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 잡담...

2023.06.29 04:23

여은성 조회 수:377


 1.이승환의 '천일동안'이라는 노래가 있잖아요? 그 노래를 제대로 안 들어봐서 노래의 가사라던가...무슨 뜻인지는 모르지만 노래 제목인 '천일'이라는 시간은 긴 시간이예요. 


 그러나 나는 그보다 긴 시간동안 재밌게 살았죠. 한 10년 가량이니까 3650일이라고 해야 하나? 



 2.어쨌든 3650일동안 몸에 안 좋은 거만 골라 먹고...밤에 돌아다니고 한것 치고는 몸이 멀쩡해요. 사실 노는 거나 일하는 거나 똑같거든요. 내가 느끼기에 재미가 있다 없다가 나뉠 뿐이지 그걸 수행해야 하는 몸의 입장에서 보면 혹사니까요. 축구 선수가 미친듯이 연습하고 미친듯이 경기를 뛰는 거나, 내가 이리저리 놀러 다니는 거나 몸을 혹사한다는 점에서는 같은 거죠. 


 그래서 요즘은 그 점에 대해 고마운 기분을 느끼곤 해요. 그렇게 혹사해댔는데 이렇게 잘 가동되어주고 있다니...라고 말이죠.



 3.뇌를 바꾸는 수술이 나올까요? 언제인지가 문제지, 나오긴 나오겠죠. 나온다면 어느정도나 리스크가 있을까? 20%? 30%? 50%? 내가 언젠가 갈아탈 새로운 몸은 내 유전자에서 배양된 새로운 몸이 될까...아니면 그냥 완전 기계몸일까 가끔 생각해 보곤 해요. 물론 내가 살아 있는 동안에 그런 수술이 나와야겠지만.


 뇌 교체 수술을 할때 생물학적 기술이 베이스가 된 몸이라면...어쨌든 체력과 체격적인 부분, 심미성은 가능한 범위 안에서 최대로 보장되어 있을 거고. 알러지나 바이러스, 내성, 유전자 길이에 이런저런 조정이 되어 있을 테니까 100년 이상은 잘 버티겠죠. 하지만 문제는 언젠가는 다시 뇌 교체 수술을 하긴 해야 한다는 게 리스크겠죠. 기계몸으로 바꾼다면 파츠만 교체하면 되니까 다시는 뇌 교체 수술을 할필요없는 안전성은 있겠지만...해킹 한방에 골로 갈 수도 있고 업데이트 한번 잘못 받았다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큰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뭐 뇌를 바꾸는 수술이 일상화된 세상이 온다면 그건 아예 내세라고 쳐야 하고. 이번 생에 대해서나 생각해 봐야겠죠.



 4.휴.



 5.요즘 사람들의 변화점은 스스로를 너무 보존하려고 한다는 거예요. 자신이 분골쇄신해서 다음 세대의 거름이 되어보겠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점점 적어지고 있죠.


 그래서 요즘 사람들은 결혼을 안 하고 출산을 안 하면서 그 자리에 머물러 있곤 해요. 다음 스테이지로 가는 걸 미루거나 포기하면서 사는 거죠. 하긴 옛날에는 다음 스테이지로 반강제적으로 이동해야 했잖아요. 애초에 옛날에는 다음 스테이지로 이동하지 않으면 할 것이 없기도 했고요. 요즘 사람들에겐 스마트폰도 있고 유튜브도 있죠. 남아있는 시간을 그래도 고통스럽지 않게 보내게 해주는 온갖 장치들이 마련되었죠.



 6.사실 여자의 경우는 잘 모르겠어요. 나야 남자니까. 결혼이나 출산같은 다음 스테이지로 가는 걸 미루는 동안에 해야 할 과제는 하나밖에 없거든요. 자산을 모으는 거죠. 돈을 많이 모으든, 신뢰나 평판 같은 개념적인 자산을 많이 모으든...남자는 자산을 많이 모아두면 미뤄둔 다음 스테이지로 가는 길은 늘 열려 있죠. 치러야 하는 비용은 비싸지만.


 이렇듯 남자의 삶은 쉽고 간단해요. 물론 그걸 수행하는 건 어렵지만, 구조 자체는 단순하다는 거죠. 더 많은 돈을 모으든 더 많은 명성을 모으든 더 좋은 평판을 모으든...자산을 계속 쌓기만 하면 선택을 미뤄둔 페널티를 상쇄할 수 있거든요.


