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 보고 잡담입니다.

2022.12.31 15:35

thoma 조회 수:371

Pig, 2021

f9d9c803d6c0a53b927b548d60446caeb1bc55cf

이상한 영화였어요. (스포일러 주의해 주세요.)

처음엔 '나는 자연인이다'가 떠올랐어요. 다음엔 개를 잃은 '존 윅'이 떠올랐는데 내용이 전개되면서 구체적인 결과를 보면 그런 연상에서 예상이 되는 그림을 배반하는 식입니다.

 

니콜라스 케이지가 함께 사는 돼지는 트러플을 찾아내는 돼지입니다. 트러플은 저는 외국 소설에 가끔 등장해서 이름만 들어본 '송로버섯'인데 이게 우리로 치면 자연산 송이 같이 고급 식재료로 매우 비싼 모양입니다. 미국에선 산지 인근에서 수거하는 농장은 총들고 지킬 정도라고 하네요.(그놈의 총 사랑) 이 영화에서도 돼지 찾으려고 처음 방문한 버섯 농장 분위기가 마약 취급하는 곳 같아요. 


케이지가 오두막에서 돼지와 나누어 먹으려고 처음 선보이는 음식이 버섯타르트입니다. 밀가루 반죽하고 그걸 팬에 두루는 손이 예사롭지 않아요. 이분 사실 전설적인 셰프입니다. 은둔 고수였던 것인데 다만 그 분야가 폭력 조직의 무술로, 총질로 고수가 아니라 요리계의 고수였던 겁니다. 

그리하여 이분이 사랑하는 돼지를 찾으려고 십수 년을 떠나 있던 속세에(포틀랜드입니다) 다시 내려가고 전설로 구전되던 실력자의 실물이 등장하는 곳마다 속된 삶을 살던 도시인들은 추풍낙엽처럼 그 앞에 머리를 조아리게 된다....는 얘기입니다. 쓰다 보니 맞나? 싶은데 맞습니다. 다만 여타 범죄영화나 폭력물과는 방향은 반대이고 수단도 당연히 다릅니다. 주인공이 사람들을 평정하는 방법은 때리기가 아니고 맞아주기, 진심을 되살리기, 요리의 힘으로 행복했던 기억을 되살리기, 이런 것입니다. 그런데 마치 복수를 위해 과거의 조직을 방문한 듯한 분위기의 외피를 입고 있어요. 긴장감도 있고요. 이런 전개가 좀 특이한 점이었어요. 여튼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주인공 자신도 애초에 산으로 들어가게 된 이유였던 상실의 아픔을 제대로 받아들이게 된다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니콜라스 케이지의 연기가 원래 이랬었나 싶을 정도로 제가 아는 연기 스타일이 아니었어요. 사실 오래 전 영화 몇 편만 보았고 별로 본 영화가 없네요. '라스베가스를 떠나며'나 심지어 비디오로 본 '광란의 사랑', '문 스트럭' 같은 고래적 영화만 생각이 납니다. 그 이미지만 가지고 있다가 이 영화를 보니 연기 스타일이 참 달라진 것 같아요. 지금은 과도한 제스츄어를 취하지 않는데도 매우 존재감이 느껴집니다. 사실 요리사라는 걸 알면서도 뭔일 벌일 것만 같은 이미지가 있는 배우라 영화 보는 동안 긴장감이 있었어요. 

저 돼지 배우는 연기도 잘 해서 귀염을 받고 상도 받은 모양인데 촬영 이후 병이 생겨 세상을 떠났다는 후문이 있네요.   

배경이 오리건 주, 포틀랜드인데 좋아하는 영화 '퍼스트 카우'와 같은 곳이네요. 숲의 분위기가 비슷하고 아름다웠습니다.

저는 시리즈온에서 30프로 할인쿠폰 이용해서 봤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911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81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989
122020 [넷플릭스] '더 글로리' 완전 잼나네요 [7] S.S.S. 2023.01.02 1001
122019 [EBS1 다큐프라임] 연애기계 [1] underground 2023.01.02 301
122018 이영도, 눈물을 마시는 새, 유럽 수출 [3] 스위트블랙 2023.01.02 479
122017 샘 멘데스,"다음 본드 영화 악당?무리뉴면 최고일 듯 daviddain 2023.01.02 297
122016 조롱의 대상으로서 기능하는 과거의 작품들, 슬램덩크 복습 [7] ND 2023.01.02 602
122015 [넷플릭스] 더 글로리, 복수를 생각합니다 [11] 칼리토 2023.01.02 1002
122014 에피소드 #18 [2] Lunagazer 2023.01.02 92
122013 프레임드 #297 [4] Lunagazer 2023.01.02 116
122012 손흥민 팬들이 읽고 부들부들할 기사 [8] daviddain 2023.01.02 690
122011 애들이 흔들흔들 걸어나오는게 왜 이리 마음을 흔들까 [1] 가끔영화 2023.01.02 243
122010 아이라는 신 [8] Sonny 2023.01.02 441
122009 마르셀 프루스트 되찾은 시간 읽어보기 [2] catgotmy 2023.01.02 227
122008 비 오는 오후의 음모 daviddain 2023.01.01 271
122007 환혼 오늘자.. 라인하르트012 2023.01.01 272
122006 새해입니다. 신년 계획은 세우셨나요. [3] 해삼너구리 2023.01.01 337
122005 덕담이 잘 나오지 않는 새해 첫날이지만 [3] soboo 2023.01.01 396
122004 프레임드 #296 [4] Lunagazer 2023.01.01 114
122003 새해복많이받으세요^^ [10] 라인하르트012 2023.01.01 249
122002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3] 영화처럼 2023.01.01 196
122001 [핵바낭] 1년 잉여질 결산 + 올해 마지막 날 잡담 [23] 로이배티 2022.12.31 67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