요구해요. 그것이 형식적인 아름다움이고 완결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2. 살면서 맞는 모든 변화의 첫순간은 '갑자기' 혹은 '문득' 이라는 부사의 문을 통과합니다. 주어 없이 발생하는 '갑자기'와 '문득'이란 없을 거예요. 하지만 드물게 주어/명사가 보이지 않는 안개 속의 '갑자기'와 '문득'의 순간들이 방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 때 제 시선은 안도 밖도 아닌 어떤 공간을 향하게 돼요. 고요한 긴장이 스쳐가는 순간입니다.
투명해서 세상 어느 사물과 상황도 가리거나 건드리지 않을 듯한 작은 스침, 혹은 불투명해서 어떤 사고의 노력에 의해서도 삶으로 통합되지 않을 듯한 정적의 순간. 

어제부로 저는 한 친구의 얼굴을 휩싸고 있던 침묵과 그 예민한 눈빛을 보이지 않는 生의 창고에 적립했습니다.  우리는 서로에게 무엇이었을까요. 그 무엇도 되지 못한, 사소하나 잊을 수는 없는, 저 흔한 순간들 중의 하나였을까요. 
이렇게 쓰고 있는 동안에도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걸 느낍니다.  감정도 육체를 매개로 파악되니 참 아이러니하죠. - - 이 느낌에다 여러가지 이름을 붙여봅니다. 불안, 기억, 혹은 시간... 그러다가 '낯선 음악'이라고 생각하기로 합니다. 그래요, 기쁨도 슬픔도 다 낯선 음악이죠 뭐.

자, 낯선 음악을 견딜 만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제 삶을 변화시켜야 하는 것일까요?
낯선 음악이 초래된, 혹은 솟아난 장소는 어디일까요.  답하지 못하지만,  질문하는 동안 여러 기억들이 문득 다르게 이해되고, 그 풍경의 변화를 저는 무연히 바라봅니다. 그렇게 삶은 변화하는 것이겠죠. 
삶의 변화 속에서 우연을 감지할 때,  삶이 아무 이유 없이도 어둡고 억울할 수 있음을 깨닫습니다. 그 부질없는 깨달음으로 마음이 다시 환해지겠죠. 장조에서 단조로, 단조에서 장조로 바람은 휙휙 바뀌어 불고, 표정의 미동조차 없이 저는 길을 건너고 있는 중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93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63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796
111335 <기생충> 오스카 작품상 수상! 어제 생애 최고의 생일이었어요. ㅠㅠ [8] crumley 2020.02.11 831
111334 [넷플릭스바낭] '피키 블라인더스' 보신 분 없으신가요? [12] 로이배티 2020.02.11 1075
111333 "주디"는 너무 마음이 무겁네요 [6] 산호초2010 2020.02.11 937
111332 구충제를 한 10년만에 먹어봤습니다 [2] 하워드휴즈 2020.02.11 1051
111331 논객의 울컥 [2] 어제부터익명 2020.02.11 696
111330 작은 아씨들 보기 전에... [4] 먼산 2020.02.11 832
111329 김범룡이 중성적인 목소리로 노래 참 잘했군요 [3] 가끔영화 2020.02.11 434
111328 오늘 오후 1시 50분 광화문 씨네큐브 "주디" [5] 산호초2010 2020.02.11 703
111327 봉준호의 수상소감 [33] Sonny 2020.02.11 2644
111326 너는 계획이 다 있구나(수상소감, 봉준호의 계획성) [8] 왜냐하면 2020.02.11 1612
111325 이런저런 일기...(독립) [2] 안유미 2020.02.11 614
111324 집에서 티비로 아카데미 본 다송이 인터뷰 도야지 2020.02.10 875
111323 완전한 바낭- 수상 후 본 기생충 [6] 구름진 하늘 2020.02.10 1453
111322 아카데미 작품들의 상영날짜를 살펴보니 [22] 산호초2010 2020.02.10 1019
111321 장첸의 생활느와르 미스터 롱 [1] 가끔영화 2020.02.10 700
111320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인 것이다 [5] 어제부터익명 2020.02.10 2288
111319 아카데미 작품+감독상을 탄 영화가 배우상은 하나도 없는 케이스 [5] 사이비갈매기 2020.02.10 1366
111318 아카데미와 영화감독들의 넷플릭스 배급 영화에 대한 시각은 이해되는 면도 있지 않나요? [11] 얃옹이 2020.02.10 1115
111317 [네이버 무료영화] 미드소마 - 봉준호 감독의 추천작 [8] underground 2020.02.10 1098
111316 오스카레이스 통역 샤론최에 대한 기사 갈무리 [4] Toro 2020.02.10 152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