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우리에게는 진중권이 없다

2019.09.28 16:48

타락씨 조회 수:1712

"(조)국이와 나는 친구(서울대 82학번)다. 그렇다고 정의를 외면할 수도 없다. 그러면 나는 어떡하란 말이냐. 오히려 여러분에게 내가 어떻게 해야 할지 묻고 싶다"

---
진중권 동양대 교수가 "'조국 사태'는 공정성과 정의의 문제이지 결코 이념이나 진영으로 나뉘어 벌일 논쟁 문제가 아니다"라며 "한국 정치의 문제는 중우정치로 흘러간다는 것이다. 진보와 보수 모두 '민중의 독재'로 흘러가고 있다"고 최근 '조국 논란'에 대해 우려했다. 

진 교수는 지난 27일 <영남일보> 대강당에서 열린 특강 및 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하고, "진영 논리에 몰입돼 다른 목소리에 귀를 닫으면 올바른 민주사회로 나아갈 수 없다"고 했다. 

진 교수는 "'조국 사태'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엘리트층에선) '진보'와 '보수'가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조국 법무부 장관이나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모두 자녀의 스펙 관리를 부모가 해줬다. 아이들 문제에 왜 부모가 끼어드는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고 했다. 

진 교수는 정의당 탈당계를 제출했던 배경과 관련해 "조국 교수의 장관 임명 전 반대 의견을 정의당에 전달했지만, 당은 '데스노트'에 올리지 않았다. 이 상황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진 교수는 심상정 대표가 탈당을 만류했던 일을 언급하며 "앞으로 다른 이슈가 또 있다면 모를까. 탈당을 강행할 일은 없을 것 같다. 어차피 실질적으로 당내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 당에 피해도 주고 싶지 않다. 당론이 나의 의견과 다르더라도 수긍하는 게 민주주의라는 생각을 했다"고 덧붙였다. 

...하략...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no=258933

---
한국 사회는 진중권이란 개인에게 적잖은 빚을 졌다고 생각합니다. 그의 중대한 오판 몇가지를 감안하더라도 빚은 남을거예요.

가끔은 온갖 시시한 논쟁조차 마다하지 않고 뛰어드는 그를 보며 초인이 되기를 바라는 것일까 생각했고,
한번은 실제로 그렇게 되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죠. 돌고 돌아온 결과는 끔찍했고 아직도 계속되고 있지만.

그랬던 그가 이제 한 세대의 허물과 함께 떠나려 하는군요. 예견된 일이었대도 아쉬운 마음은 남게 마련.
'세상이 다 싫어졌다'는 그를 걱정하는 마음이다가도, 이제 진중권이 없는 우리를 더 걱정해야 하는 것 아닌가 싶고 뭐 그렇습니다.

유산을 남기고 싶어할 사람은 아니지만, 우리에겐 그가 남긴 추억들이 있으니 언제라도 돌아볼 수 있겠죠.

이것이 조선의 디베이트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4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19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48
125873 블로씨는 이제 좀 두고.. [12] therefore 2010.06.12 3746
125872 스밀라의雪에대한감각™ 님 보세요. [49] 오애 2010.06.12 4833
125871 토요일 점심은 뭐 드셔요? [10] 걍태공 2010.06.12 3316
125870 축구 안 좋아하시는 분들은 오늘 뭐하시나요? [13] wadi 2010.06.12 3858
125869 심리전은 북한이 한수 위인 듯 [4] 가끔영화 2010.06.12 3686
125868 수준떨어지게... [2] 늦달 2010.06.12 3275
125867 유령 작가와 방자전, 작가 이름 혼동하기. (스포일러 재중) [5] keira 2010.06.12 2968
125866 6월에 전시가 많기도 많군요. 전시 정보들 모음. [7] mithrandir 2010.06.12 4243
125865 한겨레가 왜 어려운지 알거 같아요. [47] soboo 2010.06.12 7696
125864 웹툰 하나 아주 강하게 추천합니다. [20] RoyBatty 2010.06.12 8553
125863 오늘 있었던 일.. [5] Apfel 2010.06.12 2657
125862 어떤 사람을 좋아하고 싫어하는 일이 노력한다고 될까요? [15] 비네트 2010.06.12 4039
125861 다음주 주말에 부모님 모시고 갈 만한 데 추천 부탁드려요 [2] pit_a_pat 2010.06.12 2869
125860 시베리아의 이발사를 봤어요. 요가. 핀란드식 케잌. [3] therefore 2010.06.12 3679
125859 클럽에 왜 가나요? [9] 주근깨 2010.06.12 4849
125858 이익에 따라 거짓말을 하거나 시치미를 떼는 사회. 고인돌 2010.06.12 2792
125857 축구 보면서 먹으려고 치킨을 시켰거든요. [6] 서리* 2010.06.12 5127
125856 대한민국 vs 그리스 B조예선 첫경기 불판 깝니다. [123] 01410 2010.06.12 6999
125855 드디어 시작입니다. [1] 푸른새벽 2010.06.12 2423
125854 월드컵에 관심없었는데.. [4] 진성 2010.06.12 422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