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 일기...(자본, 꿈, 계획)

2019.10.23 01:08

안유미 조회 수:581


 #.뭐 이 나이가 되면 그래요. 꿈이란 게 없이 산단 말이예요. 왜냐면 이 나이가 되어버리면 꿈은 이뤄졌거나, 아니면 산산조각났거나 둘 중 하나거든요.


 여기서 말하는 꿈은 '자기 자신이 무언가가 되는'꿈을 말하는 거예요. '자신이 무언가를 손에 넣는'꿈 말고요. 그런데 그런 꿈은 딱히 이뤄진다고 해서 좋을 것도 없어요. 왜냐면 꿈이 이뤄지고 그 인생을 살게 되면 알게 되거든요. 이제 자신에게 남은 건 꿈이 아니라 현실뿐이라는 거 말이죠. 왜냐면 꿈이 곧 직업이 되어버리니까요. 


 그리고 직업이 되어버리는 순간 그 꿈은 자신만의 것이 아니게 되고요. 사회에서는 끊임없이 남들에게 평가받아야 하거든요. 직업인으로서의 내가 만들어낸 것들이 남들에게 있어 '숫자'를 지불할 가치가 있는지, 숫자를 지불할 가치가 있다면 '얼마의 숫자'까지 지불할 가치가 있는지를 말이죠.





 -----------------------------





 1.사람들이 로또를 사는 이유는 한순간에 유동성을 땡기기 위해서겠죠. 나는 돈이 아까워서 로또를 안사지만, 사람들이 로또를 사는 이유를 대충 짐작해 보자면요. 


 그리고 한가지 이유를 덧붙이자면, 이런저런 행복한 상상을 하며 한 주를 보내기 위해서겠죠. 그 돈이 생기면 이걸 해야지~저걸 해야지~이러면서요.



 2.왜냐면 사람들은 자본이 생기면 계획을 세우거든요. 자본에는 늘 계획이 따라붙기 마련이니까요. 그 자본의 크기에 걸맞는 체급의 계획이 말이죠. 그리고 그 자본을 지니게 된 사람의 성향에 걸맞는 계획이 말이죠. 그리고 위에 썼듯이 복권처럼, 유동성의 발생이 불확실한 조건하에서도 사람들은 상상을 해보곤 해요. 한순간에 유동성이 생기면 무얼 할지에 대한 상상 말이죠.


 천만 분의 1 확률로 생길 유동성을 가지고도 계획을 상상하는 게 사람인데, 진짜 유동성이 가졌거나 가지게 될 거라면? 계획 때문에 머리가 졸라게 어지러울 수밖에요.



 3.이건 어쩔 수 없는 일이예요. 어른이 됐으니까요. 어른이 된 뒤엔 자본이 곧 계획이고 계획이 곧 자본인 거거든요. 물론 계획보다 자본이 중요하죠. 왜냐면 계획 없는 자본은 있을 수도 있지만 자본 없는 계획은 없으니까요. 어른이 되면 자본 없는 계획이란 건 그저 망상이거든요.


 그러니까 위에 쓴 말은 조금 고쳐 써야겠죠. 사람들은 자본이 '생기면' 계획을 세우는 게 아니라 자본이 '생겨야' 계획을 세우는 법이라고 말이죠. 



 4.휴.



 5.어렸을 때는 '나는 노벨상 탈거야.'라던가 '나는 레알마드리드 갈거야.'라고 해도 아무도 안 비웃겠죠. 첫번째는 그 말을 하는 사람이 어리기 때문이고, 두번째는 그 말이 사실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 


 이건 정말 멋진거예요. 어린 아이는 뭐든지 될 수 있다는 점이요. 뭐든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야말로 진짜 자본인 거거든요. 어린이로 산다면, 멋진 꿈과 목표를 가지고 하루하루 열심히 노력하면 되는 거예요.



 6.하지만 어른은 아니란 말이죠. 프리미어리거나 우주비행사가 될 수 없게 된 사람이 되어버리면? 그가 가진 숫자만이 그의 자본이 되는 거거든요. 1억원을 가지고 있으면 1억원짜리 사이즈의 계획을 진행시킬 수 있고 50억원을 가지고 있으면 50억원짜리 사이즈의 계획을 진행시킬 수 있을 뿐이예요.


