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일을 찾아서

2024.05.01 15:24

thoma 조회 수:474

1. 좋은 일이 없을까. 

원래 좋은 일은 크게 기뻐하지 않으면서 지나버리는 성격이고(이런 일이 생기다니 다음엔 엄청 괴로운 일이 준비되어 균형을 맞추겠지, 같은 생각을 하느라) 대부분 나날들은 인생이란 기본이 이렇게 지루하고 고루한 것이라는 기분으로 사는지라 그저 큰 기복이 없는 것을 다행이라 여기는 편입니다. 

그러다 보니 그게 뭔진 모르겠으나 진짜 좋은 일이 생기면, 또는 여건상 해마다 미루고 있는 해외여행이나 도시 간 이사같은 극심한 변화가 온다면 감당할 자신이 있겠는가 슬슬 의아심이 생기고 있습니다. 여행이나 이사는 오래 전부터 생각해 온 것인데 이제 내 심장이 견딜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이건 수사적인 표현만은 아닙니다. 중년 어느 시점부터는 다들 있다는 부정맥이 저는 꽤 의식이 되어서 검사도 했더랬는데 의사가 약을 먹고 싶으면 먹으라며 도움이 될 거라고 하더군요. 약이 뭐가 먹고 싶을까요. 견딜만 하면 안 먹어도 된다는 뜻이라 받아들이고 일단 미루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심장의 갑갑함이나 부담감을 자주 느끼고 있네요. 가끔은 이유없이 쿵쾅거려서 누워 줘야 할 때도 있으니 아무래도 약을 시작해야 하나 싶습니다. 개와 주인은 닮는다는데 최근 토마스도 약 횟수를 늘였답니다. 좋은 일이 필요하네요. 


2. 그래서 자기 전에 편안해질 만한 유튜브 영상을 찾아 보았습니다. 밖은 비바람이 치지만 실내는 모닥불 타는 소리가 반복되어 아늑함과 멍함에 이르게 하는 영상물도 보고 추천에 뜨는 요리 영상도 보다가 우연히 일본 부부와 개가 등장하는 영상물을 보게 되었네요. 

주방을 좋아하는 젊은 주부가 아침에 거실로 나오는 것으로 매번 시작하는데 아침 준비, 식사, 개와 함께 남편 배웅, 간단한 점심, 개와 산책, 저녁 준비, 개와 남편 맞이, 저녁 식사- 요 내용이 빠지지 않고 반복됩니다. 가끔 마트나 친구 만나기 외출을 하지만 집 밖은 거의 안 다룹니다. 좁은 주방이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그 다음은 식탁입니다. 이런 반복을 말로 하니 지루할 것 같죠? 그런데 회당 20분 내외의 이 영상물을 자꾸 보게 되었어요. 이상하게 빠져들어요. 여러 회차를 보고 나니 저 주부가 일반 주부는 아니고 아무래도 요리를 전공했거나 본격 배운 바가 있을 것이란 생각은 듭니다. 매일 아침 준비도 놀랍지만 저녁 만찬은 그야말로 눈이 돌아가는 경우가 많은데 보는 사람의 심정을 남편이 그대로 반영해서 매번 감탄 매번 아리가또, 오이시 소리를 수십 차례하면서 하하호호하며 둘이 식사를 합니다. 나누는 대화는 시답잖고(어 내 손에 언제 밥풀 묻었지) 소소한 일상(오늘 너무 바빠서 정말 집에 오고 싶었거등) 얘기입니다. 이건 정말 인생 뭐 있나 '맛있는 음식과 맥주 한 잔과 사랑스러운 강아지'로 영원히 반복되는 나날 이거지, 이게 행복이지, 이런 생각을 강력하게 압박하는 영상입니다. 

잘 할 수 있는 것을, 보여 주고 싶은 부분만 정돈해서 보여 주니, 참 깔끔하게 만들어서 싫증이 안 나는 거 같습니다. 괜히 이것저것 일 벌리지 않는 점도 좋고 말이죠. 하지만 절대 따라하겠다는 생각은 안 듭니다. 실용적인 요리 영상은 아니었어요. 저에게는요.ㅎ


3. 그리고 커피 판매 영상도 두 개 봤어요. 이렇게 얘기하면 설명 부족이라 반칙 같네요. 