 하지만 여자의 삶은 어렵다 이거죠. 결혼시장에서 만나는 경우에는 여자의 최대 장점이 나이이기 때문에, 그 마켓에서는 본인이 아무리 뛰어나도 타이밍을 놓치면 페널티를 만회하기 어려워요. 물론 남자도 만회하기 어렵지만 그래도 만회가 가능은 한 것과 불가능한 건 다르니까요.



 7.사람들은 인생이 운칠기삼이라고 하지만 글쎄요. 내가 보기에 운보다도 타이밍이 중요해요. 그게 결혼이 됐든 뭐가 됐든, 인생에서 적절한 시기를 놓쳐버리면 시기를 놓친 댓가를 큰 비용을 지불하고 갚아야 하니까요.


 인생...선택의 연속이죠. 선택의 연속이지만 나이를 먹는 건 선택이 아니거든요. 나이를 먹을 때마다 선택지가 사라지거나, 똑같은 선택지여도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가죠. 



 8.어렸을 때는 주식 단타를 하는 사람들이 이해가 안 갔지만 요즘은 슬슬 이해가 가요. 나이든 사람들은 1년 걸려서 1억을 버는 걸 바라지 않거든요. 1주일만에 1억을 버는 걸 바라게 되어버린거죠. 왜냐면 나이가 먹었으니까요.


 어렸을 때는 부자인 척을 할 수 있냐가 중요하죠. 나이가 들면 부자인 척을 할 필요가 없게 되지만 그땐 또 젊은 척을 할 수 있냐가 중요해져요. 


 뭐 이건 어쩔 수 없어요. 부자인 척 할 필요가 없을 정도가 되면 이미 나이를 많이 먹어버린 뒤니까요. 남자의 인생이 그런 걸까? 젊었을 때는 그래도 부자인 척은 할 수 있을정도로 돈 벌고 나이들어서는 그래도 젊은 척은 할 수 있을정도로 관리를 하고 사는 것 말이죠. 평생을 그렇게 아둥바둥하며 사는 거예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8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42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601
123893 영화 촬영 현장의 그들.. (스압주의) [4] 보람이 2013.02.13 6285
123892 [올림픽] 대단한 박태환 / 협회가 버린 여자배구 [13] 레사 2012.07.29 6285
123891 친목과 친목질. [54] 잔인한오후 2013.01.30 6285
123890 화딱지가 나서 씁니다. [29] 메피스토 2011.05.24 6285
123889 겨드랑이 영구 제모 받아보신 분 있나요? [15] 순정마녀 2012.06.01 6284
123888 라면 뭘로 끓이세요??? [13] 서리* 2010.06.06 6284
123887 지금 삼성역 상황 사진 [15] chobo 2010.11.11 6282
123886 (질문) 단백질 보충제 먹으면 살찌나요 [6] 불별 2012.04.19 6281
123885 제가 좋아하는 과자들. [48] 자본주의의돼지 2013.01.03 6281
123884 [악마를 보았다]를 보고... [26] taijae 2010.08.11 6281
123883 첫날밤 아내에게 '업소여자 같다.'고 했다가,, [18] 고인돌 2011.09.15 6278
123882 [듀나인] 구본*, 권오* 이름 쓰는 사람은 왜 그렇게 많지요? [14] 빠삐용 2013.09.10 6275
123881 베네딕트 컴버배치 키가 184나 되네요 [12] magnolia 2013.02.01 6275
123880 가인의 뒤를 이을 눈화장 마스터(사진 다수) [11] 윤보현 2010.08.28 6275
123879 강남과 강북의 차이 [6] 봄날의곰 2010.06.03 6275
123878 너무 충격이 큽니다 [28] ssoboo 2020.07.10 6274
123877 친구 진짜 별로 없는사람? (양심적으로) [41] 사람 2010.08.20 6274
123876 한우 설렁탕의 비밀 [21] 자본주의의돼지 2013.02.26 6273
123875 김연우가 매우 매우 좋습니다. [4] 지루박 2010.09.19 6273
123874 이효리 웨딩사진 [12] JCompass 2013.09.03 627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