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질 결심' 잡담.

2022.12.07 21:44

thoma 조회 수:1034

뒤늦게 보았습니다. 스포일러 의식 않고 그냥 씁니다.

movie_image.jpg?type=m665_443_2

저는 박찬욱 감독의 영화를 좋아하는 팬은 아닙니다. 전반적으로 과잉되게 느껴지고 그리 코드가 잘 맞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봤던 작품 중에서 꼽자면 '복수는 나의 것'이 가장 강렬했고 무서웠고 잊히지 않네요. 이후에 본 영화들은 잘 만드는 것 같다고 생각은 해도 좋아한다고 할 수 있는 작품은 없었어요. 

이 영화는 소식을 듣는 순간부터 보고 싶었어요. 보면 좋아할 것 같은 예감이 드는 영화였습니다. 이제 봤고, 예감은 틀리지 않았습니다.

마지막 바다 장면에서 눈물이 좀 났네요. 영화에 감동했고 다 본 다음엔 뭐 때문에 그랬는지 조금 생각해 봤습니다. 


영화가 매우 고전적이었어요. 남녀간의 '사랑'이라는 주제 자체가 이제는 좀 말꺼내기도 뻘쭘한 고전적인 주제가 된 거 같아요. 저부터도 '사랑은 무슨...어디 쓰냐'라던가, '연애하는 영화라니 듣기만 해도 지루하네'라는 인간이 되었으니까요. 그런데 영화를 보고 나자 잊고 안 쓰던 근육을 쓰게 된 느낌, 공룡 화석을 눈으로 보는 감동과 비슷한 그런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런 것이 가능하였던 건 모두 탕웨이라는 배우가 존재해서라고 생각합니다. 이 배우의 외모나 분위기에서 오는 고전적 우아함과 꼿꼿함(!)도 물론 역할을 하지만 그보다 이 배우가 중국인이면서 한국인과 결혼해 한국어를 어설프게 할 수 있는 존재란 점이 너무나 중요해 보입니다. 탕웨이가 아니었으면 이 영화는 불가능하였지 않을까요? 저만의 과장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탕웨이의 서래로 인해 언어(한국어)가 원래의 의미를 찾습니다. 서래에게는 언어(한국어)가 습관이 아닙니다. 자신이 쓸 때든, 남이 자신에게 하는 말이든 머리 속의 개념과 단어들을 일일이 연결짓고 제대로 쓰고 있는지 의식해야 하는 처지입니다. 언어에 집중하고 하나하나의 말이 소중할 수밖에 없어요. 이것은 사랑에 있어 천혜의 조건입니다. 사랑에 빠진다는 것 자체가 어떤 의미에서 상대의 언어에 집착하는 것 아닐까요. 상대의 말은 절대 흘려 듣지 못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있는 자리에서 많은 말이 오가는 중에도 특정인의 말을 골라내 듣고 의미 부여를 하곤 합니다. 그 상대가 나에게 건네는 말은 참으로 특별하고요. 

하지만 타성적인 한국어 사용자인 해준은 어떨까. 현대인 치고 품위있는 남자라고 표현 되었으나 서래에 비하면 많이 모자라 보입니다. 그는 (서래만큼)의미의 심각성을 고려하지 않고 말을 뱉고 (서래만큼)말을 소중하게 여기지 않으니 잊기도 하고 귓등으로 스쳐 듣기도 하는 현대 한국남자인 것이지요. 그는 그의 품위가 직업적 자부심에서 발로한 것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폄하하는 것은 아니지만(이것도 희귀한 덕목아닙니까) 말의 의미를 천착하는 것과 직업인의 자부심을 견주어 보자니 그의 품이랄지 세계가 좁아 보이는 것은 어쩔 수 없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기독교에서는 말이라는 것이 로고스, 사랑 그 자체를 뜻하기도 합니다만 제 역량을 벗어나니 연결지어 쓰진 못하겠고 줄여야 겠습니다. 

 

영화는 후반부로 가면서 이미 헤어질 결심이 끝난 산에서의 만남과 마지막 바다 장면이 무척이나 낭만적, 비극적으로 표현되어 있었습니다. 박찬욱 감독이 이 정도로 비극적 아름다움을 발산형으로 표현하다니 그저 좋았습니다. 덕분에 두고두고 이렇게 신비하고 참혹함을 담은 바다 장면을 되풀이 볼 수 있게 되었지 않습니까. 

박 감독의 어느 인터뷰를 보니 사람들이 다른 영화의 영향을 많이 언급한다고 합니다. 특히 '현기증' 이야기를 많이 한다고. 여러 사람이 그러는 걸 보면 맞을 거라고. 그런데 만들 때 의식하지 않았고 다른 이들에게 듣기 전까지도 의식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저는 당연히 그랬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영향이라는 것은 몸 속에 스며들어서 받은 이의 것으로 숙성되게 마련이니까요. 창작자들 다 거인의 어깨 위에 있는 존재들이니까요. 영화애호가들이 어디서 봤더라? 하며 찾아내 보는 건 그냥 하나의 지적 즐거움일 테고요.  

모든 출연 배우들의 연기가 다 고루 좋았다는 점도 짚고 싶습니다. 또한 유머! 이렇게 무뚝뚝하면서 적절한 유머라니 너무 즐거웠어요.(철썩이가 박용우 시체보고 '와 앉하놨노, 무섭그로' 하는데 빵 터졌습니다. 김신영도 짱이었고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17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6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37
122057 2023 National Society of Film Critics Awards Winners [1] 조성용 2023.01.08 255
122056 Owen Roizman 1936-2023 R.I.P. 조성용 2023.01.08 158
122055 [왓챠바낭] 못돼먹은 쪽으로 끝장을 보는 불량 영화가 땡기십니까. '벡키'가 있습니다. [8] 로이배티 2023.01.08 603
122054 지름신고 - 오니츠카 타이거 [12] theforce 2023.01.08 893
122053 명불허전의 더 퍼스트 슬램덩크를 봤습니다. [6] woxn3 2023.01.07 673
122052 [왓챠바낭] 이게 뭔데 캐스팅이 이런가... 해서 본 '데드걸'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3.01.07 515
122051 Slow horses 시즌 2 [2] Kaffesaurus 2023.01.07 361
122050 더글로리의 임지연 첫눈 2023.01.07 718
122049 프레임드 #302 [4] Lunagazer 2023.01.07 116
122048 가르치는 직업에 대해 [2] catgotmy 2023.01.07 468
122047 Charlie Parker - Celebrity catgotmy 2023.01.07 115
122046 30년전 영화를 봤어요 <시애틀의 잠 못이루는 밤> [6] soboo 2023.01.07 600
122045 퍼스트 슬램덩크 2감 [4] 라인하르트012 2023.01.07 494
122044 [jtbc] 비긴어게인 인터미션 첫방송 [2] 쏘맥 2023.01.06 386
122043 [티빙바낭] 제목에 혹해서 본, '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 잡담입니다 [10] 로이배티 2023.01.06 534
122042 프레임드 #301 [4] Lunagazer 2023.01.06 118
122041 퍼스트 슬램덩크 1감 소감 [3] 라인하르트012 2023.01.06 510
122040 뒤늦게 보는 가족 영화 패딩턴 [7] Kaffesaurus 2023.01.06 537
122039 [왓챠바낭] 영화 '꽃잎'을 보다가 만 짧은 잡담 [17] 로이배티 2023.01.05 812
122038 '바바라'와 넷플릭스 '이 세상의 한구석에' [9] thoma 2023.01.05 545
XE Login