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과 대화하는 방법

2019.09.30 13:34

칼리토 조회 수:751

부모가 되면 깨닫는게 있습니다. 어딘가에서 보고 배우며 누군가에게서 조언을 들을 수 있겠지만 육아의 모든 것은 다 처음 경험하는 것이라는 점. 


말을 하지 못하는 최초 유아기를 지나 먹고 싸고 걷고 말하고 글을 쓸줄 아는 단계에 접어들면 육아의 양상도 바뀌죠. 그때부터는 티비와 게임기, 장난감과 놀기에 몰두하려는 아이들을 붙잡아 책상 앞에 앉히고 공부를 시키거나 운동을 시키고 책을 읽혀야 하는 단계에 접어듭니다. 


부모란 존재 자체도.. 어렸을때 스스로의 부모에게 분명 불만과 짜증이 있었을텐데 그건 홀랑 까먹어 버리고 아이들에게 뭔가 요구하는 게 많아지죠. 반대로 대화하려는 의지 자체는 줄어 듭니다. 일단 부모가 옳으니 너는 내 말을 들어라. 싫으면 나가거나.. 체벌을 받거나 니가 좋아하는 게임을 못하게 된다.. 라고 당근과 채찍을 휘두릅니다. 비율로 판단해보자면 대략 당근이 3이고 채찍이 7정도가 아닐까 싶어요. 그래요. 부모란 존재는 좀 이기적이고 많이 독단적이고 상당히 폭군스럽습니다. 이게 다 너와 너의 인생을 위해서란다...라고 말은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죠. 


어제는 아이들이 난데없이 거실에서 자겠다고 협상을 걸어왔습니다. 대부분의 아파트가 그렇듯이 아이들 방에는 침대도 있고 문을 닫으면 조용하고 아직 어린 아이들이라 컴퓨터나 티비도 당연히 없죠. 그런데 잘 시간이 넘어 이제 좀 오붓하게 티비도 보고 컴퓨터도 해볼까 싶은 아빠에게 거실을 내놓으라니요. 이게 왠 말도 안되는 소리야?? 라고 잠깐 생각하고 그러지 마, 방에 가서 자, 말 안들으면 이번주에 게임 못해.. 3단 콤보를 날렸는데도 이 녀석들 요지부동입니다. 말만 들어주면 뭐도 하고 뭐는 안하고.. 협상을 걸어오더군요. 오.. 머리가 컸구나. 짜식들.. 


당근을 준다고 할까? 채찍을 좀 큰걸로 바꿀까.. 잠시 고민하다가 알았다. 그렇게 하자꾸나..하고 순순히 거실을 내줬습니다. 아이들은 희희낙락.. 덮는 이불을 깔고 덮고.. 불꺼진 거실에서 금새 잠이 들어 버리더군요. 딱딱해서 배길텐데..흠.. 


아이들이 왜 그럴까요? 왜 푹신한 침대 놔두고 딱딱한 거실 바닥에서 잠을 자고 싶은 걸까요?? 분명히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겠지만 머리가 굳어서 메모리폼이 깔린 제 침대가 아니면 어디에서도 잠을 설치는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아이들의 주장에 스스로를 다치게 하거나 가족을 힘들게 만들거나 사회와 다른 시민에게 크나큰 위협이 되는 것들만 없다면 들어주는 게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빠.. 책에서 본 다이나마이트를 만들어서 체육관에서 한번 터뜨려 보고 싶어요.. 같은 것 말이죠. 뭐.. 그런 짓을 할 놈들이야  부모에게 미주알 고주알 이야기 하지도 않겠다만.. 


대화라는 것은 애초에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는 그 지점부터 시작한다.. 고 생각합니다. 내가 부모니까.. 내가 선생이니까.. 내가 더 나이가 많으니까.. 내가 더 돈이 많고 권력이 많으니까.. 라고 전제해서는 대화가 힘이 들죠. 나의 위치를 높게 규정하고 권위를 세우고자 하면 상대방의 이야기가 내 마음에 들지 않는 시점부터 꼰대질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이들과 대화하면서 그런 교훈을 얻어요. 


