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더 이상 술도 안마시고 책도 잘 읽지않지만 아래 문장은 정말 근사하네요. 해마다 '이상문학상' 수상집 나오면 사서 읽던 기억이 나요.

술 하면 이 곡이 생각나요. [조디악]에도 잠깐 나오죠.

Deacon Blues - YouTube


-----


동네에 단골 술집이 생긴다는 건 일상생활에는 재앙일지 몰라도 기억에 대해서는 한없는 축복이다. 


  지난 2월 늦은 저녁이었다. 혼자 이 술집에 들른 것은 내 입장에서도 다소 의외였다. 나는 소주나 막걸리를 즐기지 않았고 이 집은 맥주나 와인 같은 것을 팔게 생기지 않았다. 그런데도 나는 문을 열고 들어가 자리를 잡고 술을 시켰다.

주문한 안주가 나오기 전에 김치와 나물들이 나왔다. 제대로 들어왔다는, 아니 제대로 걸려들었다는 느낌이었다. 밑반찬 만으로 술을 반 병 비우기에 부족함이 없없다. 그 후로 이 집은 내가 이틀이나 사흘에 한 번 꼴로 들르는 단골 술집이 

되었다. 

  빈대떡에 막걸리, 찌개에 소주, 몇 가지 나물들과 김치를 늘어놓고 혼자 술을 마시면서 하는 생각이란, 맞아 그때 그런 얘길 했었지라든가 왜 그랬을까 그녀는, 하는 식의 소소한 과거사이다. 이 집에 발을 들여놓는 순간

나는 미래에 대한 불안이라든가 당장 해결해야 할 시급한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진다. 이곳은 내게 오로지 기억, 기억, 그렇게 속삭이는 장소가 되었다. 천천히 술을 마시다 보면 홀연, 낫 놓고 기역 자를 모르듯, 기억 속의 내가 뭣도 모르고

살아온 모양이 환등처럼 떠오른다. 현실의 시간은 밤이지만 이곳에서 나는 기억의 한낮을 산다. 요즘 내가 그 땡볕 아래서 기다리는 인물은, 숨겨둔 단골 술집처럼 나는 남몰래 마음에 두고 좋아하지만, 그쪽은 이제 나를 한낱 친구로만 

여기고 잊었을 한 여자이다. 기억이란 오지 않는 상대를 기다리는 방식이며 포즈이기도 하다는 걸 나는 이곳에서 배운다. ……」 

권여선, 『사랑을 믿다』 中 

스스로를 술의 작가라고 칭하는 권여선 님의 2008년 이상문학상 수상작 《사랑을 믿다》 도입부입니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최근의 한국 문학 중 손꼽히게 아름다운 도입부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글은 여기서 가져왔어요.

주류 문학 : MLBPARK (donga.com)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