요즘 작가 김영하가 글쓰기 연계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것 같습니다. 이분 전공이 경영학이어서인지 작가로서의 자산을 지속시키고 홍보, 확장시키는 아이디어가 풍부한 것 같습니다. 물론 땡기는 게 있을 때 새로운 것을 시도해야만 직성이 풀리는 성격적인 유인이 제일 크겠지요. 암튼 이분이 회비를 받고 이메일로 매주 1회, 총 24회 계획하여 글을 보내고 있습니다. 화요일마다 옵니다. 이번 주 두 꼭지 중 하나는 읽지 않으면서 책을 계속 사는 것, 안 읽고 책장에 모셔 두는 것에 대해 썼더라고요. 그것이야말로 독서가의 참된 면모라는 (나 들으라고?)설득력 있는 전개를...ㅋ 저는 오래 전부터 일본에 무라카미 하루키가 있다면 우리는 김영하가 비슷하지 않나 생각했었는데 여기저기 보다 보니 저만 그런 것이 아니고 다른 글에서 다른 사람들도 비슷하게 느끼고 있더군요. 아무튼 이번에도 이걸 확인했습니다. 저는 하루키의 소설 보다는 수필을 더 재미나게 읽었는데 김영하도 그렇다는 걸 깨달았거든요. 이분도 수필이 더 재미있습니다. 이 정도 필력을 가진 사람임에도 어쩌면 좋은 소설 쓰기가 그만큼 힘든 것인가,라는 생각도 해 보았지만요.

첫 줄로 돌아가서, 커피숍도 있고 판매도 하는 회사와 재발매된 김영하 본인의 책 [여행의 이유]를 딴 커피블랜드 상품을 내놓는 과정을 소개하는 영상이었습니다. 짧은 영상 둘이었는데 작가야 말을 잘 하지만 숍 주인장도 차분하고 말을 잘 하시더군요.


4. 그런데 [동조자]를 아직또! 못 끝냈습니다. 독서 침체기 오래 가네요. 계속 붙잡고 있긴 합니다. 다른 책(엔도 슈사쿠 [바다와 독약])도 건드려 가면서요. 그냥 독서에 집중하는 시간이 짧아서 재미도 있고 책도 좋은데 진도를 못 뺍니다. 혹시 읽을까 말까 하신다면 추천드립니다. 분량도 깊이도 묵직하네요. 박찬욱의 시리즈는 쿠팡에서 쉬엄쉬엄 공개 중이네요.


5. 디즈니 플러스 [쇼군]을 보고 있는데 잘 만든 드라마지만 큰 재미는 없어요. 이렇게 느끼는 건 잘 만들었는데 뭔가가 부족해서이지 싶은데 뭐 때문일까요. 다 보고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3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8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59
126425 밥 포시 ㅡ 폴라 압둘 ㅡ 아리아나 그란데 [3] daviddain 2024.06.09 115
126424 프레임드 #821 [4] Lunagazer 2024.06.09 63
126423 가장 보통의 사람과 속물근성의 간극(악의 평범성이라는 말을 다시 생각해보면서) 상수 2024.06.09 232
126422 민희진의 현재진행형 성취 [2] Sonny 2024.06.09 466
126421 미학적 인간이란 개념으로 민희진을 들여다보기 Sonny 2024.06.09 202
126420 민희진의 어도어 독립 시도에 대해 Sonny 2024.06.09 175
126419 민희진을 평범한 사람의 입장에서만 바라보는 것 [1] Sonny 2024.06.09 280
126418 [웨이브바낭] 이번엔 프랑스제 교사 호러, '클래스' 잡담입니다 [6] 로이배티 2024.06.09 226
126417 허경영 선거법 위반으로 2034년까지 선거출마 불가 상수 2024.06.09 156
126416 이런저런 일상잡담 [1] 메피스토 2024.06.09 125
126415 뉴진스 X 에스파 댄스 챌린지 상수 2024.06.09 120
126414 Love is an open door 중국어 catgotmy 2024.06.09 53
126413 [웨이브바낭] 독일산 교사용 호러, '티처스 라운지' 잡담입니다 [9] 로이배티 2024.06.09 226
126412 월레스 앤 그로밋 신작 티저 상수 2024.06.09 116
126411 지워진 잡담 [10] 이오이오 2024.06.08 284
126410 [디즈니+] 엑스맨 97 [4] LadyBird 2024.06.08 193
126409 내편들면 친구 편안들면 원수 ND 2024.06.08 171
126408 패밀리 가이에 나온 레스타트 [2] daviddain 2024.06.08 125
126407 프레임드 #820 [4] Lunagazer 2024.06.08 67
126406 [유튜브바낭] 내친 김에 찾아 본 원조 '오멘(1976)' 잡담입니다 [12] 로이배티 2024.06.08 29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