 너무나 냉엄하고 재미없고 피폐한 숫자...숫자...숫자뿐이란 말이죠. 그리고 그 냉엄한 숫자를 조금이라도 늘려 보려고 발버둥치는 게 어른인 거고요.



 7.그래요. 어른들은 돈을 좋아해요. 큰돈을 말이죠. 왜냐면 돈이 있어야 계획을 세울 수 있고 많은 돈이 있어야 꿈을 꿀 수 있는거니까요.


 왜냐면 그렇거든요. 이 나이를 먹고 어렸을 적에 꾼 꿈만큼의 꿈을 꾸려면, 자본의 스케일이 엄청 커야 한단 말이죠. 순수한 캐쉬 5~60억 가지고도 안 돼요 그건. 왜냐면 현금 5~60억 가져봤자 노벨상을 탄 것 만큼 기쁠 수는 없잖아요? 5~60억 정도의 돈은 꿈을 꾸는 돈이 아니라 계획을 세우는 돈일 뿐인거죠.


 누구나 무한대의 자본을 가지고 살아본 적이 있죠. '자신이 어린이라는 사실'이라는 자본 말이죠. 돈이라는 자본을 가지고 다시 어린이였던 시절처럼 꿈을 꾸고 살려면 얼마의 돈이 있어야 할까...하고 생각해 보곤 해요. 아예 그 시절이 없었다면 다시 돌아갈 마음도 없겠지만 그 시절이 있었기 때문에 그 시절의 기분으로 돌아가 보고 싶은거예요 인간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4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19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48
110233 [벌새]의 김영지와 [쿨핫]의 서영전 [4] eltee 2019.10.28 915
110232 [넷플릭스바낭] 필리핀 액션 영화 '마리아'를 봤습니다 [6] 로이배티 2019.10.28 1004
110231 고양이의 은밀한 사생활 - bbc 다큐멘터리 [10] 존재론 2019.10.28 1237
110230 겨자를 저격한다, 신자유주의적 주체들, 사회보장제도와 하나님께 영광, 척척석사 대핀치? 외. [3] 타락씨 2019.10.28 876
110229 오늘의 둘리와 각종 만화 자료 [6] 파워오브스누피커피 2019.10.28 528
110228 끝나지 않는 '대화' [5] 어디로갈까 2019.10.28 793
110227 이노래 어떤 영화에 나왔을까요 [2] 가끔영화 2019.10.27 396
110226 저도 등업 했습니다~ [8] 정우 2019.10.27 460
110225 최근 다이어리 꾸미기에 빠져 있습니다. [1] 스위트블랙 2019.10.27 591
110224 원신연 감독은 정말 동강할미꽃을 멸종시켰을까 [2] 보들이 2019.10.27 1091
110223 등업 인사 글 - 영화이야기 조금 [8] 예정수 2019.10.27 652
110222 이런저런 일기...(레이싱대회, 새벽) [1] 안유미 2019.10.27 487
110221 저도 등업했습니다 [7] 히미즈 2019.10.27 476
110220 [듀9] 정말 재밌는 글 쓰시던 글리의 남주 코리 몬티스랑 구스털 베개를 좋아하시던 분 [5] 그리워영 2019.10.26 1032
110219 다시 보니 더 재미있었던 곡성, 봉오동 전투 [11] 보들이 2019.10.26 1002
110218 [채널CGV영화] 공작 [3] underground 2019.10.26 421
110217 신 희극지왕. 주성치 사랑해요 [6] 보들이 2019.10.26 1299
110216 고양이 사무라이 시즌1, 2 극장판 1, 2편 주행 완료 보들이 2019.10.26 685
110215 [넷플릭스바낭] 독일 드라마 '다크' 시즌2까지 완료했습니다 [10] 로이배티 2019.10.26 1608
110214 믿고 보는 시사인의 기획기사 시리즈 <빈집>을 추천합니다 [14] ssoboo 2019.10.26 168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