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에 대한 소고

2019.07.17 06:13

어디로갈까 조회 수:1408

(어제 접한 전 정치인의 작고 소식에 깜짝 놀란 저 자신이 놀라워서 횡설수설. )

1. 죽음을 가장 두려워하는 건 사기꾼으로 분류되는 부류일 거라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비축해 놓은 진실이 없는 사람이니까요. 진실의 자산이 없기에 죽음 앞에서의 그의 떨림은 진실에 대한 갈망이 가장 컸을 것 같습니다. 
오래 전에 자신이 진실하지 못했음을 몹시 아쉬워하는 이의 얼굴을 본 적이 있어요. 그가 고백했죠. "나와 거짓의 관계는 굶주림과 음식의 관계와 같은 거였다."고. 그 말을 듣는 순간, 그는 도움도 필요치 않은 진정한 사기꾼이구나 하는 확실한 판단을 했더랬습니다.

2. 공깃돌은 다섯 개로 구성됩니다. 조약돌이 수 백개 널려있는 시냇가에서 하는 공기놀이라 할지라도 그 사실엔 변함이 없습니다. 공깃돌을 던져 손등으로 받을 때, 한 개 또는 다섯 개를 얹을 수도 있지만 때로는 하나도 얹지 못할 때도 있죠. 그것이 공기놀입니다. 
우리의 삶도 비슷한 것 같아요. 살고 싶은 방식대로 살다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현실에 대해 불만을 갖는 건 좀 염치없지 않나요?  바닥이 발에 닿지 않는 건, 자신이 점점 바다 깊은 쪽으로 헤엄쳐 갔기 때문인지도 모르는데 말이에요.

3. 햇살 아래에서 얇은 먹지에 불을 붙이는' 것. 죽음을 의식하는 순간의 인간에게 허용되는 정열의 형태는 이와 같지 않을까요.
적막한 뜨거움이 순식간에 재로 변하겠죠. 죽음을 서서히 경험하는 동안 두려움과 자아의 거리는 점점 좁아져서, 마지막 죽음의 얼굴에 손을 대는 순간, 우주 저편에서 날아온 빛의 일생을 보고 말 것 같습니다.

4. 자유, 의지, 순명, 태도.... 이 새벽에 떠올리는 어휘들입니다. 이 네 가지를 합친 것이 자기사랑이라고 생각해요.
잘 생각나지 않는데, 에즈라 파운드의 시론서 첫 페이지에 명랑함에 관한 언급이 있었어요. 생명과 진리는 엄숙하지 않고 명랑한 것이라는 것. 제 생각을 덧붙이면 그게 자연스럽기 때문입니다. 무거운 것이 자연스러운 정황에서의 무거움은, '명랑함'입니다.
예상하지 못한 것, 돌연한 것, 경계가 사라지는 일을 무거움이 아닌 명랑함으로 받아들일 것. '다름'이 바로 삶이며, 체험으로서의 성숙이기도 하니까요.

5. 사춘기 시절, 죽음에 관한 단시들을 많이 읽었습니다. 죽음은 그 너머, 삶의 순환에 관해서도 무엇인가 말해준다고 생각했거든요. 우주는 순환이라는 현상 덕분에 수레바퀴에 비유될 수 있다는 걸 좀 일찍 간파했다고나 할까요. - -
근데 지금 기억나는 건 이 둘뿐이네요.

"나는 난다, 나의 먼지는 현재의 내가 되리라." (허페즈)
"그들은 어둠을 통해 외로운 밤 아래로 어둡게 걸었다." (베르길리우스)

6. 세상 이치라는 건 절대로 알 수가 없어요.
다시 한번, 세상 일이라는 건 - 죽음의 이치라는 것도 - 절대로 알 수가 없습니다.
특히 이 좁은 한국사회에서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5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32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92
109211 오늘의 일본 만화잡지(6)(스압) 파워오브스누피커피 2019.07.25 314
109210 영화 추천 - 주전장 [4] 먼산 2019.07.25 799
109209 넷플릭스 - 스파이더버스 올라왔습니다.(한국어 더빙 포함) [5] eltee 2019.07.25 831
109208 홍콩 시민들 soboo 2019.07.25 707
109207 롯거 하우어 배우 사망(이라고 기예르모 델 토로감독이 트윗했다고 합니다) [11] 나보코프 2019.07.25 1328
109206 겸손과 심약의 차이 [2] 어디로갈까 2019.07.25 863
109205 황병승 시인 [2] 가끔영화 2019.07.24 1271
109204 진지한 자리에서 몸개그하는 멍청이 [3] soboo 2019.07.24 1205
109203 [옥수수 무료영화] 마리아 칼라스: 세기의 디바 [2] underground 2019.07.24 665
109202 [바낭] 넷플릭스 업데이트된 '사바하'와 '박화영'을 봤네요. [8] 로이배티 2019.07.24 1602
109201 <소공녀> 다시 생각해보기 [10] Sonny 2019.07.23 1226
109200 David Hedison 1927-2019 R.I.P. 조성용 2019.07.23 336
109199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3] 조성용 2019.07.23 1431
109198 오늘의 일본 만화잡지(5)(스압) [3] 파워오브스누피커피 2019.07.23 408
109197 이런저런 일기...(상전과 아랫것) [2] 안유미 2019.07.23 815
109196 와인 한잔 하고 싶은데요 [3] 산호초2010 2019.07.23 1045
109195 오늘의 일본 만화잡지(4)(스압) 파워오브스누피커피 2019.07.22 458
109194 [바낭] 쌩뚱맞게 '무간도'와 '디파티드'를 한 번에 연달아 봤네요 [6] 로이배티 2019.07.21 1258
109193 이런저런 잡담...(해방구) [3] 안유미 2019.07.21 1134
109192 OCN 드라마 왓쳐 안보시나요 [3] 라인하르트012 2019.07.21 132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