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근거로 이강인이 요르단전에서 손흥민에게 패스를 3차례만 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러면서 이전 8강 호주전에선 이강인이 손흥민에게 12차례 패스를 건넸는데 저녁 충돌 이후엔 기분이 상해 일부러 패스를 안 줬다는 해석까지 달고 있다.

하지만 AFC(아시아축구연맹) 홈페이지를 통해 대회 패스 데이터를 살펴보면, 이같은 주장은 다소 설득력이 떨어진다.

일단 대회 기간 이강인과 손흥민이 주고 받은 패스 횟수는 경기마다 천차만별이었다. 공격 주도권을 어떤 팀이 쥐었는지에 따라 달라졌고, 원톱 혹은 투톱 등 한국이 내세운 포메이션과 손흥민이 뛰는 포지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요르단과 준결승전에서 이강인이 손흥민에게 3차례 패스를 한 건 맞다. 하지만 16강 사우디전에서도 이강인은 손흥민에게 4차례 패스를 했다. 연장을 제외한 전·후반만 따지면 2차례에 불과하다.

호주와 8강전과 비교하면 분명히 차이는 있다. 한국은 호주전에서 후반부터 연장까지 상대를 지속적으로 몰아붙였다.

조별리그 1차전 바레인 경기에선 이강인은 손흥민에게 8차례 패스를 건넸다. 2차전 요르단전에선 그 수치가 2회로 줄었다가 3차전 말레이시아 상대를 했을 땐 11회로 다시 폭증한다.

대체적으로 조규성이 최전방에 서고 손흥민이 투톱 파트너로 뒤를 받칠 때는 이강인이 손흥민에게 건넨 패스 횟수가 늘어났고, 손흥민이 원톱으로 나섰을 때는 이강인 발에서 손흥민으로 향하는 패스 횟수가 줄었다.

이강인이 손흥민에게 각각 4차례, 3차례 패스한 사우디와 16강전과 요르단과 4강전은 모두 손흥민이 원톱으로 나선 경기였다. 반면 호주전은 AFC 분석에 따르면, 조규성이 최전방에 서고 손흥민은 그 뒤에서 뛰었는데 이강인은 손흥민에게 12차례 패스를 했다.

손흥민은 전방 공격수라 상대적으로 이강인에게 준 패스가 적었다. 1차전 2회, 2차전 1회, 3차전 8회, 16강전 4회, 8강전 5회, 4강전 10회. 경기 상황과 전개 과정에 따라 들쭉날쭉한 결과다.

호주전 이후 몸싸움이 일어나고 요르단전에서 일부러 패스를 안 했다고 보기엔 다른 경기들 데이터에서 일관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0003817364_003_20240219090907118.png?typ



https://n.news.naver.com/sports/kfootball/article/023/0003817364


-보니까 개인 감정으로 패스 안 해 경기를 망쳐서 새벽에 응원한 거 헛되게 했다니,낭트 전 몸푸는 사진갖고도 얼굴에 독기가 가득하다니, 멘탈에 아무 지장없다니 하는 댓글이 4-50대 주부 커뮤에서까지 달리는데 오늘 마침 생일이라 벙어리 냉가슴앓듯 하는 팬들은 그래도 생일 축하해 주고 있네요.

엔리케가 선수 보호는 잘 하는 감독이고 낭트 전 이긴 후 스페인 어 통하는 루카스 에르난데스와 찍힌 사진 보니 스페인 어 통하는 코치진,선수들과 있으니 다행입니다.파리는 경기 후 한국 유튜버와 사진은 찍게 해도 대화같은 거 녹음 못 하게 했다니 선수 보호 철저히 하는 듯 합니다. 챔스 바이러스 감염으로 못 나온 게 이말고도 다른 선수도 있어요. 주부 커뮤에서는 음바페와 놀더니 지가 음바페 급인 줄 안다는 댓글도 달리더군요.


심지어 이런 글도 올라왔음


음바페가 이강인 보이콧 하는 거 사실인가요?

https://www.82cook.com/entiz/read.php?bn=15&num=3782822&page=1&searchType=search&search1=1&keys=%EC%9D%B4%EA%B0%95%EC%9D%B8+





http://www.djuna.kr/xe/index.php?mid=board&search_keyword=%EB%B2%A8%EA%B8%B0%EC%97%90&search_target=title_content&m=1&document_srl=14232897


ㅡ 벨기에 국대에서는 별 사소한 걸로도 다 싸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1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1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992
125560 [영화바낭] 이번엔 검술 말고 검도 영화. '만분의 일초' 잡담입니다 [6] 로이배티 2024.02.23 330
125559 파묘 호 리뷰..유스포 [2] 라인하르트012 2024.02.22 723
125558 프레임드 #713 [4] Lunagazer 2024.02.22 113
125557 음바페 ㅡ 마드리드 초상권 80:20프로 합의 [2] daviddain 2024.02.22 135
125556 게이에 대한 경험 catgotmy 2024.02.22 371
125555 펌 ㅡ만족할만한 사과문'이라는 폭력<이강인 관련 글> [10] daviddain 2024.02.22 674
125554 전자책 단말기 선택 도와 주세요. [6] 남산교장 2024.02.22 436
125553 [왓챠바낭] 본격 인디 검격 액션, '불어라 검풍아'를 봤습니다 [8] 로이배티 2024.02.22 282
125552 [OCN 영화] 다음소희 [4] underground 2024.02.21 253
125551 요즘 인공지능 AI 영상 근황입니다. 표정연습 2024.02.21 277
125550 '성남FC 레전드' 신태용, 김은혜 지지선언 "최고 성과 낼 사람" [1] ND 2024.02.21 303
125549 철권8 그래픽 catgotmy 2024.02.21 149
125548 프레임드 #712 [4] Lunagazer 2024.02.21 58
125547 프렝키 더 용 언론에 분노,"당신들은 수치심을 모른다" [2] daviddain 2024.02.21 255
125546 스우파의 울플로 팀 중 초코와 할로를 봤습니다! Sonny 2024.02.21 132
125545 의료를 멈춰서 세상을 바꾸자... - 주수호 대한의사협회 회장 [2] 왜냐하면 2024.02.21 547
125544 불륜의 기준 [2] catgotmy 2024.02.21 372
125543 영화 '좋댓구' 아주 재밌네요... [3] 왜냐하면 2024.02.21 392
125542 충청도 미녀 [2] catgotmy 2024.02.21 328
125541 역시 손흥민은 수퍼스타 대인배네요 [1] 모스리 2024.02.21 38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