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욱 감독에 대한 잡담

2019.07.27 08:29

어디로갈까 조회 수:3572

1. 새 광고 콘셉트 회의에서 해외 감독들과 함께 박찬욱의 영화 이미지들도 물망에 올랐습니다. 그런데 평소 과격한 언사를 절대 하지 않는 J가 발끈하며 반발해서 좀 놀랐습니다. "그의 영화는 머리로 배운 버석버석한 놀음의 전형을 보여줬을 뿐이죠. <복수는 나의 것>에서 잠시 솔깃한 적도 있었으나, <박쥐>와 <아가씨>에서 없던 오만정도 다 떨어졌어요. 쇼맨쉽이 강하니 차라리 평론를 하면 잘하지 않았을까? 라는 기존의 판단도 철회했습니다. 어설픈 수재형의  어설픈 혁신이 칸에서도 먹혔다는 게 이해 안 돼요. 그의 작품은 진실성 1도 없어요. 뭐 예술이 다 그런 거 아니냐 한다면 딱히 할 말은 없지만."
그의 비판을 듣고 있자니,  예전에 키에슬롭스키가 "고작해야 악동 타란티노의 '펄프픽션' 따위에 나의 '레드'가 졌다'고 비웃던 뒷 토로가 불현듯 떠오르더군요. - -

2. 15 년 전쯤이었나, 정성일이 박찬욱에게 내렸던 판정도 생각났습니다. "박 감독의 영화에 아무리 피가 난무하고 고독한 세월이 흘러도 그는 '삶의 무거움'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라 생각한다."는 뉘앙스의 글이었어요. 그 글을 읽으며 제가 끄적댄 메모를 떠올려봅니다.
- 영화는 현실의 불합리에 부딪고 한계를 넘어서는 몸짓이어야 한다고 정성일은 생각한다. 반면, 박찬욱은 텍스트는 강렬한 대립소들에 의해 긴장이 조성되지만, 그 대립들이 상쇄되어 제로섬이 되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걸 원한다. 결국 그의 작품은 텍스트 바깥으로 나아가는 에너지를 하나도 남기지 않는다. 

3. 저는 그의 영화 중 두 편만 좋게 봤습니다. <복수는 나의 것>에 이어 <올드보이>에서 다시 한번 동태복수(같은 모양으로 되돌려지는 복수)로 인간의 욕망이 빚은 비극을 조명했을 때 놀랐습니다. 하지만 한편 아쉽기도 했어요. <복수는 나의 것>이 사회의 계급 문제를 다루어 현실감을 확보한데 비해, <올드 보이>는 신화적 캐릭터인 우진을 내세워 비극의 원형을 극대화했죠. 그러므로써 고발에는 성공했으나 반성에는 실패해버린 게 아닌가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대중적 흡인력은 강하나 설득력은 약해졌다고 느꼈더랬죠.
 
<올드보이>가 침묵의 미덕을 모르는 현대인에게 말에 관한 고전적인 메시지를 전한 건 훌륭했어요. "모래알이나 바위덩이나 가라앉기는 마찬가지다." 한마디건, 백마디건, 어떤 결과를 빚을지 모르는 너의 혀를 조심하라며 혀와 이빨을 끊임없이 공격하는 집요함이라니! - - 
복수는 하는 자의 선택이라는 점에서 상대에게 가하는 형벌이기 보다 자기자신에게 가하는 체벌에 가깝습니다. 독방에 갇혀 복수를 다짐할 때 대수는 더 이상 자신이 잃을 것이 없다고 믿었으나 그건 오산이었죠.  
"네가 해야 할 질문은 왜 널 가두었느냐가 아니라, 왜 널 놔주었느냐지."라는 우진의 대사는 박찬욱이 던진 강렬한 게임의 법칙이었습니다. 

근황이 궁금해서 오랜만에 '씨네21'에 들어가 검색해봤더니, 밑을 걷는 중이신지 가장 최근 것이 2년 전 소식이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4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19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69
109494 <야매요리> 작가가 악플때문에 병원을 다닌다고 합니다. [13] 말하는작은개 2015.06.15 3748
109493 '돈의 맛' 보신 분들.... [6] N.D. 2012.05.17 3748
109492 진보신당 해산보다 더 짜증나는 건. [16] 별들의고향의맛다시다 2012.04.11 3748
109491 현관 비번을 바꿨습니다ㄷㄷㄷ [11] 메피스토 2011.06.08 3748
109490 차두리를 쫓는 소녀팬들 [6] 01410 2011.02.01 3748
109489 박주영 골 멋있게 넣었네요!! [34] 허기 2012.07.30 3748
109488 듀게에서 이런 말도 해보는군요 [19] slowind 2011.01.06 3748
109487 스티븐 킹이 글을 쓰는 목적, 그가 선정한 2010년 최고의 영화 [10] 무비스타 2010.11.25 3748
109486 이러다가 우리나라 사람들 테러당하는거 아닐지 걱정이 되네요 [14] 사과식초 2010.11.19 3748
109485 서.. 성공인가? [10] 닥호 2010.10.14 3748
109484 [바낭 짧은 글] 새벽의 카톡 [17] Ll 2013.03.18 3748
109483 일본에 가지 않겠냐던 손님 [6] Tutmirleid 2011.06.07 3748
109482 청춘불패 일본편 (일본 방송에 나간 버전은 국내와 다르군요) [3] mezq 2010.08.24 3748
109481 팀원들 이상한거 아닌가요? [22] 잠익123 2014.11.24 3747
109480 씨네리 필진들의 영화 '명량' 별점, 그리고 그러거나 말거나 [12] 닥터슬럼프 2014.08.06 3747
109479 참치를 많이 먹으면 건강에 좋지않다? [12] 전기양 2011.11.19 3747
109478 무한도전 우정촌 야오.. [5] catgotmy 2011.11.02 3747
109477 영화 줄거리에서 내가 본 최고의 반전은? (스포일러 대량 함유) [30] 곽재식 2010.10.21 3747
109476 친미와 친일 [72] catgotmy 2012.08.24 3747
109475 시라노 연애조작단 간단 감상평 [8] 마르세리안 2010.09.10 374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