지난 서초동 번개 인원이 몇명이냐... 를 가지고 논란이 많습니다. 뭐..몇명이면 어떻습니까? 백만명 이백만명이 되면 이야기를 들어줄건가요?? 그럼 그 숫자를 확실히 보여줄 수 있을때까지 모이면 될 일이죠. 분명한 건.. 개혁의 대상이 되는 상대방에게 대화할 의지가 없어 보인다는 것이고 아이들의 요구를 이해하지 못하는 저처럼 머리가 굳은 꼰대들이 이래라 저래라.. 이야기들을 쏟아내고 있다는 거죠. 


나이는 먹었지만 어른이 되지 못한 한심한 사람들이 공직에 있고 언론에 있고 그 밑에서 부역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정도면 충분히 이해하겠지..라고 해도 이해를 못하니.. 코앞에서 촛불이라도 흔들어 줘야 이해를 할 모양입니다. 이번주, 다음주, 다다음주.. 대화를 하고 이해를 할 마음의 준비가 될때까지.. 사람들이 모이고 초에 불을 붙이고.. 마치 축제처럼 마치 소풍처럼 이 분위기를 이어나가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금 상황은 논리나 숫자가 아니라 각자의 태도와 의지에 달린 문제라고 생각해요. 자기 신념대로 살아갑시다. 남의 말에 너무 휩쓸리지 말구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09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79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960
109917 [넷플릭스바낭] 본격 심문 수사극 '크리미널'을 영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 버전 모두 봤습니다 [7] 로이배티 2019.10.02 728
109916 [마일드한조국바낭] 근데 생기부 유출 건 조사 말이죠 [6] 로이배티 2019.10.02 909
109915 최경영x김경율x김완 '조국 사모펀드, 어디까지 사실일까?', 잡담 feat.유시민 [35] 타락씨 2019.10.02 1365
109914 두 명의 슈퍼맨 [2] mindystclaire 2019.10.02 467
109913 뒷담화를 하는 사람들은 [5] 산호초2010 2019.10.02 912
109912 <조커> - 예쁜 똥일 줄 알았더니 웬걸, 그냥 똥. (약한 스포) [8] googs 2019.10.02 2182
109911 법무부, 서울중앙지검 특수부 축소 및 서울남부지검 증권범죄합동수사단 폐지 검토 [12] madhatter 2019.10.02 1042
109910 오늘의 2017 플레이모빌 카탈로그(1) (스압) 파워오브스누피커피 2019.10.02 299
109909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 한완상 전총리 인터뷰(남북미, 조국, 검찰 관련 언급) [5] 왜냐하면 2019.10.02 608
109908 Eric Pleskow 1924-2019 R.I.P. 조성용 2019.10.02 241
109907 Wayne Fitzgerald 1930-2019 R.I.P. 조성용 2019.10.02 245
109906 Birds of Prey [3] McGuffin 2019.10.02 502
109905 홍정욱의 올가니카 [10] mindystclaire 2019.10.02 1567
109904 이런저런 잡담...(과녁, 기다림) [2] 안유미 2019.10.02 517
109903 아자씨들 게임 끝났어요 탈출구 찾아보세요 [8] 도야지 2019.10.02 1309
109902 대만에서 교량 붕괴 참사 [2] ssoboo 2019.10.02 741
109901 서초역 1평에 20명 사진 [3] 게으른냐옹 2019.10.02 1196
109900 이번 주말에는 몇백만명 모일 예정입니까? [4] 휴먼명조 2019.10.02 796
109899 꼭 야구 못하는 것들이 남들 다 쉬는 가을에 야구 한다고 깝쳐요. [4] 룽게 2019.10.02 708
109898 오늘 MBC PD수첩 한 줄 요약 - ‘검찰의 공소 자체가 가짜’ [2] ssoboo 2019.10.02 100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